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7번째 줄: 77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이명박 정권 ===
 
=== 이명박 정권 ===
자유한국당의 전신은 1997년 창당된 [[한나라당]]이다. 한나라당은 2007년 [[이명박]] 대통령을 당선시키며 [[여당]]이 되었다. 하지만 이명박 정권 말기에 치러진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한나라당]]은 참패의 원인을 ‘정권 심판론’으로 분석하고, [[박근혜]]를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며 대책을 구상하였다. 한나라당은 당 쇄신 차원에서 2012년 2월,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당 상징색도 기존의 하늘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하였는데, 여기에는 과거역사 단절 및 이명박 정권과의 거리 두기라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 이러한 작전이 잘 먹혀들어가면서, 새누리당은 [[제19대 총선]]에서 야권연대([[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에게 참패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과반의석(152석/300석)을 따내면서 압승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19대 총선의 승리는 비상대책위원장으로 활약한 [[박근혜]]의 행보에도 날개를 달아준 셈이 되었다. 박근혜는 [[제18대 대선]]에 출마하여 51.6%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48.0%의 득표율을 기록한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후보를 꺾고 [[대통령]]이 되었다. 이로서 새누리당은 여당의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다.
+
미래통합당의 전신은 1997년 창당된 [[한나라당]]이다. 한나라당은 2007년 [[이명박]] 대통령을 당선시키며 [[여당]]이 되었다. 하지만 이명박 정권 말기에 치러진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한나라당]]은 참패의 원인을 ‘정권 심판론’으로 분석하고, [[박근혜]]를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며 대책을 구상하였다. 한나라당은 당 쇄신 차원에서 2012년 2월,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당 상징색도 기존의 하늘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하였는데, 여기에는 과거역사 단절 및 이명박 정권과의 거리 두기라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 이러한 작전이 잘 먹혀들어가면서, 새누리당은 [[제19대 총선]]에서 야권연대([[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에게 참패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과반의석(152석/300석)을 따내면서 압승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19대 총선의 승리는 비상대책위원장으로 활약한 [[박근혜]]의 행보에도 날개를 달아준 셈이 되었다. 박근혜는 [[제18대 대선]]에 출마하여 51.6%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48.0%의 득표율을 기록한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후보를 꺾고 [[대통령]]이 되었다. 이로서 새누리당은 여당의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다.
  
 
=== 박근혜 정권 ===
 
=== 박근혜 정권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