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발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잔글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용인 발음'''({{llang|en|Received Pronunciation}})은 [[영국식 영어]](British English)의 모범이라고 할 수 있는 [[표준어]]다. 흔히 영국식 영어로 알려져 있지만 용인 발음과 영국식 영어는 다르다. 영국식 영어 안에 용인 발음이 있는 것이다. 용인 발음은 주로 영국의 임금이나 [[정부]] 고위 인사나 언론에서 쓰인다. 하지만 [[21세기]]에 들어서 [[영국방송협회]](BBC)의 방송에서 용인 발음이 점차 덜 쓰이고 있다.
 
  
== 역사 ==
 
용인 발음은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심지어 한 사람이 내는 발음도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영국]]의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Elizabeth II)가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경우다. 엘리자베스 2세는 [[1950년대]]에 trap을 {{IPA|[tʰɹɛpʰ]}}로 발음했었는데 [[2010년대]]에는 입을 더 벌려서 {{IPA|[tʰɹæpʰ]}}으로 발음하고 있다.
 
 
== [[자음]] ==
 
 
== [[모음]] ==
 
[[파일:영어 단모음.svg|thumb|가운데|800px|용인 발음의 단모음 체계]]
 
 
용인 발음의 [[모음]] 체계는 [[장모음]] 다섯 개와 [[단모음]] 일곱 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장모음이 다섯 개라는 부분에도 논란이 있다. 일각에서는 feet에서의 ee와 goose에서의 oo가 장모음이 아니라 [[이중 모음]]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화자에 따라 다르지만 이와 같은 경우를 고려한다면 장모음이 다섯 개가 아니라 네 개 혹은 세 개로 분류가 될 수 있다.
 
 
[[영어]]는 [[철자법]]과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언어라서 다른 언어와 달리 더욱 더 발음의 변화가 심하다. 그래서 용인 발음에도 시대에 따른 발음의 변화가 존재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trap에서의 a의 소리가 {{IPA|[ɛ]}}에서 {{IPA|[æ]}}로 변한 것이다.
 
 
{| class="wikitable" style="margin: auto;"
 
|-
 
! 발음 ||1980년~1985년 생 || 1965년~1970년 생 || 1950년~1955년 생 || 1932년~1940년 생
 
|-
 
| FLEECE || {{IPA|[ɪï̯]}} || {{IPA|[ɪï̯]}} || {{IPA|[ɪï̯]}} || {{IPA|[ɪï̯]}}
 
|-
 
| GOOSE || {{IPA|[ʊ̈ʉ̯]}} || {{IPA|[ʊʉ̯]}} || {{IPA|[ʊü̯]}} || {{IPA|[ʊü̯]}}
 
|-
 
| NURSE || {{IPA|[ɘː]}} || {{IPA|[ɘː]}} || {{IPA|[ɘː]}} || {{IPA|[ɘː]}}
 
|-
 
| THOUGHT || {{IPA|[oː]}} || {{IPA|[oː]}} || {{IPA|[oː]}} || {{IPA|[oː]}}
 
|-
 
| HARD || {{IPA|[ɤ̞̈ː]}} || {{IPA|[ɤ̞̈ː]}} || {{IPA|[ɤ̞̈ː]}}|| {{IPA|[ɤ̞̈ː]}}
 
|-
 
| KIT || {{IPA|[ɪ]}} || {{IPA|[ɪ]}} || {{IPA|[ɪ]}} || {{IPA|[ɪ]}}
 
|-
 
| PUT || {{IPA|[ɵ]}} || {{IPA|[ʊ]}} || {{IPA|[ʊ]}} || {{IPA|[ʊ]}}
 
|-
 
| DRESS || {{IPA|[e̞]}} || {{IPA|[e]}} || {{IPA|[e]}} || {{IPA|[e]}}
 
|-
 
| CUP || {{IPA|[ə]}} || {{IPA|[ə]}} || {{IPA|[ə]}} || {{IPA|[ə]}}
 
|-
 
| LOT || {{IPA|[ö]}} || {{IPA|[ö]}} || {{IPA|[ö]}} || {{IPA|[ö]}}
 
|-
 
| TRAP || {{IPA|[ɐ]}} || {{IPA|[ɛ]}} || {{IPA|[ɛ]}} || {{IPA|[e̞]}}
 
|}
 
 
 
{| class="wikitable" style="margin: auto;"
 
|-
 
! 발음 || 1980년~1985년 생 || 1965년~1970년 생 || 1950년~1955년 생 || 1932년~1940년 생
 
|-
 
| Ago || {{IPA|[ə]}} || {{IPA|[ə]}} || {{IPA|[ə]}} || {{IPA|[ə]}}
 
|-
 
| partY || {{IPA|[i̞i̯]}} || {{IPA|[i̞i̯]}} || {{IPA|[i̞i̯]}} || {{IPA|[i̞]}}
 
|}
 
 
 
{| class="wikitable" style="margin: auto;"
 
|-
 
! 발음 || 1980년~1985년 생 || 1965년~1970년 생 || 1950년~1955년 생 || 1932년~1940년 생
 
|-
 
| STAY || {{IPA|[ei̞̯]}} || {{IPA|[e̞i̞̯]}} || {{IPA|[e̞i̞̯]}} || {{IPA|[e̞i̞̯]}}
 
|-
 
| SKY || {{IPA|[ɤ̞̈i̞̯]}} || {{IPA|[ɤ̞̈i̞̯]}} || {{IPA|[ɤ̞̈i̞̯]}} || {{IPA|[ɤ̞̈ë̯]}}
 
|-
 
| SOY || {{IPA|[öi̞̯]}} || {{IPA|[öi̞̯]}} || {{IPA|[öi̞̯]}} || {{IPA|[öi̞̯]}}
 
|-
 
|MOUTH || {{IPA|[ɐö̞̯]}} || {{IPA|[ɐö̞̯]}} || {{IPA|[ɐö̞̯]}} || {{IPA|[ɐö̞̯]}}
 
|-
 
|GOAT || {{IPA|[əʊ̯]}} || {{IPA|[əʊ̯]}} || {{IPA|[əʊ̯]}} || {{IPA|[əʊ̯]}}
 
|}
 
 
 
{| class="wikitable" style="margin: auto;"
 
|-
 
! 발음 || 1980년~1985년 생 || 1965년~1970년 생 || 1950년~1955년 생 || 1932년~1940년 생
 
|-
 
| BEAR || {{IPA|[e̞ë̯]}} || {{IPA|[e̞ë̯]}} || {{IPA|[e̞ë̯]}} || {{IPA|[e̞ë̯]}}
 
|-
 
| NEAR || {{IPA|[i̞ë̯]}} || {{IPA|[i̞ë̯]}} || {{IPA|[i̞ë̯]}} || {{IPA|[i̞ë̯]}}
 
|-
 
| CURE || {{IPA|[ɵː]}} || {{IPA|[ʊə̯]}} || {{IPA|[ʊə̯]}} || {{IPA|[ʊə̯]}}
 
|}
 
 
 
{| class="wikitable" style="margin: auto;"
 
|-
 
! 발음 || 1980년~1985년 생 || 1965년~1970년 생 || 1950년~1955년 생 || 1932년~1940년 생
 
|-
 
| BEAR || {{IPA|[e̞ë̯]}} || {{IPA|[e̞ë̯]}} || {{IPA|[e̞ë̯]}} || {{IPA|[e̞ë̯]}}
 
|-
 
| NEAR || {{IPA|[i̞ë̯]}} || {{IPA|[i̞ë̯]}} || {{IPA|[i̞ë̯]}} || {{IPA|[i̞ë̯]}}
 
|-
 
| CURE || {{IPA|[ɵː]}} || {{IPA|[ʊə̯]}} || {{IPA|[ʊə̯]}} || {{IPA|[ʊə̯]}}
 
|}
 
 
용인 발음도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ref>[http://www.ling.cam.ac.uk/sarah/docs/hawkinsmidgley_jipa05.pdf Formant frequencies of RP monophthongsin four age groups of speakers]</ref>
 
 
== 주석 ==
 
<references/>
 
 
[[분류:영어]]
 

2017년 5월 21일 (일) 02:34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