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게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대사|한국에서 잡히는 것 중에서 가장 비싸고 맛있는 게}}
 
{{대사|한국에서 잡히는 것 중에서 가장 비싸고 맛있는 게}}
  
'''대게'''(''Chionoecetes opilio'') 또는 '''영덕대게'''는 해저의 표면에 사는 [[표재동물]]로서, [[대서양]] 북서부와 [[태평양]] 북부의 [[대륙붕]]이 원산지이다. 대게라는 이름은 ‘큰[大] 게’라는 뜻이 아니라 다리가 [[대나무]]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눈(날씨)|눈]]이 많이 오는 겨울철에 많이 잡힌다고 하여 영어로는 '''snow crab'''이라고 부른다. 한류성 어종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동해]] 남부 연안에서 겨울철(11월~5월)에 잡힌다. 하지만 [[러시아]]에서 수입해오는 대게가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도 대게를 먹는 것이 가능하다. 처음부터 국내산이 아닌 러시아산 대게를 먹을 생각이라면 수요가 적은 여름철(비수기)에 먹는 것이 더 저렴하다. [[영덕]]의 특산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포항]](구룡포), [[울진]]에서 대부분 잡히며 오히려 영덕에서 잡히는 양은 그리 많지 않다.  
+
'''대게'''(''Chionoecetes opilio'') 또는 '''영덕대게'''는 해저의 표면에 사는 [[표재동물]]로서, [[대서양]] 북서부와 [[태평양]] 북부의 [[대륙붕]]이 원산지이다. 대게라는 이름은 ‘큰[大] 게’라는 뜻이 아니라 다리가 [[대나무]]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눈]]이 많이 오는 겨울철에 많이 잡힌다고 하여 영어로는 '''snow crab'''이라고 부른다. 한류성 어종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동해]] 남부 연안에서 겨울철(11월~5월)에 잡힌다. 하지만 [[러시아]]에서 수입해오는 대게가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도 대게를 먹는 것이 가능하다. 처음부터 국내산이 아닌 러시아산 대게를 먹을 생각이라면 수요가 적은 여름철(비수기)에 먹는 것이 더 저렴하다. [[영덕]]의 특산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포항]](구룡포), [[울진]]에서 대부분 잡히며 오히려 영덕에서 잡히는 양은 그리 많지 않다.  
  
 
통째로 찜통에 넣고 쪄먹는 것이 가장 선호되는 조리법이다. 별다른 양념이나 간을 하지 않아도 짭짤하면서 감칠맛이 난다. 다리의 살을 하나씩 쏙쏙 빼먹는 재미도 쏠쏠하지만, 역시 내장국물에 [[김]]과 [[참기름]]을 넣고 밥을 비벼먹어야 제대로 대게 한 마리 먹었다고 할 수 있다.  
 
통째로 찜통에 넣고 쪄먹는 것이 가장 선호되는 조리법이다. 별다른 양념이나 간을 하지 않아도 짭짤하면서 감칠맛이 난다. 다리의 살을 하나씩 쏙쏙 빼먹는 재미도 쏠쏠하지만, 역시 내장국물에 [[김]]과 [[참기름]]을 넣고 밥을 비벼먹어야 제대로 대게 한 마리 먹었다고 할 수 있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