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1번째 줄: 31번째 줄:
 
|면적_순위=62
 
|면적_순위=62
 
|내수면_비율=0.8
 
|내수면_비율=0.8
|인구조사년도=2017
+
|인구어림년도=2014
|조사인구수=1억 2667만 2000
+
|어림인구수=1억 2643만 4964
 
|인구_순위=10
 
|인구_순위=10
 +
|인구조사년도=2010
 +
|조사인구수=1억 2805만 6026
 
|인구밀도=337.1
 
|인구밀도=337.1
 
|인구밀도_순위=36
 
|인구밀도_순위=36
|GDP_PPP_년도=2018
+
|GDP_PPP_년도=2014
|GDP_PPP=5조 6190억 <nowiki>$</nowiki> (4위)
+
|GDP_PPP=4조 7880억 <nowiki>$</nowiki> (4위)
|일인당_GDP_PPP=4만 4426 <nowiki>$</nowiki> (27위)
+
|일인당_GDP_PPP=3만 7683 <nowiki>$</nowiki> (28위)
|GDP_명목상_년도=2018
+
|GDP_명목상_년도=2014
|GDP_명목상=5조 1670억 <nowiki>$</nowiki> (3위)
+
|GDP_명목상=4조 4770억 <nowiki>$</nowiki> (3위)
|일인당_GDP_명목상=4만 849 <nowiki>$</nowiki> (20위)
+
|일인당_GDP_명목상=3만 7540 <nowiki>$</nowiki> (29위)
|지니계수=37.9
+
|지니계수=37.6
|지니계수_조사년도=2011
+
|지니계수_조사년도=2008
 
|지니계수_평가=보통
 
|지니계수_평가=보통
|인간개발지수=0.903
+
|인간개발지수=0.890
|HDI_조사년도=2015
+
|HDI_조사년도=2014
 
|HDI_평가=매우 높음
 
|HDI_평가=매우 높음
 
|통화=[[일본 엔|엔]]
 
|통화=[[일본 엔|엔]]
56번째 줄: 58번째 줄:
 
|국제전화번호=81
 
|국제전화번호=81
 
|}}
 
|}}
 +
 +
{{대사|국가부채에 신음하고 있는 아시아 경제대국}}
  
 
'''일본국'''({{llang|ko-Hani|日本國}}), 줄여서 '''일본'''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섬]] [[나라]]이다. [[태평양]]상에 위치해 있는 일본은 [[동해]]를 서쪽으로 끼고 있으며, [[러시아]], [[북한]], [[대한민국]], [[중국]]과 해상 국경을 이루고 있다. “일본”(日本)은 해가 떠오르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이는 일본이 동아시아의 동쪽 끄트머리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은 “Land of the Rising Sun”, 즉 “태양이 뜨는 나라”로 불리기도 한다.
 
'''일본국'''({{llang|ko-Hani|日本國}}), 줄여서 '''일본'''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섬]] [[나라]]이다. [[태평양]]상에 위치해 있는 일본은 [[동해]]를 서쪽으로 끼고 있으며, [[러시아]], [[북한]], [[대한민국]], [[중국]]과 해상 국경을 이루고 있다. “일본”(日本)은 해가 떠오르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이는 일본이 동아시아의 동쪽 끄트머리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은 “Land of the Rising Sun”, 즉 “태양이 뜨는 나라”로 불리기도 한다.
80번째 줄: 84번째 줄:
  
 
== 지리 ==
 
== 지리 ==
[[File:Reliefmap_of_Japan.png|300픽셀|섬네일|일본의 지형도]]
+
[[파일:일본지도.png|300픽셀|섬네일|일본의 지형도]]
[[파일:다다미.jpg|300픽셀|섬네일|일본은 습도가 연중 높아 [[다다미]]를 깔고 생활한다.]]
+
[[파일:다다미.jpg|300픽셀|섬네일|일본은 해양성 기후로서, 연교차가 심하지 않으나 습도가 연중 높아 [[다다미]]를 깔고 생활한다.]]
  
 
일본 국토의 73%는 [[숲]]과 [[산지]]로 되어 있어 [[농업]]이나 거주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일본 인구는 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 특히 수도인 [[도쿄]]의 인구수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일본 국토의 73%는 [[숲]]과 [[산지]]로 되어 있어 [[농업]]이나 거주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일본 인구는 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 특히 수도인 [[도쿄]]의 인구수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88번째 줄: 92번째 줄:
  
 
=== 기후 ===
 
=== 기후 ===
일본의 기후는 주로 [[아열대습윤기후]](Cfa)가 많고 혼슈 북부와 고산지대, 홋카이도는 [[습윤대륙성기후]](Dfa)<ref>드물게 홋카이도 남부는 [[서안해양성기후]](Cfb)에 속한다.</ref>나타낸다. 쿠로시오 난류와 쓰시마 난류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와 비교할 때 습도와 강수량이 균등하고 연교차가 비교적 적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일본의 겨울 평균 기온은 5.1°C 내외이며 강수량이 많다. 우리나라의 겨울 평균 기온이 통상 0°C 이하로 내려가는 것과 비교할 때, 겨울이 온화하다고 할 수 있다. 여름의 평균 기온은 25.2°C 내외로서 고온다습하다.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는 일본 지리의 특성상 지역에 따라 장마기간이 다르다. 가장 남쪽인 [[오키나와]] 지역에는 장마가 5월에 시작하는 반면, 가장 북쪽인 [[홋카이도]]는 7월 말이 돼서야 장마가 시작한다. [[혼슈]] 도쿄 지역의 경우 장마는 6월 중순경에 시작하여 약 6주일간 계속된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늦여름과 초가을 사이에 [[태풍]]이 지나가 큰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
일본의 기후는 주로 온난 습윤 기후(Cfa)가 많고 혼슈 북부와 고산지대, 홋카이도는 냉대 습윤 기후(Dfa)를 띄고 있다. 쿠로시오 난류와 쓰시마 난류의 영향으로 습도와 강수량이 균등하고 연교차가 적으나 비슷한 조건을 가진 서유럽 국가들과 비교하면 낮은 위도로 인해 여름이 덥고 습하며 사계절이 뚜렷한 편이다. 일본의 겨울 평균 기온은 5.1°C 내외이며 강수량이 많다. 우리나라의 겨울 평균 기온이 통상 0°C 이하로 내려가는 것과 비교할 때, 겨울이 온화하다고 할 수 있다. 여름의 평균 기온은 25.2°C 내외로서 고온다습하다.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는 일본 지리의 특성상 지역에 따라 장마기간이 다르다. 가장 남쪽인 [[오키나와]] 지역에는 장마가 5월에 시작하는 반면, 가장 북쪽인 [[홋카이도]]는 7월 말이 돼서야 장마가 시작한다. [[혼슈]] 도쿄 지역의 경우 장마는 6월 중순경에 시작하여 약 6주일간 계속된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늦여름과 초가을 사이에 [[태풍]]이 지나가 큰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일본은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후 특성이 나타난다.
 
일본은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후 특성이 나타난다.
  
 
* '''홋카이도 지방''' - 가장 북쪽에 위치한 홋카이도는 겨울이 춥고 길며 그에 비해 여름은 시원한 편이다.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 '''홋카이도 지방''' - 가장 북쪽에 위치한 홋카이도는 겨울이 춥고 길며 그에 비해 여름은 시원한 편이다.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 '''혼슈 서해안''' - [[동해]]와 면해 있는 곳으로, 겨울이 되면 북서풍이 따뜻한 동해를 건너면서 큰 눈구름으로 발달, 큰 눈을 내린다. 여름에는 강수량이 적으나 현상의 영향으로 기온이 크게 올라간다.
+
* '''혼슈 서해안''' - [[동해]]와 면해 있는 곳으로, 겨울이 되면 북서풍이 따뜻한 동해를 건너면서 큰 눈구름으로 발달, 큰 눈을 내린다. 반면에 여름은 비교적 시원한 편인데, 이는 따뜻한 남동풍을 산맥이 막아주기 때문이다.<ref>다만 니가타 같은 경우 현상으로 인해 36℃까지 올라가기도 한다.</ref>
 
* '''중앙 고원지대''' - 내륙지방이기 때문에 연교차와 일교차가 심한 편이다. 강수량은 적은 편이나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 '''중앙 고원지대''' - 내륙지방이기 때문에 연교차와 일교차가 심한 편이다. 강수량은 적은 편이나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 '''동해안''' - [[태평양]]과 면해 있는 곳으로, 서해안과는 반대로 겨울은 따뜻하지만 여름에는 굉장히 덥고 습하다.
 
* '''동해안''' - [[태평양]]과 면해 있는 곳으로, 서해안과는 반대로 겨울은 따뜻하지만 여름에는 굉장히 덥고 습하다.
102번째 줄: 106번째 줄:
 
파일:도쿄.jpg|세계 최대의 도시인 [[도쿄]]
 
파일:도쿄.jpg|세계 최대의 도시인 [[도쿄]]
 
File:Osaka Castle Nishinomaru Garden April 2005.JPG|[[오사카 성]]
 
File:Osaka Castle Nishinomaru Garden April 2005.JPG|[[오사카 성]]
File:Numazu_and_Mount_Fuji.jpg|일본 최고봉인 [[후지산]]
+
File:Mountfujijapan.jpg|일본 최고봉인 [[후지산]]
 
File:Ishiyama st 01.jpg|[[겨울]]의 [[삿포로]] 전경
 
File:Ishiyama st 01.jpg|[[겨울]]의 [[삿포로]] 전경
 
파일:자오산맥.jpg|눈 덮인 [[자오산맥]].
 
파일:자오산맥.jpg|눈 덮인 [[자오산맥]].
111번째 줄: 115번째 줄:
 
[[에도]] 시대에 일본 곳곳을 잇는 교통로가 생기면서, 상공업이 크게 발달하기 시작했다. 1868년, [[메이지 유신]]이 단행되면서 일본은 경제적으로 서구식의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했으며, 수많은 기업들이 만들어졌다. 이 당시 만들어진 기업이 지금까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다가 두 개의 [[원자폭탄]]을 맞고 패망한 일본은 경제적으로도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이윽고 [[한국전쟁]]이 터지고, 일본은 한국전쟁 특수를 타고 산업시설이 재건되는 등 경제 발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일본은 1960~70년대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기록하며 아시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섰다.
 
[[에도]] 시대에 일본 곳곳을 잇는 교통로가 생기면서, 상공업이 크게 발달하기 시작했다. 1868년, [[메이지 유신]]이 단행되면서 일본은 경제적으로 서구식의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했으며, 수많은 기업들이 만들어졌다. 이 당시 만들어진 기업이 지금까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다가 두 개의 [[원자폭탄]]을 맞고 패망한 일본은 경제적으로도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이윽고 [[한국전쟁]]이 터지고, 일본은 한국전쟁 특수를 타고 산업시설이 재건되는 등 경제 발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일본은 1960~70년대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기록하며 아시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섰다.
  
하지만 1990년대의 일본 경제상황은 급속도로 악화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라고 부르는 시기이다. 극심한 불황의 원인은 부동산 경기의 갑작스런 침체였다. 사실 1990년대 이전까지 일본의 부동산 가격은 매년 떨어질 줄 모르고 오르기만 했었다. 그러자 너나 할 것 없이 큰 부자가 된다는 생각에 전 국민이 부동산 투자에 뛰어들게 되었고, 그럴수록 부동산의 가격은 더욱더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게 된 것이다. 그러다가 어느 날, 부동산에 끼어 있던 “거품”이 한 번에 꺼지면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이다.
+
하지만 1990년대의 일본 경제상황은 급속도로 악화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일본의 일어버린 10년”'''이라고 부르는 시기이다. 극심한 불황의 원인은 부동산 경기의 갑작스런 침체였다. 사실 1990년대 이전까지 일본의 부동산 가격은 매년 떨어질 줄 모르고 오르기만 했었다. 그러자 너나 할 것 없이 큰 부자가 된다는 생각에 전 국민이 부동산 투자에 뛰어들게 되었고, 그럴수록 부동산의 가격은 더욱더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게 된 것이다. 그러다가 어느 날, 부동산에 끼어 있던 “거품”이 한 번에 꺼지면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이다.
  
 
2000년대 후반,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 끝나고, 일본 경제는 다시 일어서기 시작했다. 일본은 [[중국]]과 [[미국]] 다음으로 많은 명목상 [[GDP]]를 자랑하는 나라가 되며 아시아의 경제대국이라는 명성도 되찾았다. 하지만 일본은 무분별한 공채의 발행으로 연평균 생산량의 200배 이상의 국가채무를 지고 있어 일본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2000년대 후반,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 끝나고, 일본 경제는 다시 일어서기 시작했다. 일본은 [[중국]]과 [[미국]] 다음으로 많은 명목상 [[GDP]]를 자랑하는 나라가 되며 아시아의 경제대국이라는 명성도 되찾았다. 하지만 일본은 무분별한 공채의 발행으로 연평균 생산량의 200배 이상의 국가채무를 지고 있어 일본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201번째 줄: 205번째 줄:
 
| 현재 일본의 천황인 [[아키히토]]의 생일이다.
 
| 현재 일본의 천황인 [[아키히토]]의 생일이다.
 
|}
 
|}
 
== 주석 ==
 
<references/>
 
  
 
{{G8}}
 
{{G8}}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