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한국인.jpg|300픽셀|섬네일|한국인 평균얼굴]]
 
[[파일:한국인.jpg|300픽셀|섬네일|한국인 평균얼굴]]
  
'''한국인''',  '''한국사람''' 또는 '''한민족'''은 [[한반도]]와 [[만주]] 거주해 온 [[민족]]이다.  
+
'''한국인''',  '''한국사람''' 또는 '''한민족'''은 [[한반도]]와 [[만주]] 동남부에 거주해 온 [[민족]]이다.  
  
한민족은 주로 한국([[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살고 있다. 해외에도 많은 수의 한민족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해외동포]]로 구분해서 부른다. [[중국]]의 [[재중동포]], [[일본]]의 [[재일동포]], [[호주]], [[캐나다]], [[미국]] 등으로 이민 간 한국인들등이 대표적인 해외동포들이다.  
+
한민족은 주로 한국([[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살고 있다. 해외에도 많은 수의 한민족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해외동포]]로 구분해서 부른다. [[중국]]의 [[조선족]](재중동포), [[일본]]의 [[재일동포]], [[러시아]] 및 [[우즈베키스탄]]의 [[고려인]] 등이 대표적인 해외동포들이다. [[호주]], [[캐나다]], [[미국]] 등으로 이민 간 한국인들도 있다.  
  
 
현재 전 세계에 8,400만 명의 한민족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전 세계에 8,400만 명의 한민족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 정의 ==
 
== 정의 ==
[[파일:조선시대한국인.jpg|250픽셀|섬네일|조선시대의 한국인]]
+
[[파일:한뚝배기.jpg|250픽셀|섬네일|[[미국]] 출신이지만 [[한국]]에 귀화한 방송인 [[하일]]]]
  
 
보통 한국인이라고 하면 한민족의 혈통을 갖고 한국에서 태어나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다. 한국국민의 대부분은 한민족이며,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단일민족국가’이므로 이러한 정의는 그동안 큰 문제없이 통용되어왔다. 그러나 한국인이 해외로 [[이민]]을 가는 경우나 외국인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는 등의 사례가 있어 어디까지를 한국인으로 볼 것이지 애매한 경우도 있다.  
 
보통 한국인이라고 하면 한민족의 혈통을 갖고 한국에서 태어나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다. 한국국민의 대부분은 한민족이며,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단일민족국가’이므로 이러한 정의는 그동안 큰 문제없이 통용되어왔다. 그러나 한국인이 해외로 [[이민]]을 가는 경우나 외국인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는 등의 사례가 있어 어디까지를 한국인으로 볼 것이지 애매한 경우도 있다.  
  
한편, 시간이 흐르면서 [[북한]] 사람들과의 동질감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20세기까지는 북한을 한민족으로 보고, [[통일]]을 통해 민족결합을 이뤄야 한다는 의식이 우세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서는 북한을 남한과는 다른 별개의 나라로 인식하는 견해가 우세해졌다. 진정으로 통일을 바라는 사람들의 비중도 줄어들었다.
+
2000년대 들어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외국인이 증가하고, 이들과의 교류 및 접촉이 늘어감에 따라서 이들까지도 한국인으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민족보다는 한국국적 취득 여부를 우선시하게 된 것으로, 한국이 점차 다민족국가로 옮겨가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
 
 +
한편, 시간이 흐르면서 [[북한]] 사람들과의 동질감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20세기까지는 북한을 한민족으로 보고, [[통일]]을 통해 민족결합을 이뤄야 한다는 의식이 우세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서는 북한을 남한과는 다른 별개의 나라로 인식하는 견해가 우세해졌다. 진정으로 통일을 원하는 사람들의 비중도 줄어들었다.
  
 
== 해외에서의 인지도 ==
 
== 해외에서의 인지도 ==
20번째 줄: 22번째 줄:
  
 
== 역사 ==
 
== 역사 ==
한국인은 오랫동안 농경 중심의 생활을 고수해 왔다. 그러던 것이 아주 최근인, 1960년대에 들어서야 산업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을 겪으면서 [[선진국]]의 반열에까지 올랐다. 따라서 현대 한국인의 특성이라고 하는 것은 조선시대 한국인의 특성과는 전혀 다르며,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산업화, 민주화를 겪으며 급속하게 형성된 것이 많다. 예컨대 한국인의 특성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빨리빨리 문화’만 해도 그렇다. [[조선]]시대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인들은 약속시간에 1-2시간 늦는 것은 흔한 일일 정도로 시간관념에 여유가 있었다. 그러던 것이 1950-60년대 산업화를 거치면서 완전히 바뀌어서, 이제는 전 세계 누구보다도 바쁘고 급한 사람들이 되었다.
+
[[파일:조선시대한국인.jpg|250픽셀|섬네일|조선시대의 한국인]]
 +
 
 +
한국인은 오랫동안 농경 중심의 생활을 고수해 왔다. 그러던 것이 아주 최근인, 1960년대에 들어서야 산업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을 겪으면서 [[선진국]]의 반열에까지 올랐다. 따라서 현대 한국인의 특성이라고 하는 것은 조선시대 한국인의 특성과는 전혀 다르며,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산업화, 민주화를 겪으며 급속하게 형성된 것이 많다. 예컨대 한국인의 특성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빨리빨리 문화’만 해도 그렇다. [[조선]]시대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인들은 약속시간에 1-2시간 늦는 것은 흔한 일일 정도로 시간관념에 여유가 있었고, 때문에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인이 시간을 지키지 않는 한국인을 ‘게으르다’고 모욕하기까지 했다. 그러던 것이 1950-60년대 산업화를 거치면서 완전히 바뀌어서, 이제는 전 세계 누구보다도 바쁘고 급한 사람들이 되었다.
  
 
== 종교 ==
 
== 종교 ==
32번째 줄: 36번째 줄:
 
=== 정이 많다 ===
 
=== 정이 많다 ===
 
한국인은 다른 사람과 친해지면 정을 많이 나누는 경향이 있다. 자신에게 좋은 일이 하나 생기면 주변 사람들에게 한턱을 내는 등 다른 사람들에게 베푸는 것이 많다. 자기와 친한 사람에게는 한없이 잘 해주고 서로가 서로를 가식 없이 편하게 대한다.  
 
한국인은 다른 사람과 친해지면 정을 많이 나누는 경향이 있다. 자신에게 좋은 일이 하나 생기면 주변 사람들에게 한턱을 내는 등 다른 사람들에게 베푸는 것이 많다. 자기와 친한 사람에게는 한없이 잘 해주고 서로가 서로를 가식 없이 편하게 대한다.  
 +
 +
=== 뛰어난 게임실력 ===
 +
다른 나라들에서 게임은 그저 재미로 하는 취미생활 중 하나지만, 한국에서는 남을 이겨야만 한다는 강박적인 경쟁심리 때문에 정말 게임을 ‘목숨 걸고’ 플레이하는 경우가 많다. 아예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버는 직업([[프로게이머]])이 생겨났을 정도이다. 이 덕분에 한국인은 거의 모든 종류의 게임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스타크래프트]], [[리그오브레전드]], [[오버워치]] 등의 세계 게임 리그에서 한국인이 우승을 독차지하는 것은 이제 더 이상 놀랄 일도 아니다.
  
 
=== 애국심 ===
 
=== 애국심 ===
39번째 줄: 46번째 줄:
  
 
=== 첨단기기를 잘 다룸 ===
 
=== 첨단기기를 잘 다룸 ===
한국은 세계에서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가장 높은 나라이다. 그만큼 한국인은 첨단기기가 나오면 누구보다도 먼저 반응하고 빠르게 구입하는 [[얼리어답터]]이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과 도시 어디에서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무료 [[와이파이]]가 있는 한국은 각종 첨단기기의 훌륭한 전시장이 되고 있다.
+
한국인 세계에서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가장 높은 나라이다. 그만큼 한국인은 첨단기기가 나오면 누구보다도 먼저 반응하고 빠르게 구입하는 [[얼리어답터]]이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과 도시 어디에서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무료 [[와이파이]]가 있는 한국은 각종 첨단기기의 훌륭한 전시장이 되고 있다.
  
 
== 부정적 특징 ==
 
== 부정적 특징 ==
50번째 줄: 57번째 줄:
  
 
=== 냄비근성 ===
 
=== 냄비근성 ===
자신만의 줏대나 철학이 부족하고, 그저 다른 사람들이 움직이는 데로 모여서 따라다니는 습성이 있다. 그래서 어떤 이슈가 발생하면 쉽게 모여서 흥분했다가, 시간이 지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조용해진다. 냄비근성은 이러한 한국인들의 특성을 쉽게 뜨거워지고 쉽게 식는 [[냄비]]에 빗댄 말이다.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확실히 한국인의 냄비근성이 심하긴하다.
+
자신만의 줏대나 철학이 부족하고, 그저 다른 사람들이 움직이는 데로 모여서 따라다니는 습성이 있다. 그래서 어떤 이슈가 발생하면 쉽게 모여서 흥분했다가, 시간이 지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조용해진다. 냄비근성은 이러한 한국인들의 특성을 쉽게 뜨거워지고 쉽게 식는 [[냄비]]에 빗댄 말이다.
  
 
=== 자국혐오 ===
 
=== 자국혐오 ===
67번째 줄: 74번째 줄:
  
 
== 다른 나라에 대한 생각 ==
 
== 다른 나라에 대한 생각 ==
[[미국]]은 한국인들이 가장 동경하고 숭배하는 나라이다. 한국인들에게는 강대한 '천조국'이라는 인식이 있어 특히 우호적이다. 한국에게 미국은 [[서양]]의 대변자가 되어 왔으며, 서양을 동경하는 마음과 맞물려서 미국은 한국인들에게 동경의 대상이 되어왔다. 많은 한국인은 미국에 우호적이지만, 한국의 민족주의자,[[좌익]] 성향의 한국인들은 구한말과 일제강점시기에 미국이 한국문제에 관여한 일본을 도운 제국주의적 역사적인 죄행 , 정치적인등 문제 때문에 미국을 증오하고 싫어하기도 한다. 미국과 더불어 [[호주]], [[영국]] 등에도 비슷한 호감의 마음을 가지고 있다.  
+
[[파일:한미동맹60주년.jpg|250픽셀|섬네일|한국인들은 미국을 가장 믿을만한 파트너로 생각한다.]]
 +
 
 +
[[미국]]은 한국인들이 가장 동경하는 나라이다. 윗세대들에게는 [[한국전쟁]] 당시 우리나라를 도와준 고마운 나라라는 인식이 있어 특히 우호적이다. 많은 서양문물들을 미국을 통해 받아들였기 때문에 한국에게 미국은 [[서양]]의 대변자가 되어 왔으며, 서양을 동경하는 마음과 맞물려서 미국은 한국인들에게 동경의 대상이 되어왔다. 대다수의 한국인은 미국에 우호적이지만, [[좌익]] 성향의 일부 한국인들은 정치적인 문제 때문에 미국을 싫어하기도 한다. 미국과 더불어 한국전쟁 당시 우리나라를 도와준 [[호주]], [[영국]] 등에도 비슷한 동경의 마음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다수의 한국인들이 가장 싫어하는 나라이다. 그 이유는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수모를 당했다는 점이 가장 크며, 과거사 문제와 [[독도]] 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치계에 대한 반발심이 계속되고 있다. 일본 사람에 대해서는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상냥하고, 질서를 잘 지킨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하고, '겉과 속이 다르고 얍삽하다'고 생각하여 싫어하는 경우도 있다.  
+
[[일본]]은 한국인들이 가장 싫어하는 나라이다. 그 이유는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수모를 당했다는 점이 가장 크며, 과거사 문제와 [[독도]] 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치계에 대한 반발심이 계속되고 있다. 일본 사람에 대해서는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상냥하고, 질서를 잘 지킨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하고, '겉과 속이 다르고 얍삽하다'고 생각하여 싫어하는 경우도 있다.  
  
[[중국]]은 냉전시기 한국과의 교류가 단절된 [[공산국가]]였던 시절에는 반공교육의 영향으로 증오하는 감정이 앞섰다.  
+
[[중국]]은 한국과의 교류가 단절된 [[공산국가]]였던 시절에는 반공교육의 영향으로 증오하는 감정이 앞섰다. 그러나 [[냉전]]이 끝난 이후로는 서로가 중요한 교역 파트너가 되면서 중국에 대한 인식도 크게 달라졌다. 현재 한국인들은 중국에 대해서는 딱히 싫어하는 감정은 없지만, 은연중에 무시하는 것은 있다. '메이드 인 차이나'라고 하면 으레 떠오르는 값싼 저질제품의 영향이 크다.  
그러나 [[냉전]]이 끝난 이후로는 서로가 중요한 교역 파트너가 되면서 중국에 대한 인식도 크게 달라졌다. 현재 한국인들은 중국에 대해서는 딱히 싫어하는 감정은 없지만, 은연중에 무시하는 것은 있다. '메이드 인 차이나'라고 하면 으레 떠오르는 값싼 저질제품의 영향이 크다.  
 
  
[[북한]]에 대해서는 [[김정은]]을 비롯한 북한정권에 대한 악감정이 강하며 북한 주민에 대해서는 북한정권 특권층들의 폭압에 시달리며 가난하게 사는 불쌍한 사람이라는 인식이 크다.  
+
[[북한]]에 대해서는 [[김정은]]을 비롯한 북한의 지도부에 대한 악감정이 강하며 북한 주민에 대해서는 김정은의 폭압에 시달리며 가난하게 사는 불쌍한 사람이라는 인식이 크다.  
  
 
[[분류:한국인| ]]
 
[[분류:한국인|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