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역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부산역(도시철도)|[[경부선]]의 기차역|[[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철도역
 
{{철도역
|배경색 = #{{철도 색상|경부고속선}}
+
|배경색 = #312783
 
|배경색2 = #{{철도 색상|철도}}
 
|배경색2 = #{{철도 색상|철도}}
|그림 = [[파일:부산역20.jpg|320픽셀]]
+
|그림 = [[파일:부산역.jpg|320픽셀]]
 
|노선 = {{철도 링크|경부고속선}} · {{철도 링크|경부선}}
 
|노선 = {{철도 링크|경부고속선}} · {{철도 링크|경부선}}
|역명 = 부산 <small><small>(경부고속선)</small></small>
+
|역명 = 부산
|역명2 = ← 부산 <small><small>(경부선)</small></small>
+
|역명2 = ← 부산
 
|이전역명 = [[울산역|울산]]
 
|이전역명 = [[울산역|울산]]
 
|이전역명2 = [[사상역|사상]]
 
|이전역명2 = [[사상역|사상]]
 
|다음역명 = (종점)
 
|다음역명 = (종점)
|다음역명2 =
+
|다음역명2 = (종점)
 
|로마자 역명 = Busan
 
|로마자 역명 = Busan
 
|한자 역명 = 釜山
 
|한자 역명 = 釜山
|소재지 = {{태극기}}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
|소재지 = [[파일:태극기.png|25px]]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SRT}} · {{철도 링크|ITX-새마을}} · {{철도 링크|ITX-마음}}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누리로}} · {{철도 링크|S}}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ITX}}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S}}
 
|개역일 = [[1908년]] [[4월 1일]]
 
|개역일 = [[1908년]] [[4월 1일]]
 
|역 번호 =
 
|역 번호 =
|승강장 구조 = 5면 12선
+
|승강장 구조 = 4면 9선
 
|일 평균 승차 =
 
|일 평균 승차 =
 
}}
 
}}
{{대사|경부선의 종점}}
 
  
'''부산역'''({{llang|ko-Hani|釜山驛}})은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초량동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
'''부산역'''({{llang|ko-Hani|釜山驛}})은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의 종착역이다.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가 이 역에 모두 정차한다.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의 정차역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제1의 항구이자 인구 350만 명을 거느린 대도시인 부산광역시의 중심 철도역이다. 우리나라의 철도역들 중 [[서울역]][[동대구역]] 다음으로 이용객수가 가장 많은 철도역이다. 원래는 경부선, 동해남부선, 경전선 열차 할것없이 온갖 종류의 열차들이 시·종착하던 역이었으나 2004년 KTX 개통 이후로는 KTX 전용 역 비스무리하게 되었다. 경전선이나 동해남부선으로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는 대부분 부산역이 아닌 [[부전역]]에서 시·종착하고 있다.
  
== 특징 ==
+
1905년 [[경부선]]이 개통될 당시 경부선의 종착역은 부산역이 아니라 초량역이었으나 1908년 초량역-부산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경부선의 종착역으로 개역, 그 이후로 지금까지 부산역은 부산 지역의 중심역 역할을 수행해왔다. 1908년 개역 당시의 부산역은 부산에 들어선 첫 서양식 건축물로서, [[르네상스]] 풍으로 건축된 것이 특징이었다. 경부선의 시점인 (구) [[서울역]] 또한 부산역과 마찬가지로 르네상스 풍으로 건축되어 있었으므로, 철도의 시작과 끝을 [[깔맞춤]] 한 셈이다. [[일제강점기]] 들어서 부산항과 가까이 위치한 부산역은 전국 각지에서 수탈한 식량과 물품들을 일본으로 내다 보내는 전진기지 역할을 해왔다. [[한국전쟁]] 당시 부산은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가 되었기 때문에 부산역은 전국 각지에서 온 피난민들을 받아들이며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 한 페이지를 장식했지만... 전쟁 직후인 1953년 11월 27일 [[부산역전 대화재]] 사건으로 건물이 전소되어 버렸다. 이후 부산역은 전쟁 직후의 혼란 속에 16년 동안이나 제대로 신축되지 못하고 있다가 1969년, 원래 구 초량역이 있던 자리에 부산역을 신축하였다. 이후 경부선 [[KTX]] 운행이 시작되면서, 2004년과 2011년 두 차례에 걸쳐 대대적인 리모델링 공사를 하였으며, 지금의 [[유리궁전]] 역사로 탈바꿈하였다. 현재의 부산역사는 넓은 역광장을 거느리고 있으며, 전면을 유리로 도배한 것이 특징이다. 전면을 볼록한 모양으로 처리하여 밋밋한 느낌은 피하고 웅장하고 대담한 느낌을 살렸다. 부산이 대한민국 제1의 항구도시라는 점을 같이 생각하며 역을 보면 역 모양은 바다에 떠 있는 거대한 [[유람선]]과 같은 느낌을 준다. 역 전면에 2층으로 연결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1층에도 출입구가 나 있는데 어차피 열차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2층으로 가야 한다.
원래는 [[경부선]], [[동해선]], [[경전선]] 열차 할 것 없이 온갖 종류의 열차들이 시·종착하던 역이었으나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 이후로는 KTX 전용 비스름하게 되었다. 경전선이나 동해남부선으로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는 대부분 부산역이 아닌 [[부전역]]에서 시·종착하고 있다.  
 
  
[[서울역]] 못지않게 [[노숙자]]가 많은 곳이다. 경찰도 자주 돌아다니고 노숙자 대부분은 얌전하게 잠만 자고 가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위험하지는 않지만, 가끔 정신 나간 사람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한, 부산역 광장에서는 종교인들의 포교 활동도 많이 벌어진다.
+
[[부산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과 인접하여 있으며, 두 역을 잇는 환승통로 공사가 현재 진행 중에 있다.
 
 
== 역사 ==
 
[[File:Fusan Station circa 1930.JPG|250픽셀|섬네일|1930년대의 부산역. 구 서울역과 비슷한 [[르네상스 양식]]의 화려한 역사가 돋보인다.]]
 
1908년 개역 당시의 부산역은 현재의 위치보다 좀 더 남쪽에 있었다. 현재 부산무역회관이 있는 곳이 옛 부산역 부지였다. [[도쿄역]]과 [[서울역]]을 설계한 [[다노츠 킨코]]가 부산역을 설계하였으며, 그래서 1910년에 완공된 부산역은 지금의 도쿄역이나 구 서울역과 비슷한 [[르네상스 양식]]에 비잔틴풍의 화려한 건축양식을 하고 있었다. 한반도 최초의 근대식 역 건물이었으며, 1925년에 완공된 [[서울역]]보다도 15년 먼저 만들어졌다. 1층은 역무실로 사용하고 2층은 [[호텔]]로 사용했다. 이 역사는 1953년 [[부산역전 대화재]]로 전소되었다.<ref>[http://news.joins.com/article/3097486 근현대사 영욕 품은 ‘부산역 100년’], [[중앙일보]], 2009년 4월 3일</ref>
 
 
 
이후 부산역은 [[한국전쟁]] 직후의 혼란 속에 16년 동안이나 제대로 신축되지 못하고 있다가 1969년에 현재의 자리에 신축되었다. 1969년에 신축된 역사는 [[콘크리트]]를 부어 만든 멋없는 건물이었으며 화려함과는 거리가 먼 밋밋하고 답답한 디자인이었다. 이 역사는 여러 차례의 증축과 리모델링을 반복하며 줄곧 사용되어왔다.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에 발맞추어 대대적으로 리모델링되었고, 전면을 유리로 도배한 화려한 [[유리궁전]]으로 재탄생하였다. 역 전면을 볼록한 모양으로 처리하여 밋밋한 느낌은 피하고 웅장하고 대담한 느낌을 살렸다. 바다에 떠 있는 거대한 [[유람선]]처럼 생겨서 항구도시 부산의 이미지와도 잘 맞는다. 역 전면에 2층으로 연결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1층에도 출입구가 나 있는데 어차피 열차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2층으로 가야 한다.
 
 
 
== 연계 교통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과 붙어 있다.
 
 
 
여러 시내버스 노선들이 부산역을 중심으로 운행되고 있어서 부산 어디로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부산시티투어버스]] 또한 이용할 수 있다.  
 
  
 
== 승강장 ==
 
== 승강장 ==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
| <small>↑[[사상역 (한국철도공사)|사상(경부선)]]/[[울산역|울산(경부고속선)]]</small>
+
| <small>↑[[사상역|사상]]([[경부선]])/[[울산역|울산]]([[경부고속선]])</small>
 
|-
 
|-
|| <span style="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color:white;">1</span> {{!}} {{!}} {{!}} <span style="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color:white;">34</span> {{!}} {{!}} <span style="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color:white;">56</span> {{!}} {{!}} {{!}} <span style="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color:white;">89</span> {{!}} {{!}} <span style="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color:white;">10 11</span> {{!}}
+
|| <span style="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color:white;">1</span> {{!}} {{!}} {{!}} <span style="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color:white;">34</span> {{!}} {{!}} <span style="background:#312783; color:white;">56</span> {{!}} {{!}} {{!}} <span style="background:#312783; color:white;">89</span> {{!}} {{!}} <span style="background:#312783; color:white;">1011</span> {{!}}
 
|-
 
|-
| <small>시·종착역</small>
+
| <small>시종착역</small>
 
|}
 
|}
  
{|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style="" class="wikitable"
+
* 1·3·4번 승강장 : {{철도 링크|경부선}} [[서울역|서울]] 방면 (ITX-새마을, 무궁화 탑승구)
|-
+
* 5-11번 승강장 : {{철도 링크|경부고속선}} [[서울역|서울]] 방면 (KTX 탑승구)
! 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 방면
 
|-
 
! 1
 
| 경부선
 
| {{철도 링크|ITX}} · {{철도 링크|S}} · {{철도 링크|무궁화}}
 
| [[구포역|구포]]·[[동대구역|동대구]]·[[대전역|대전]]·[[서울역|서울]]·[[마산역|마산]]·[[순천역|순천]]·[[보성역|보성]] 방면
 
|-
 
! 3·4
 
| 경부선
 
|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ITX}} · {{철도 링크|무궁화}}
 
| [[동대구역|동대구]]·[[영주역|영주]]·[[강릉역|강릉]]·[[대전역|대전]]·[[서울역|서울]] 방면
 
|-
 
! 5·6
 
| 경부고속선
 
|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SRT}}
 
| [[밀양역|밀양]]·[[동대구역|동대구]]·[[대전역|대전]]·[[서울역|서울]]·[[수서역|수서]] 방면
 
|-
 
! 8·9
 
| 경부고속선
 
|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SRT}}
 
| [[울산역|울산]]·[[경주역|경주]]·[[동대구역|동대구]]·[[대전역|대전]]·[[서울역|서울]]·[[수서역|수서]] 방면
 
|-
 
! 10·11
 
| 경부고속선
 
|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SRT}}
 
| [[울산역|울산]]·[[경주역|경주]]·[[동대구역|동대구]]·[[대전역|대전]]·[[서울역|서울]]·[[수서역|수서]] 방면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지하철|부산|1}} [[부산역(도시철도)]]
+
* {{부산도시철도 링크|1}} [[부산역(도시철도)]]
 
 
== 주석 ==
 
<references/>
 
  
 
{{경부고속선}}
 
{{경부고속선}}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