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나라 정보
+
{{국가
|나라이름=일본
+
|-
|현지이름=일본국|다른표기={{llang|ja|日本国}}
+
|공식 명칭=日本国
|국기_그림=일장기.png
+
|-
|문장_그림=일본문장.png
+
|국기=[[파일:일장기.png|300픽셀]]
|나라_표어=
+
|한글 표기 = 일본국
|나라_표어_설명=
+
|한자 표기 = 日本國
|국가=기미가요
+
|영문 표기 = Japan
|수도=[[도쿄]]
+
|약칭 = 일본
|최대_도시=[[도쿄]]
+
|면적 = 377,944
|공용어=
+
|인구 = 1억 2665만 9683
|국어=[[일본어]]
+
|인구밀도= 337.1
|인종=98.5% [[일본인]]<br>0.5% [[한국인]]<br>0.4% [[중국인]]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정]]·[[내각 책임제]]·[[양당제]]·[[양원제]]
|종교=
+
|국가 원수 = [[국왕]] [[야키히토]]
|정부형태=[[의원 내각제]]<br>[[입헌군주제]]
+
|행정 수반 = [[총리]] [[노다 요시히코]]
|지도자_칭호=천황
+
|행정구역 = 1도() 1도() 2부 43현
|지도자_이름=[[아키히토]]
+
|수도 = [[도쿄도]]
|지도자_칭호1=총리
+
}}
|지도자_이름1=[[아베 신조]]
 
|지도자_칭호2=부총리
 
|지도자_이름2=[[아소 다로]]
 
|입법부=국회 (양원제)
 
|주권='''건국'''
 
|정부수립1=건국일
 
|정부수립일1=BC 660년 2월 11일
 
|정부수립2=메이지 헌법
 
|정부수립일2=1890년 11월 29일
 
|정부수립3=현행 헌법
 
|정부수립일3=1947년 5월 3일
 
|면적=377,944
 
|면적_순위=62
 
|내수면_비율=0.8
 
|인구조사년도=2017
 
|조사인구수=1억 2667만 2000
 
|인구_순위=10
 
|인구밀도=337.1
 
|인구밀도_순위=36
 
|GDP_PPP_년도=2018
 
|GDP_PPP=5조 6190억 <nowiki>$</nowiki> (4위)
 
|일인당_GDP_PPP=4만 4426 <nowiki>$</nowiki> (27위)
 
|GDP_명목상_년도=2018
 
|GDP_명목상=5조 1670억 <nowiki>$</nowiki> (3위)
 
|일인당_GDP_명목상=4만 849 <nowiki>$</nowiki> (20위)
 
|지니계수=37.9
 
|지니계수_조사년도=2011
 
|지니계수_평가=보통
 
|인간개발지수=0.903
 
|HDI_조사년도=2015
 
|HDI_평가=매우 높음
 
|통화=[[일본 엔|엔]]
 
|통화기호=¥
 
|시간대=UTC+9 ([[일본 표준시]])
 
|일광절약시간=없음
 
|차량통행방향=왼쪽
 
|국가도메인=[[.jp]]
 
|국제전화번호=81
 
|}}
 
  
'''일본국'''({{llang|ko-Hani|日本國}}), 줄여서 '''일본'''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섬]] [[나라]]이다. [[태평양]]상에 위치해 있는 일본은 [[동해]]를 서쪽으로 끼고 있으며, [[러시아]], [[북한]], [[대한민국]], [[중국]]과 해상 국경을 이루고 있다. “일본”(日本)은 해가 떠오르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이는 일본이 동아시아의 동쪽 끄트머리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은 “Land of the Rising Sun”, 즉 “태양이 뜨는 나라”로 불리기도 한다.
+
{{대사|The land of rising sun (떠오르는 태양의 나라)}}
 +
 
 +
'''일본국'''({{llang|ko-Hani|日本國}}), 줄여서 '''일본'''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섬]] [[나라]]이다. [[태평양]]상에 위치해 있는 일본은 [[동해]]를 서쪽으로 끼고 있으며, [[러시아]], [[북한]], [[대한민국]], [[중국]]과 해상 국경을 이루고 있다. “일본”(日本)은 해가 떠오르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이는 일본이 동아시아의 동쪽 끄트머리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은 “Land of the Rising Sun”, 즉 “떠오르는 태양의 나라”로 불리기도 한다.
  
 
일본은 약 6,825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가장 큰 4개의 섬인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가 전체 국토의 97%를 차지한다. 일본의 인구는 1억 2,700만 명 내외로서, 세계에서 10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특히 [[도쿄]]는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인구가 3,000만 명을 넘는다.
 
일본은 약 6,825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가장 큰 4개의 섬인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가 전체 국토의 97%를 차지한다. 일본의 인구는 1억 2,700만 명 내외로서, 세계에서 10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특히 [[도쿄]]는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인구가 3,000만 명을 넘는다.
  
일본은 경제대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막강한 경제력을 가진 나라이다. 일본은 명목상 GDP로 봤을 때 [[미국]]과 [[중국]]에 이어 3번째로 큰 경제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세계에서 4번째로 수출 및 수입이 많은 나라이기도 하다. 일본은 [[제 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로 공식적으로 군대를 보유할 수 없는 나라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세계에서 6번째로 국방비를 많이 지출하는 국가이며, 자기방어 및 치안유지를 위한 준군사조직인 [[자위대]](自衛隊)를 운영하고 있다. 일본은 치안이 잘 되어 있는 나라로 손꼽히며, 특히 강력범죄의 발생이 적어 세계에서 [[싱가포르]] 다음으로 살인 범죄 발생률이 낮은 나라이다. 일본은 장수국가로도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일본 여성의 평균수명은 86.0세, 남성의 평균수명은 79.4세이다. 여자의 경우 거의 90살 가까이까지, 남성의 경우 거의 80살 가까이까지 산다는 얘기인데, 언뜻 들으면 그냥 오래 사니까 좋은 것 같지만, 실제로 일본 정부는 인구 고령화와 청년 노동력 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
일본은 경제대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막강한 경제력을 가진 나라이다. 일본은 명목상 GDP로 봤을 때 [[미국]]과 [[중국]]에 이어 3번째로 큰 경제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세계에서 4번째로 수출 및 수입이 많은 나라이기도 하다. 일본은 [[제 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로 공식적으로 “[[전쟁]]을 선포할 수 없는 나라”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세계에서 6번째로 국방비를 많이 지출하는 국가이며, 자기방어 및 치안유지를 위한 군대인 [[자위대]](自衛隊)를 운영하고 있다. 일본은 치안이 잘 되어 있는 나라로 손꼽히며, 특히 강력범죄의 발생이 적어 세계에서 [[싱가포르]] 다음으로 살인 범죄 발생률이 낮은 나라이다. 일본은 장수국가로도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일본 여성의 평균수명은 86.0세, 남성의 평균수명은 79.4세이다. 여자의 경우 거의 90살 가까이까지, 남성의 경우 거의 80살 가까이까지 산다는 얘기인데, 언뜻 들으면 그냥 오래 사니까 좋은 것 같지만, 실제로 일본 정부는 인구 고령화와 청년 노동력 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 정부 및 정치 ==
 
== 정부 및 정치 ==
내각책임제와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일본은 [[입헌군주국]]으로서, [[국왕]]이 존재하고 있지만, 실권은 거의 가지지 않으며 상징적인 존재이다. 일본인에게는 일본 신화와 연결되어 [[종교]]적인 의미도 담고 있다. 현행 평화헌법에는 왕이 국가원수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애매하게 서술되어 있다. 행정권은 내각총리대신을 수반으로 하는 내각에 속한다. 현재 일본의 국왕은 [[아키히토]]이며, 그 첫째 아들인 [[나루히토]]가 왕위를 물려받을 준비를 하고 있다.
+
일본은 [[입헌군주국]]으로서, [[국왕]]이 존재하고 있지만, 실권은 거의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국왕은 상징적인 의미가 크며, 일본인에게는 일본 신화와 연결되어 [[종교]]적인 의미도 담고 있다. 일본의 실권을 가지는 쪽은 [[총리]]와 그 내각이다. 현재 일본의 국왕은 [[아키히토]]이며, 그 첫째 아들인 [[나루히토]]가 왕위를 물려받을 준비를 하고 있다.
  
일본의 입법부는 [[국회]]이며, 중의원과 참의원으로 나뉜 양원제 국회이다. 미국 하원에 해당하는 중의원은 480석을 가지며, 매 4년마다 선거가 치러진다. 미국 상원에 해당하는 참의원은 242석을 가지며, 6년마다 선거가 치러진다. 그러나 실제로 임기 만료에 의한 총선이 치뤄진 적보다는 임기 중 의회 해산에 의한 총선이 치뤄진 경우가 더 많다.
+
일본의 입법부는 [[국회]]이며, 중의원과 참의원으로 나뉜 양원제 국회이다. 미국 하원에 해당하는 중의원은 480석을 가지며, 매 4년마다 선거가 치러진다. 미국 상원에 해당하는 참의원은 242석을 가지며, 6년마다 선거가 치러진다. 지난 [[2009년]]에는 무려 54년 동안 일본의 여당으로 군림하던 우익 정당인 [[자민당]]이 [[민주당]]에게 밀려 사상 최초로 여당과 야당이 바뀌는 현상이 벌어졌다.
 
 
지방 행정구역은 47개 도도부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의 지방자치와 행정구역]] 참고.
 
  
 
== 외교관계 ==
 
== 외교관계 ==
80번째 줄: 41번째 줄:
  
 
== 지리 ==
 
== 지리 ==
[[File:Reliefmap_of_Japan.png|300픽셀|섬네일|일본의 지형도]]
+
[[파일:일본지도.png|300픽셀|섬네일|일본의 지형도]]
[[파일:다다미.jpg|300픽셀|섬네일|일본은 습도가 연중 높아 [[다다미]]를 깔고 생활한다.]]
+
[[파일:다다미.jpg|300픽셀|섬네일|일본은 해양성 기후로서, 연교차가 심하지 않으나 습도가 연중 높아 [[다다미]]를 깔고 생활한다.]]
  
 
일본 국토의 73%는 [[숲]]과 [[산지]]로 되어 있어 [[농업]]이나 거주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일본 인구는 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 특히 수도인 [[도쿄]]의 인구수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일본 국토의 73%는 [[숲]]과 [[산지]]로 되어 있어 [[농업]]이나 거주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일본 인구는 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 특히 수도인 [[도쿄]]의 인구수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일본은 지질학적으로 “불의 고리”(Ring of Fire)라고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화산대]]에 위치한다. 각각 일본 동쪽과 남쪽에 위치한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이 일본 북서쪽에 위치한 [[유라시아판]]아래로 녹아들어가게 되는데, 그 바로 위에 위치한 일본은 [[화산]]과 [[지진]]의 천국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는 108개의 활화산이 위치하며, 지진이 자주 발생해 [[쓰나미]] 등의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1923년]] [[동경 대지진]] 당시에는 14만 명의 일본인이 사망하기도 했다. [[1995년]]에는 [[한신 대지진]]이 발생하여 6,300여명이 사망했고, [[2011년]]에는 [[도호쿠 지진]]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쓰나미]]가 발생하여 15,890명이 사망했고, 쓰나미가 덮친 [[후쿠시마 원전]]이 폭발하여, 대량의 [[방사능]] 유출 사고까지 발생하였다.
+
일본은 지질학적으로 “불의 고리”(Ring of Fire)라고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화산대]]에 위치한다. 각각 일본 동쪽과 남쪽에 위치한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이 일본 북서쪽에 위치한 [[유라시아판]]아래로 녹아들어가게 되는데, 그 바로 위에 위치한 일본은 [[화산]]과 [[지진]]의 천국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는 108개의 활화산이 위치하며, 지진이 자주 발생해 [[쓰나미]] 등의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1923년]] [[동경 대지진]] 당시에는 14만 명의 일본인이 사망하기도 했다. [[1995년]]에는 [[한신 대지진]]이 발생하여 6,300여명이 사망했고, [[2011년]]에는 [[도호쿠 지진]]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쓰나미]]가 발생하였고, 쓰나미가 덮친 [[후쿠시마 원전]]이 폭발, 대량의 [[방사능]] 유출 사고까지 발생하였다.
  
 
=== 기후 ===
 
=== 기후 ===
일본의 기후는 주로 [[아열대습윤기후]](Cfa)가 많고 혼슈 북부와 고산지대, 홋카이도는 [[습윤대륙성기후]](Dfa)<ref>드물게 홋카이도 남부는 [[서안해양성기후]](Cfb)에 속한다.</ref>를 나타낸다. 쿠로시오 난류와 쓰시마 난류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와 비교할 때 습도와 강수량이 균등하고 연교차가 비교적 적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일본의 겨울 평균 기온은 5.1°C 내외이며 강수량이 많다. 우리나라의 겨울 평균 기온이 통상 0°C 이하로 내려가는 것과 비교할 때, 겨울이 온화하다고 할 수 있다. 여름의 평균 기온은 25.2°C 내외로서 고온다습하다.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는 일본 지리의 특성상 지역에 따라 장마기간이 다르다. 가장 남쪽인 [[오키나와]] 지역에는 장마가 5월에 시작하는 반면, 가장 북쪽인 [[홋카이도]]는 7월 말이 돼서야 장마가 시작한다. [[혼슈]] 도쿄 지역의 경우 장마는 6월 중순경에 시작하여 약 6주일간 계속된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늦여름과 초가을 사이에 [[태풍]]이 지나가 큰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
일본의 기후는 대체적으로 우리나라의 기후와 비슷하지만, 해양의 영향이 훨씬 더 강하다. 일본의 겨울 평균 기온은 5.1°C 내외이다. 우리나라의 겨울 평균 기온이 통상 0°C 이하로 내려가는 것과 비교할 때, 겨울이 온화하다고 할 수 있다. 여름의 평균 기온은 25.2°C 로서, 역시 우리나라의 여름과 비교하면 더위가 훨씬 덜하다.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는 일본 지리의 특성상 지역에 따라 장마기간이 다르다. 가장 남쪽인 [[오키나와]] 지역에는 장마가 5월에 시작하는 반면, 가장 북쪽인 [[홋카이도]]는 7월 말이 돼서야 장마가 시작한다. [[혼슈]] 도쿄 지역의 경우 장마는 6월 중순경에 시작하여 약 6주일간 계속된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늦여름과 초가을 사이에 [[태풍]]이 지나가 큰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일본은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후 특성이 나타난다.
 
일본은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후 특성이 나타난다.
  
 
* '''홋카이도 지방''' - 가장 북쪽에 위치한 홋카이도는 겨울이 춥고 길며 그에 비해 여름은 시원한 편이다.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 '''홋카이도 지방''' - 가장 북쪽에 위치한 홋카이도는 겨울이 춥고 길며 그에 비해 여름은 시원한 편이다.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 '''혼슈 서해안''' - [[동해]]와 면해 있는 곳으로, 겨울이 되면 북서풍이 따뜻한 동해를 건너면서 큰 눈구름으로 발달, 큰 눈을 내린다. 여름에는 강수량이 적으나 푄 현상의 영향으로 기온이 크게 올라간다.
+
* '''혼슈 서해안''' - [[동해]]와 면해 있는 곳으로, 겨울이 되면 북서풍이 따뜻한 동해를 건너면서 큰 눈구름으로 발달, 큰 눈을 내린다. 반면에 여름은 비교적 시원한 편인데, 이는 따뜻한 남동풍을 산맥이 막아주기 때문이다.
 
* '''중앙 고원지대''' - 내륙지방이기 때문에 연교차와 일교차가 심한 편이다. 강수량은 적은 편이나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 '''중앙 고원지대''' - 내륙지방이기 때문에 연교차와 일교차가 심한 편이다. 강수량은 적은 편이나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 '''동해안''' - [[태평양]]과 면해 있는 곳으로, 서해안과는 반대로 겨울은 따뜻하지만 여름에는 굉장히 덥고 습하다.
 
* '''동해안''' - [[태평양]]과 면해 있는 곳으로, 서해안과는 반대로 겨울은 따뜻하지만 여름에는 굉장히 덥고 습하다.
101번째 줄: 62번째 줄:
 
<gallery widths=180px perrow=5>
 
<gallery widths=180px perrow=5>
 
파일:도쿄.jpg|세계 최대의 도시인 [[도쿄]]
 
파일:도쿄.jpg|세계 최대의 도시인 [[도쿄]]
File:Osaka Castle Nishinomaru Garden April 2005.JPG|[[오사카 성]]
+
파일:오사카.jpg|[[오사카 성]]으로 유명한 [[오사카]]
File:Numazu_and_Mount_Fuji.jpg|일본 최고봉인 [[후지산]]
+
파일:후지산.jpg|일본 최고봉인 [[후지산]]
File:Ishiyama st 01.jpg|[[겨울]]의 [[삿포로]] 전경
+
파일:삿포로.jpg|[[겨울]]의 [[삿포로]] 전경
 
파일:자오산맥.jpg|눈 덮인 [[자오산맥]].
 
파일:자오산맥.jpg|눈 덮인 [[자오산맥]].
 
</gallery>
 
</gallery>
  
 
== 경제 ==
 
== 경제 ==
[[File:Toyota Prius III.JPG|300픽셀|섬네일|[[도요타]] [[프리우스]] III. [[자동차]]는 일본의 최고 수출상품이다.]]
+
[[파일:프리우스.jpg|300픽셀|섬네일|[[도요타]] [[프리우스]] III. [[자동차]]는 일본의 최고 수출상품이다.]]
 
[[에도]] 시대에 일본 곳곳을 잇는 교통로가 생기면서, 상공업이 크게 발달하기 시작했다. 1868년, [[메이지 유신]]이 단행되면서 일본은 경제적으로 서구식의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했으며, 수많은 기업들이 만들어졌다. 이 당시 만들어진 기업이 지금까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다가 두 개의 [[원자폭탄]]을 맞고 패망한 일본은 경제적으로도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이윽고 [[한국전쟁]]이 터지고, 일본은 한국전쟁 특수를 타고 산업시설이 재건되는 등 경제 발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일본은 1960~70년대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기록하며 아시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섰다.
 
[[에도]] 시대에 일본 곳곳을 잇는 교통로가 생기면서, 상공업이 크게 발달하기 시작했다. 1868년, [[메이지 유신]]이 단행되면서 일본은 경제적으로 서구식의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했으며, 수많은 기업들이 만들어졌다. 이 당시 만들어진 기업이 지금까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다가 두 개의 [[원자폭탄]]을 맞고 패망한 일본은 경제적으로도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이윽고 [[한국전쟁]]이 터지고, 일본은 한국전쟁 특수를 타고 산업시설이 재건되는 등 경제 발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일본은 1960~70년대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기록하며 아시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섰다.
  
하지만 1990년대의 일본 경제상황은 급속도로 악화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라고 부르는 시기이다. 극심한 불황의 원인은 부동산 경기의 갑작스런 침체였다. 사실 1990년대 이전까지 일본의 부동산 가격은 매년 떨어질 줄 모르고 오르기만 했었다. 그러자 너나 할 것 없이 큰 부자가 된다는 생각에 전 국민이 부동산 투자에 뛰어들게 되었고, 그럴수록 부동산의 가격은 더욱더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게 된 것이다. 그러다가 어느 날, 부동산에 끼어 있던 “거품”이 한 번에 꺼지면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이다.
+
하지만 1990년대의 일본 경제상황은 급속도로 악화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일본의 일어버린 10년”'''이라고 부르는 시기이다. 극심한 불황의 원인은 부동산 경기의 갑작스런 침체였다. 사실 1990년대 이전까지 일본의 부동산 가격은 매년 떨어질 줄 모르고 오르기만 했었다. 그러자 너나 할 것 없이 큰 부자가 된다는 생각에 전 국민이 부동산 투자에 뛰어들게 되었고, 그럴수록 부동산의 가격은 더욱더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게 된 것이다. 그러다가 어느 날, 부동산에 끼어 있던 “거품”이 한 번에 꺼지면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이다.
  
 
2000년대 후반,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 끝나고, 일본 경제는 다시 일어서기 시작했다. 일본은 [[중국]]과 [[미국]] 다음으로 많은 명목상 [[GDP]]를 자랑하는 나라가 되며 아시아의 경제대국이라는 명성도 되찾았다. 하지만 일본은 무분별한 공채의 발행으로 연평균 생산량의 200배 이상의 국가채무를 지고 있어 일본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2000년대 후반,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 끝나고, 일본 경제는 다시 일어서기 시작했다. 일본은 [[중국]]과 [[미국]] 다음으로 많은 명목상 [[GDP]]를 자랑하는 나라가 되며 아시아의 경제대국이라는 명성도 되찾았다. 하지만 일본은 무분별한 공채의 발행으로 연평균 생산량의 200배 이상의 국가채무를 지고 있어 일본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121번째 줄: 82번째 줄:
  
 
=== 종교 ===
 
=== 종교 ===
일본인들은 하나의 종교만을 착실히 믿는 것이 아니라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종교를 믿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본에서 종교 통계를 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일단 일본인의 84~96% 정도는 [[불교]] 또는 [[신토]](일본의 전통 종교)를 믿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대다수는 불교와 신토를 동시에 믿고 있다. 하지만 통계를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서 일본인의 종교인 비율은 최저 20% 까지도 낮아지는 등, 가늠하기 힘들다. 일본에서도 [[크리스마스]]가 되면 선물을 주고받으며 꽤나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내는데, 실제 일본에서 [[교회]]를 매주 다니는 [[기독교]]인 비율은 1% 내외에 불과하여 사실상 소수 종교로 분류되고 있다. <del>하지만 크리스마스가 되면 모두 기독교인이 되는 불편한 진실</del> 일본은 한국과 달리 길거리에서 전통 종교 시설인 신사(神社)와 불교 사찰을 쉽게 볼 수 있다.
+
일본인들은 하나의 종교만을 착실히 믿는 것이 아니라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종교를 믿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본에서 종교 통계를 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일단 일본인의 84~96% 정도는 [[불교]] 또는 [[신토]](일본의 전통 종교)를 믿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대다수는 불교와 신토를 동시에 믿고 있다. 하지만 통계를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서 일본인의 종교인 비율은 최저 20% 까지도 낮아지는 등, 가늠하기 힘들다. 일본에서도 [[크리스마스]]가 되면 선물을 주고받으며 꽤나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내는데, 실제 일본에서 [[교회]]를 매주 다니는 [[기독교]]인 비율은 1% 내외에 불과하여 사실상 소수 종교로 분류되고 있다. <del>하지만 크리스마스가 되면 모두 기독교인이 되는 불편한 진실</del>
  
 
=== 스포츠 ===
 
=== 스포츠 ===
202번째 줄: 163번째 줄:
 
|}
 
|}
  
== 주석 ==
 
<references/>
 
 
{{G8}}
 
 
{{아시아}}
 
{{아시아}}
  
 
[[분류:일본| ]]
 
[[분류:일본|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