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도시 정보
+
{{지방자치단체
| 이름 = 천안시
+
|공식 명칭 = 천안시
| 한자 = 天安市
+
|그림 = [[File:Independence Hall of Korea 01.JPG|320px]]
| 그림 = 독립기념관2020.jpg
+
|표어 = FAST CHEONAN
| 그림설명 = 천안 독립기념관
+
|한자 표기 = 天安市
| 휘장 = 천안휘장.gif
+
|영문 표기 = Cheonan City
| 슬로건 =  
+
|구분 = [[지정시]]
| 지도 =  
+
|구성 = 2구 16동 4읍 8면
| 지도설명 =  
+
|인구 = 59만 5739명 (2012. 12)
| 지도너비 =  
+
|면적 = 636.07
| 시청소재지 = 서북구 번영로 156
+
|인구밀도 = 937
| = 2
+
|남녀성비 = 102.9
| =  
+
|단체장 = [[구본영]] ([[새정치연합]])
| 읍 = 4
+
|상징새 = [[비둘기]]
| 면 = 9
+
|상징꽃 = [[개나리]]
| 행정동 = 18
+
|상징나무 = [[능수버들]]
| 단체장 = [[박상돈]] ([[국민의힘]])
+
|전신 = 천안시(~1995년), 천안군
| 인구 = 649514
+
|후신 =  
| 인구년도 = 2019
 
| 면적 = 636
 
| 시목 = [[능수버들]]
 
| 시화 = [[개나리]]
 
| 시조 = [[비둘기]]
 
| 지역 = [[충청남도]]
 
| 지역번호 = 041
 
| 웹사이트 = [https://www.cheonan.go.kr/kor.do www.cheonan.go.kr]
 
 
}}
 
}}
[[파일:호두과자.jpg|300픽셀|섬네일|천안의 명물, 천안 호두과자]]
 
  
{{대사|3·1운동의 중심지, 교통의 중심지}}
+
{{대사|3·1운동의 중심지, 교통의 중심지 FAST CHEONAN}}
  
 
'''천안시'''({{llang|ko-Hani|天安市}})는 [[충청남도]]의 북동쪽 끝에 위치한 인구 60만 명 내외의 중대형 도시이다. 천안 하면 예로부터 '''천안삼거리'''가 유명했다. [[조선]]시대에 서울에서 남부지방으로 내려갈 때 천안삼거리에서 [[전라도]]로 가는 길과 [[경상도]]로 가는 길이 갈라지기 때문이다. 《[[천안삼거리]]》라는 경기민요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천안시 하면 떠오르는 인물로는 [[유관순]]이 있다. 유관순의 고향이 천안시 병천면이기도 하고, [[3·1 운동]] 당시 유관순 열사가 독립만세를 부른 곳도 이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천안에는 이를 기리기 위한 [[독립기념관]]이 위치하고 있다. 천안의 명물로는 [[호두과자|천안 호두과자]]가 있다. 실제로 천안시 광덕면 [[광덕산]] 산자락에는 [[호두나무]] 밭이 조성되어 있고, [[광덕사]]에는 수령이 400년으로 추정되는 호두나무도 있다(천연기념물 398호). 하지만 생산량은 많지 않기 때문에, 시중에 판매되는 호두과자에는 대부분 수입산 [[호두]]가 들어있다. 그 밖의 지역 특산물로는 [[포도]]와 [[배(과일)|배]]가 있다.
 
'''천안시'''({{llang|ko-Hani|天安市}})는 [[충청남도]]의 북동쪽 끝에 위치한 인구 60만 명 내외의 중대형 도시이다. 천안 하면 예로부터 '''천안삼거리'''가 유명했다. [[조선]]시대에 서울에서 남부지방으로 내려갈 때 천안삼거리에서 [[전라도]]로 가는 길과 [[경상도]]로 가는 길이 갈라지기 때문이다. 《[[천안삼거리]]》라는 경기민요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천안시 하면 떠오르는 인물로는 [[유관순]]이 있다. 유관순의 고향이 천안시 병천면이기도 하고, [[3·1 운동]] 당시 유관순 열사가 독립만세를 부른 곳도 이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천안에는 이를 기리기 위한 [[독립기념관]]이 위치하고 있다. 천안의 명물로는 [[호두과자|천안 호두과자]]가 있다. 실제로 천안시 광덕면 [[광덕산]] 산자락에는 [[호두나무]] 밭이 조성되어 있고, [[광덕사]]에는 수령이 400년으로 추정되는 호두나무도 있다(천연기념물 398호). 하지만 생산량은 많지 않기 때문에, 시중에 판매되는 호두과자에는 대부분 수입산 [[호두]]가 들어있다. 그 밖의 지역 특산물로는 [[포도]]와 [[배(과일)|배]]가 있다.
35번째 줄: 26번째 줄:
  
 
== 지리 ==
 
== 지리 ==
동쪽~남쪽으로는 [[차령산맥]]이 지나가고 있으며, 그 이외의 지역은 대부분 낮은 구릉지 또는 [[평야]]지대로 되어 있다. 그래서 도시 동쪽과 남쪽에는 위례산(529m), 성거산(579m), 태조산(420m), 흑성산(495m), 광덕산(698m) 등의 큰 산들이 있지만, 이를 제외한 도시 대부분은 평평하게 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진천군]], [[천주시]]와, 남쪽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공주시]]와, 서쪽으로는 [[아산시]]와 아주 밀접하게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 [[안성시]]와 접해 있다. 특히 아산시와 천안시는 각별한 관계인데, 천안 도심 일부가 시 경계를 넘어 아산시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곳에 위치한 [[천안아산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아산역]]은 행정구역상으로는 아산시에 속해 있지만 실제로는 천안 도심에 더 가깝다.
+
동쪽~남쪽으로는 [[차령산맥]]이 지나가고 있으며, 그 이외의 지역은 대부분 낮은 구릉지 또는 [[평야]]지대로 되어 있다. 그래서 도시 동쪽과 남쪽에는 위례산(529m), 성거산(579m), 태조산(420m), 흑성산(495m), 광덕산(698m) 등의 큰 산들이 위치하고 있지만, 이를 제외한 도시 대부분은 평평하게 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진천군]], [[천주시]]와, 남쪽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공주시]]와, 서쪽으로는 [[아산시]]와 아주 밀접하게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 [[안성시]]와 접해 있다. 특히 아산시와 천안시는 각별한 관계인데, 천안 도심 일부가 시 경계를 넘어 아산시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곳에 위치한 [[천안아산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아산역]]은 행정구역상으로는 아산시에 속해 있지만 실제로는 천안 도심에 더 가깝다.
  
 
== 기후 ==
 
== 기후 ==
57번째 줄: 48번째 줄:
  
 
== 정치성향 ==
 
== 정치성향 ==
전통적인 스윙 보터 지역인 [[충청남도]]의 최대 도시인 천안은 정치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곳이다. 천안은 외지인 비율이 높고,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통해 수도권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정치 성향은 충청도보다는 오히려 [[수도권]]과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007년 대선]]이다. 이 선거에서 충남을 지역 기반으로 하는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이 천안에서는 매우 낮게 나타났고, 그 대신에 수도권을 지역 기반으로 하는 [[이명박]] 후보의 득표율이 40.5%로, 충남 전체(34.3%)에 비하여 매우 높게 나타났다.
+
선거 때마다 캐스팅보드 역할을 하는 [[충청남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천안시는 정치지정학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곳이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충청도]]에 속하지만 지리적으로 수도권과 가깝고 수도권과의 교류가 많은 지역이므로 투표형태는 수도권과 더 유사하게 나타난다. 자민련-국민중심당-자유선진당으로 이어지는 충청도 지역정당이 정작 천안시에서는 위력을 발휘하지 못한 것이 그 증거이다. 또한, [[2007년 대선]]에서 서울시장 출신의 [[이명박]]득표율이 다른 충남지역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고, [[2012년 대선]]에서 [[세종시]] 원안고수로 충청도 민심을 잡은 [[박근혜]]득표율이 다른 충남지역보다 월등하게 낮게 나타났다.  
  
충남 최대 도시이지만, 정작 충청도 지역 정당인 [[자유선진당]]의 위력은 제한적이었고, 대체로 민주당과 정통 보수정당 양당 사이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왔다. 2010년대 들어서 신도시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인구가 빠르게 늘어났고, 특히 노동자와 학생의 비율이 높아지는 바람에 충남에서 가장 진보적인 지역으로 변모하였다.
+
=== 역대 선거결과 ===
  
=== 역대 대통령 선거결과 ===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
 
! 선거명
 
! 선거명
! 97 대선
+
! 02 지방
 
! 02 대선
 
! 02 대선
 +
! 04 총선
 +
! 06 지방
 
! 07 대선
 
! 07 대선
 +
! 08 총선
 +
! 10 지방
 +
! 12 총선
 
! 12 대선
 
! 12 대선
! 17 대선
+
! 14 지방
! 22 대선
 
 
|-
 
|-
! 천안 최다득표
+
! 천안시 최다득표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김대중'''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성무용'''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노무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노무현'''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열린우리당'''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성무용'''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이명박'''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이명박'''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한나라당'''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성무용'''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새누리당'''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박근혜'''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박근혜'''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문재인'''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구본영'''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윤석열'''
 
 
|-
 
|-
! 천안 득표율
+
! 천안시 득표율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40.8%'''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54.3%'''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0.4%'''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0.4%'''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40.1%'''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62.9%'''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40.5%'''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40.5%'''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30.4%'''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37.4%'''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37.0%'''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51.8%'''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51.8%'''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42.5%'''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3.1%'''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48.0%'''
 
 
|-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1"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1" |
 
|-
 
|-
 
! 충남 판도
 
! 충남 판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김대중<br>48.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small>자민련<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52.2%</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52.2%</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열린우리당<br>38.0%</small>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small>국민중심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34.3%</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34.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small>자유선진당<br>37.8%</small>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2}}" |<small>자유선진당</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새누리당<br>36.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6.7%</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6.7%</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문재인<br>38.6%</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새누리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윤석열<br>51.1%</small>
 
 
|-
 
|-
 
! 전국 판도
 
! 전국 판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김대중<br>40.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48.9%</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48.9%</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열린우리당<br>51.4%</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48.7%</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48.7%</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37.5%</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민주당</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새누리당<br>42.8%</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1.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1.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문재인<br>41.1%</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새누리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윤석열<br>48.6%</small>
 
 
|-
 
|-
! colspan="11"| <small>*보수정당 후보가 우세한 경우 빨강으로, 민주정당 후보가 우세한 경우 파랑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br>[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
! colspan="11"| <small>*보수계열 정당/후보가 우세한 경우 빨강으로, 민주당/진보 계열 정당/후보가 우세한 경우 파랑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br>* 총선(국회의원 선거)은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기준이다.<br>* 지방(지방선거)은 구·시·군의장선거 기준이다.</small>
 
|}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