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지진'''({{llang|ko-Hani|地震}},{{llang|en|earthquake}})은 [[지구]]의 겉표면을 이루는 [[지각]]이 갑자기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지진파]]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이라고 하면 지진파가 유발되는 현상을 통틀어 부르는 것으로서, 자연적인 지진 이외에 [[핵]]실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공 지진도 포함한다. 실제로 지난 [[2013년]] [[2월 12일]] [[북한]]의 3차 핵실험 당시 [[기상청]]에서는 규모 4.9의 인공지진이 발생하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ref>SBS,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628450 핵실험 44초 만에 감지…"전형적인 인공지진"], 2013년 2월 12일</ref> 자연적인 지진은 주로 지질학적인 [[단층]]이 파열되면서 나타나는 것인데, 그 밖에도 화산 활동, 산사태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지진이 발생한 땅 속의 지점을 [[진원]]이라고 하며, 진원의 바로 위 지표면은 [[진앙]]이라고 한다.  
 
'''지진'''({{llang|ko-Hani|地震}},{{llang|en|earthquake}})은 [[지구]]의 겉표면을 이루는 [[지각]]이 갑자기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지진파]]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이라고 하면 지진파가 유발되는 현상을 통틀어 부르는 것으로서, 자연적인 지진 이외에 [[핵]]실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공 지진도 포함한다. 실제로 지난 [[2013년]] [[2월 12일]] [[북한]]의 3차 핵실험 당시 [[기상청]]에서는 규모 4.9의 인공지진이 발생하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ref>SBS,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628450 핵실험 44초 만에 감지…"전형적인 인공지진"], 2013년 2월 12일</ref> 자연적인 지진은 주로 지질학적인 [[단층]]이 파열되면서 나타나는 것인데, 그 밖에도 화산 활동, 산사태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지진이 발생한 땅 속의 지점을 [[진원]]이라고 하며, 진원의 바로 위 지표면은 [[진앙]]이라고 한다.  
 
== 전조 현상 ==
 
아직 과학적으로 지진을 완전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일어나는 전조 현상들을 보고 지진을 미리 대비하는 것은 가능하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1975년]] 랴오닝성에서 지진이 일어나기 전 [[개구리]]들이 떼지어 이동하는 등 이상현상을 전조 현상으로 보고 미리 주민을 대피시켜 인명 피해를 막았던 기록이 있다. 대표적인 지진의 전조 현상으로 꼽히는 것은 다음이 있다.
 
 
* [[동물]]들의 이상행동
 
* 암석의 전기저항값 변화
 
* 라돈 가스 방출
 
 
그러나 이런 전조 현상이 꼭 지진과 들어맞진 않는다. 실제로 선술되어 있는 [[중국]]의 사례만 해도 바로 다음 해인 [[1976년]]에 [[광둥성]]에 같은 전조 현상이 일어나 주민들이 대피했지만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은 적이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6&aid=0010366320 숭어와 개미가 지진을 미리 안다?]</ref> 즉 어느정도 참고는 할 수 있을진 몰라도, 맹신할 순 없다는 얘기다.
 
  
 
== 지진의 세기 ==
 
== 지진의 세기 ==
21번째 줄: 12번째 줄:
 
지진파는 지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다. 지진파에는 중심파와 표면파가 있다. 중심파에는 진동방향과 진행방향이 같은 종파인 P파(Primary wave)와 진동방향과 진행방향이 수직을 이루는 횡파인 S파(Secondary wave)가 존재한다. 표면파는 L파(Long wave)라고도 불리며 레일리파(Rayleigh Wave)와 러브파(Love Wave) 두 종류가 있다.  
 
지진파는 지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다. 지진파에는 중심파와 표면파가 있다. 중심파에는 진동방향과 진행방향이 같은 종파인 P파(Primary wave)와 진동방향과 진행방향이 수직을 이루는 횡파인 S파(Secondary wave)가 존재한다. 표면파는 L파(Long wave)라고도 불리며 레일리파(Rayleigh Wave)와 러브파(Love Wave) 두 종류가 있다.  
  
== 우리나라의 지진 ==
+
== 각국의 지진 ==
[[파일:국내지진발생.jpg|701픽셀|섬네일|center|우리나라의 지진 발생추이(1978~2019). 총 지진횟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유감지진 및 규모 3이상 지진의 횟수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
=== [[대한민국]] ===
 +
[[파일:국내지진발생.jpg|701픽셀|섬네일|center|우리나라의 지진 발생추이(1978~2012). 총 지진횟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유감지진 및 규모 3이상 지진의 횟수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진은 [[지각]]을 이루는 [[대륙판]]과 대륙판이 만나는 경계부위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우리나라는 전체가 유라시아 판 위에 속해 있기 때문에 지진의 발생빈도가 적은 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진의 안전지대”라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에서도 큰 지진들이 수차례 발생한 바 있다. 특히 [[삼국사기]]에는 “779년 경주에 큰 지진으로 가옥이 무너지고, 100명이 죽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조선]]시대에도 지진이 일어났다는 기록이 있다.<ref>MBN,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1338166 한반도 지진 잦았다…"동해안 위험 구간"], 2013년 4월 23일</ref> 우리나라의 지진은 주로 곳곳에 위치한 소규모의 [[활성단층]]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한반도에서는 [[경주시|경주]], [[속리산]], [[태백시|태백]], [[울진]] 앞바다, [[평양직할시|평양]] 등이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손꼽힌다.
 
일반적으로 지진은 [[지각]]을 이루는 [[대륙판]]과 대륙판이 만나는 경계부위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우리나라는 전체가 유라시아 판 위에 속해 있기 때문에 지진의 발생빈도가 적은 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진의 안전지대”라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에서도 큰 지진들이 수차례 발생한 바 있다. 특히 [[삼국사기]]에는 “779년 경주에 큰 지진으로 가옥이 무너지고, 100명이 죽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조선]]시대에도 지진이 일어났다는 기록이 있다.<ref>MBN,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1338166 한반도 지진 잦았다…"동해안 위험 구간"], 2013년 4월 23일</ref> 우리나라의 지진은 주로 곳곳에 위치한 소규모의 [[활성단층]]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한반도에서는 [[경주시|경주]], [[속리산]], [[태백시|태백]], [[울진]] 앞바다, [[평양직할시|평양]] 등이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손꼽힌다.
  
기상청 관측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지진 발생빈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오나, 이는 관측기술의 발달로 인해 더 작은 지진도 집계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규모 3이상의 지진이나 유감지진(사람이 느낄 수 있었던 지진)의 횟수는 1년에 10여차례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ref>[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domestictrend.jsp 기상청>국내지진발생추이]</ref> 기상청 관측이후로 규모 5이상의 지진은 지금까지 총 여덟 번 있었다.
+
기상청 관측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지진 발생빈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오나, 이는 관측기술의 발달로 인해 더 작은 지진도 집계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규모 3이상의 지진이나 유감지진(사람이 느낄 수 있었던 지진)의 횟수는 1년에 10여차례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ref>[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domestictrend.jsp 기상청>국내지진발생추이]</ref> 기상청 관측이후로 규모 5이상의 지진은 지금까지 총 다섯 번 있었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규모||발생연월일||발생지역
 
! 규모||발생연월일||발생지역
|-
 
|5.8|| 2016년 9월 12일 || [[경상북도|경북]] [[경주시|경주]] 남남서쪽 8km 지역
 
|-
 
|5.4|| 2017년 11월 15일 || [[경상북도|경북]] [[포항시|포항]] 북구 북쪽 9km 지역
 
 
|-
 
|-
 
|5.3|| 1980년 1월 8일 || 평북 서부 의주-삭주- 귀성 지역
 
|5.3|| 1980년 1월 8일 || 평북 서부 의주-삭주- 귀성 지역
40번째 줄: 28번째 줄:
 
|-
 
|-
 
|5.2|| 1978년 9월 16일 || [[충청북도|충북]] [[속리산]] 부근지역
 
|5.2|| 1978년 9월 16일 || [[충청북도|충북]] [[속리산]] 부근지역
|-
 
|5.1|| 2016년 9월 12일 || [[경상북도|경북]] [[경주시|경주]] 남남서쪽 9km 지역
 
 
|-
 
|-
 
|5.0|| 2003년 3월 30일 || [[인천광역시|인천]] [[백령도]] 서남서쪽 약 80km 해역
 
|5.0|| 2003년 3월 30일 || [[인천광역시|인천]] [[백령도]] 서남서쪽 약 80km 해역
50번째 줄: 36번째 줄:
 
* 자료출처 :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scalelist.jsp 기상청>지진/지진해일>규모별순위]
 
* 자료출처 :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scalelist.jsp 기상청>지진/지진해일>규모별순위]
  
2017년 발생한 [[2017년 포항 지진|'''포항지진''']]의 경우 진원의 깊이가 얕았던 탓에 피해가 컸다. 이 지진으로 인해 포항 흥해읍내에 있던 [[한동대학교]] 기숙사 건물 등의 건물 외벽이 붕괴하면서 피해가 속출했고, 1명의 중상자와 13명의 경상자가 발생하였다.
 
  
== 외부링크 ==
+
이 중에서 1978년 발생한 [[홍성지진]]의 경우 진원의 깊이가 얕았던 탓에 피해가 컸다. 이 지진으로 인해 홍성읍내에 있던 118개 건물이 파손되고 1200개 건물에 균열이 발견되었으며 2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 [http://www.weather.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 기상청 지진화산감시센터]
 
  
 
== 주석 ==
 
== 주석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