광주선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철도 노선
 
|노선 = 광주선
 
|노선 = 광주선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
|배경색 = #009640
|그림 = [[파일:광주역2020.jpg|300픽셀]]<br>광주선의 종점인 [[광주역]]<br>[[파일:광주선.jpg|300픽셀]]
+
|그림 = [[파일:광주역.jpg|300픽셀]]<br>광주선의 종점인 [[광주역]]<br>[[파일:광주선노선.png|300픽셀]]
 
|한글 표기 = 광주선
 
|한글 표기 = 광주선
 
|영문 표기 = Gwangju Line
 
|영문 표기 = Gwangju Line
 
|한자 표기 = 光州線
 
|한자 표기 = 光州線
|소재국 = {{태극기}} [[대한민국]]
+
|소재국 = [[파일:태극기.png|30px]] [[대한민국]]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위탁 운영 =
 
|위탁 운영 =
|기점 = 동송정역
+
|기점 = 동송정분기점
 
|종점 = [[광주역]]
 
|종점 = [[광주역]]
|운행 계통 = [[경전선]]의 지선
+
|운행 계통 = 경전선의 지선
 
|궤간 = 1,435㎜ (표준궤)
 
|궤간 = 1,435㎜ (표준궤)
 
|선로 = 1
 
|선로 = 1
 
|열차 편성 =
 
|열차 편성 =
 
|영업 거리 = 11.9km
 
|영업 거리 = 11.9km
|소요 시간 = 15분 (광주송정-광주, 무궁화호)
+
|소요 시간 =
|표정 속도 = 52km/h (〃)
+
|표정 속도 =  
|배차 간격 = 하루 왕복 17편 운행 (〃)
+
|배차 간격 =  
|개통일 = 1922년 7월 1일
+
|개통일 =
 
|폐선일 =
 
|폐선일 =
 
}}
 
}}
{{대사|광주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
 
  
'''광주선'''({{llang|ko-Hani|光州線}})은 동송정역에서 [[경전선]]과 분기하여 광주 도심을 동서로 관통, [[광주역]]을 종점으로 하는 철도 노선이다. 공식적으로는 [[경전선]]의 지선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호남선]]의 지선 역할을 하고 있다. 1944년 광주역~담양역 구간이 폐선되고 2000년경 경전선 광주역~효천역 구간이 이설되었다. 2015년 [[호남고속선]]이 개통되면서 광주광역시의 중심철도역 자리는 [[광주송정역]]에 내주었다.
+
'''광주선'''({{llang|ko-Hani|光州線}})은 동송정분기점에서 [[경전선]]과 분기하여 광주도심을 동서로 관통, [[광주역]]을 종점으로 하는 철도 노선이다. 공식적으로는 [[경전선]]의 지선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호남선]]의 지선 역할을 하고 있다. 특이하게도, 호남선 KTX는 호남본선의 광주송정역을 종점(또는 정차역)으로 하는 노선과 광주선의 광주역을 종점으로 하는 노선으로 이원화되어 있다. 한 때에는 교통의 효율성을 위해 광주역의 기능을 광주송정역으로 통합하고 광주선을 폐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으나, 이에 [[동구(광주)|동구]] 및 [[북구(광주)|북구]] 등 구도심 측에서 구도심 지역의 경제기반이 무너져 도심의 인구공동화 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크게 반발하면서 주장은 무산되었다. 현재 [[용산역]][[광주역]]을 잇는 [[KTX]]가 하루 왕복 10-11차례 운행되고 있다. 광주에서 용산까지 KTX를 이용할 경우 소요 시간은 대략 3시간 내외이다.  
 
 
[[통근열차]]가 폐지 이전까지 최후로 운행한 노선으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광주송정역과 광주역을 오가는 셔틀 열차가 운행했었다. 운행거리가 15km밖에 안 되는 독특한 편성이었다. 광주송정역에서 [[KTX]]를 탑승하기 위해 이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는 특별 환승 혜택을 주기도 하였다.  
 
  
 
== 노선표 ==
 
== 노선표 ==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광주선의 공식적인 기점은 동송정역이며, [[광주송정역]]은 광주선이 아닌 [[경전선]]의 역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광주선 무궁화호가 [[광주송정역]]을 시·종착역으로 운행되므로, 편의를 위해 광주송정역을 노선표에 함께 기재하였다.
+
여객을 담당하는 역만을 기재하였다. 정차하는 열차에서 <sup>★</sup>로 표시한 것은 일부 열차만 정차함을 나타낸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colspan="2"| 소재지  
+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접속 노선 !! colspan="2"| 소재지 !! 정차하는 열차
|- style = "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009640; height: 2pt"
 
| colspan = "7" |
 
| colspan = "7" |
 
|-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 -2.7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호남고속선}} · {{철도 링크|경부선}} · {{철도 링크|경전선}}
 
| rowspan="4| [[광주광역시]]
 
| rowspan="3| [[광산구]]
 
|-
 
!(동송정역)
 
|
 
 
|0.0
 
|0.0
|
+
|<nowiki>-</nowiki>2.7<ref>광주송정역은 광주선의 기점인 동송정분기점보다 2.7km 앞에 있다.</ref>
|{{철도 링크|경전선}}  
+
|[[경전선]]
 +
| rowspan="3"| [[광주광역시]]
 +
| rowspan="2"| [[광산구]]
 +
|{{철도 링크|KTX}} {{철도 링크|새마을}} {{철도 링크|무궁화}}
 
|-
 
|-
 
![[극락강역|극락강]]
 
![[극락강역|극락강]]
|6.6
+
|7.2
 
|4.5
 
|4.5
|{{철도 링크|무궁화}}
 
 
|
 
|
 +
|{{철도 링크|무궁화}}<sup>★</sup>
 
|-
 
|-
 
![[광주역|광주]]
 
![[광주역|광주]]
 
|7.4
 
|7.4
 
|11.9
 
|11.9
|{{철도 링크|ITX}} {{철도 링크|무궁화}}
 
 
|
 
|
 
|[[북구(광주)|북구]]
 
|[[북구(광주)|북구]]
 +
|{{철도 링크|KTX}} {{철도 링크|새마을}} {{철도 링크|무궁화}}
 
|-
 
|-
|- style = "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height: 2pt"
+
|- style = "background:#009640; height: 2pt"
 
| colspan = "7" |
 
| colspan = "7" |
 
|-
 
|-
 
|}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주석 ==
 +
<references/>
  
 
[[분류:광주광역시]]
 
[[분류:광주광역시]]
 
[[분류:광주선| ]]
 
[[분류:광주선|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