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 초기 생애 ==
 
== 초기 생애 ==
[[파일:김대중1971.jpg|300픽셀|섬네일|[[1971년 대통령선거]] 당시 김대중 후보의 포스터. 이 선거에서 김대중은 [[박정희]]에게 8%(95만 표)의 득표율 차로 패배하였다.]]
+
[[파일:김대중1971.jpg|300픽셀|섬네일|1971년 대통령선거 당시 김대중 후보의 포스터. 이 선거에서 김대중은 [[박정희]]에게 근소한 차로 패배하였다.
  
 
김대중은 1924년 1월 6일 출생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당시 징병을 피하기 위해 이후 생일을 1925년 12월 3일로 바꾸기도 하였다. 출생지는 [[전라남도]]의 [[신안군]] 하의도이다. 1943년 목포상업고등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이후 일본인이 운영하는 선박회사 직원으로 취직한 김대중은 곧 선박회사의 경영자 자리에 올랐으며 사업가로서 성공을 거두며 큰돈을 벌었다. [[한국전쟁]] 당시 사업가라는 이유로 공산주의자들에게 잡혔으나 극적으로 탈출하여 살아남을 수 있었다.
 
김대중은 1924년 1월 6일 출생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당시 징병을 피하기 위해 이후 생일을 1925년 12월 3일로 바꾸기도 하였다. 출생지는 [[전라남도]]의 [[신안군]] 하의도이다. 1943년 목포상업고등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이후 일본인이 운영하는 선박회사 직원으로 취직한 김대중은 곧 선박회사의 경영자 자리에 올랐으며 사업가로서 성공을 거두며 큰돈을 벌었다. [[한국전쟁]] 당시 사업가라는 이유로 공산주의자들에게 잡혔으나 극적으로 탈출하여 살아남을 수 있었다.
  
김대중은 [[이승만]] 정부 시절이던 1954년 정치계에 뛰어들었다. 1961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며 국회의원이 되었으나, 당선 3일 후 [[박정희]]가 [[5.16 쿠데타]]를 일으키는 바람에 국회의원직을 박탈당했다. 이어진 1963년 총선과 1967년 총선에서 야당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며 박정희에 대적할 만한 인물로 급부상했다. 그 결과 [[1971년 대통령선거]]에 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득표율이 45.2%에 그치면서 53.2%의 득표율을 받은 박정희에게 패배하였다.
+
김대중은 [[이승만]] 정부 시절이던 1954년 정치계에 뛰어들었다. 1961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며 국회의원이 되었으나, 당선 3일 후 [[박정희]]가 [[5.16 쿠데타]]를 일으키는 바람에 국회의원직을 박탈당했다. 이어진 1963년 총선과 1967년 총선에서 야당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며 박정희에 대적할 만한 인물로 급부상했다. 그 결과 1971년 대통령선거에 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득표율이 45.2%에 그치면서 53.2%의 득표율을 받은 박정희에게 근소한 차로 패배하였다.
  
 
뛰어난 연설가였던 김대중은 자신의 확고한 지지층을 끌어 모으는 재주가 있었다. 특히 [[전라도]] 지역에서 김대중의 지지율은 95%에 이르렀는데, 이는 대한민국 정치사를 통틀어서도 유례없는 기록이다.
 
뛰어난 연설가였던 김대중은 자신의 확고한 지지층을 끌어 모으는 재주가 있었다. 특히 [[전라도]] 지역에서 김대중의 지지율은 95%에 이르렀는데, 이는 대한민국 정치사를 통틀어서도 유례없는 기록이다.
41번째 줄: 41번째 줄:
 
== 서거 ==
 
== 서거 ==
 
[[2009년]] 7월 13일 [[폐렴]] 증상이 의심되어 [[서울]]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했으나 치료 과정에서 합병증으로 병세가 악화되다가 결국 2009년 [[8월 18일]] 오후 1시 43분에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서거했다. 장례는 2009년 8월 23일, [[국회의사당]] 앞에서 치러졌으며 [[국장]] 형태로 진행되었다. 서울 동작현충원에 묘역이 조성되었다.
 
[[2009년]] 7월 13일 [[폐렴]] 증상이 의심되어 [[서울]]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했으나 치료 과정에서 합병증으로 병세가 악화되다가 결국 2009년 [[8월 18일]] 오후 1시 43분에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서거했다. 장례는 2009년 8월 23일, [[국회의사당]] 앞에서 치러졌으며 [[국장]] 형태로 진행되었다. 서울 동작현충원에 묘역이 조성되었다.
 
== 같이 보기 ==
 
* [[이희호]] - 김대중의 두 번째 아내이자 영부인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49번째 줄: 46번째 줄:
 
*[http://www.kdjlibrary.org/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http://www.kdjlibrary.org/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references />
+
</references>
 
{{대한민국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대통령}}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