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도시 정보
+
{{지방자치단체
| 이름 = 부산광역시
+
|공식 명칭 = 부산광역시
| 한자 = 釜山廣域市
+
|그림 = [[파일:센텀시티.jpg|320px]]
| 그림 = 센텀시티.jpg
+
|표어 = Dynamic Busan
| 그림설명 = 부산 센텀시티
+
|한자 표기 = 釜山廣域市
| 휘장 = 부산로고2023.png
+
|영문 표기 = Busan Metropolitan City
| 슬로건 = 부산슬로건2023.png
+
|구분 = [[광역시]]
| 지도 =
+
|구성 = 15자치구
| 지도설명 =
+
|인구 = 351만 9401명 (2014. 12)
| 지도너비 =  
+
|면적 = 767.35
| 자치구 =  
+
|인구밀도 = 4657
| 시청소재지 = [[연제구]] 중앙대로 1001
+
|남녀성비 = 98
| = 15
+
|단체장 = [[서병수]] ([[새누리당]])
| = 1
+
|상징새 = [[갈매기]]
| =  
+
|상징꽃 = [[동백꽃]]
| =  
+
|상징나무 = [[동백나무]]
| 행정동 =  
+
|전신 = 부산직할시
| 단체장 = 공석
+
|후신 =  
| 인구 = 3429595
 
| 인구년도 = 2019
 
| 면적 = 769
 
| 시목 = [[동백나무]]
 
| 시화 = [[동백꽃]]
 
| 시조 = [[갈매기]]
 
| 지역 = [[경상도]]
 
| 지역번호 = 051
 
| 웹사이트 = [https://www.busan.go.kr/index www.busan.go.kr]
 
 
}}
 
}}
  
{{대사|대한민국 최대의 항구도시}}
+
{{대사|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
  
{|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style="" class="wikitable"
+
'''부산광역시'''({{llang|ko-Hani|釜山廣域市}})는 인구 360만 명 내외의 대도시로서 [[대한민국]]에서 [[서울특별시]]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부산의 위성도시인 [[김해]]와 [[양산]] 등의 인구를 포함한 “부산권”의 인구는 450만 명에 이른다. 한국에서 가장 큰 [[해수욕장]]인 [[해운대]]가 있으며 한국에서 가장 긴 [[강]]인 [[낙동강]]이 도시의 서쪽을 적신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항구]] 도시이며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화물 수송량이 많은 항구 도시이다. [[한반도]]의 남동쪽 끝에 위치해 있다. 대부분의 인구는 낙동강과 수영강 사이에 거주하는데, 이곳에는 [[구덕산]], [[황령산]], [[백양산]] 등 가파른 산이 위치하고 있어 이 산들 사이에 있는 골짜기 또는 해안을 따라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는 15개의 [[자치구]]와 1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
 
|{{#ev:youtube|edn2K1Or8CE|300}}||<center>'''<[[부산찬가]]>'''</center><br>수평선 바라보며 푸른 꿈을 키우고<br>파도소리 들으며 가슴 설레이는<br>여기는 부산 희망의 고향<br>꿈 많은 사람들이 정답게 사는 곳<br>[[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br>아아 너와 나의 부산<br>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br>아아 너와 나의 부산 영원하리
 
|}
 
 
 
'''부산광역시'''({{llang|ko-Hani|釜山廣域市}})는 인구 340만 명 내외의 대도시로서 [[대한민국]]에서 [[서울특별시]]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부산의 위성도시인 [[김해]]와 [[양산]] 등의 인구를 포함한 “부산권”의 인구는 450만 명에 이른다. 한국에서 가장 큰 [[해수욕장]]인 [[해운대]]가 있으며 한국에서 가장 긴 [[강]]인 [[낙동강]]이 도시의 서쪽을 적신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항구]] 도시이며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화물 수송량이 많은 항구 도시이다. [[한반도]]의 남동쪽 끝에 자리 잡고 있다. 인구 대부분은 낙동강과 수영강 사이에 거주하는데, 이곳에는 [[구덕산]], [[황령산]], [[백양산]] 등 가파른 산이 있어 이 산들 사이에 있는 골짜기 또는 해안을 따라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는 15개의 [[자치구]]와 1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은 [[2002년 아시안 게임]]과 [[2005년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한 도시이다. [[2002년 월드컵]]의 개최지 중 하나이기도 하며, 한국의 국제 컨벤션 중심도시이다.
+
부산은 [[2002년 아시안 게임]]과 [[2005년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한 도시이다. [[2002년 월드컵]]의 개최지 중 하나이기도 하며, 한국의 국제 컨벤션 중심도시이다. [[2024년 하계올림픽]]의 개최를 위해 경쟁에 뛰어든 도시 중 하나이다.  
  
 
부산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백화점]]인 [[신세계]] 센텀시티점이 위치한다.  
 
부산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백화점]]인 [[신세계]] 센텀시티점이 위치한다.  
47번째 줄: 33번째 줄:
 
15세기 초, [[조선]]에서는 부산을 [[일본]]과의 무역항으로 지정하고, 일본인들이 부산에 거주하도록 허용했다. [[울산]]과 [[진해]]에 있던 일본인 거주지의 경우에는 나중에 거의 사라졌지만, 당시 [[왜관]]이라고 불렸던 부산의 일본인 거주지는 [[임진왜란]](1592) 때까지 지속되었다. 왜란이 끝나고, 1607년 일본과의 국교가 재개되면서 부산 왜관은 재건되었다. 부산의 일본인 거주지는 나중에 [[초량]](현재의 [[동구(부산)|동구]] 초량동)으로 위치를 옮겨 1876년 [[강화도 조약]]을 채결하기 전까지 지속되었다. 우리나라가 외국과 처음으로 맺은 근대적 조약인 강화도 조약의 채결 결과 부산은 국제항으로 완전히 개항되었다.
 
15세기 초, [[조선]]에서는 부산을 [[일본]]과의 무역항으로 지정하고, 일본인들이 부산에 거주하도록 허용했다. [[울산]]과 [[진해]]에 있던 일본인 거주지의 경우에는 나중에 거의 사라졌지만, 당시 [[왜관]]이라고 불렸던 부산의 일본인 거주지는 [[임진왜란]](1592) 때까지 지속되었다. 왜란이 끝나고, 1607년 일본과의 국교가 재개되면서 부산 왜관은 재건되었다. 부산의 일본인 거주지는 나중에 [[초량]](현재의 [[동구(부산)|동구]] 초량동)으로 위치를 옮겨 1876년 [[강화도 조약]]을 채결하기 전까지 지속되었다. 우리나라가 외국과 처음으로 맺은 근대적 조약인 강화도 조약의 채결 결과 부산은 국제항으로 완전히 개항되었다.
  
[[일제강점기]] 동안, 부산항은 물자와 인력을 일본에 수탈당하는 창구로 이용되었다. 부산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전차]]가 도입된 도시이기도 하다.  
+
[[일제강점기]] 동안, 부산항은 물자와 인력을 일본에게 수탈당하는 창구로 이용되었다. 부산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전차]]가 도입된 도시이기도 하다.
  
[[한국전쟁]]을 통틀어, 부산은 [[대구광역시|대구]]와 함께 [[북한]]에 점령되지 않은 거의 유일한 도시로서 난민 수용소 및 임시수도의 구실을 했다. 1950년 여름과 가을에 [[UN]]군은 이른바 부산 주위로 [[부산 방어선]]을 세우고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
[[한국전쟁]]을 통틀어, 부산은 [[대구광역시|대구]]와 함께 [[북한]]에 점령되지 않은 거의 유일한 도시로서 난민 수용소 및 임시수도의 역할을 수행했다. 1950년 여름과 가을에 [[UN]]군은 이른바 부산 주위로 [[부산 방어선]]을 세우고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이후 부산은 [[서울]]과 마찬가지로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대도시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1963년 부산은 [[경상남도]]에서 분리되어 '''부산직할시'''로 명명되었다. 1983년에는 경남도청이 [[창원]]으로 이전했다. 1995년에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이름을 바꾸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후 부산은 [[서울]]과 마찬가지로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대도시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1963년 부산은 [[경상남도]]에서 분리되어 '''부산직할시'''로 명명되었다. 1983년에는 경남도청이 [[창원]]으로 이전했다. 1995년에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이름을 바꾸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57번째 줄: 43번째 줄:
 
[[파일:태종대.jpg|섬네일|300픽셀|[[태종대]] 신선바위]]
 
[[파일:태종대.jpg|섬네일|300픽셀|[[태종대]] 신선바위]]
  
부산은 [[한반도]]의 남동쪽 끝의 해안가에 있다. [[일본]]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이기도 하다. 부산에서 일본의 [[쓰시마 섬]]까지의 거리는 49.5km정도이며 [[후쿠오카]]까지는 180km정도이다. 참고로 부산과 [[서울]] 사이의 거리는 314km이다. 부산은 북쪽과 서쪽으로 산지가 위치하며 남쪽과 동쪽으로는 [[바다]]에 면하고 있다. 도시 서쪽에는 [[낙동강 삼각주]]가 위치하며, 북쪽에는 부산에서 가장 높은 [[산(지형)|산]]인 [[금정산]]이 위치한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강인 [[낙동강]]은 부산의 서쪽을 적시며 [[대한해협]]에서 끝난다.
+
부산은 [[한반도]]의 남동쪽 끝의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일본]]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이기도 하다. 부산에서 일본의 [[쓰시마 섬]]까지의 거리는 49.5km정도이며 [[후쿠오카]]까지는 180km정도이다. 참고로 부산과 [[서울]] 사이의 거리는 314km이다. 부산은 북쪽과 서쪽으로 산지가 위치하며 남쪽과 동쪽으로는 [[바다]]에 면하고 있다. 도시 서쪽에는 [[낙동강 삼각주]]가 위치하며, 북쪽에는 부산에서 가장 높은 [[산(지형)|산]]인 [[금정산]]이 위치한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강인 [[낙동강]]은 부산의 서쪽을 적시며 [[대한해협]]에서 끝난다.
  
 
=== 기후 ===
 
=== 기후 ===
[[한반도]]의 남동쪽 끝에 위치한 부산광역시는 [[아열대습윤기후]]([[쾨펜 기후구분]]으로는 '''Cfa''')를 띠고 있다. 기본적으로 해양성 기후이기 때문에 극단적으로 높거나 극단적으로 낮은 기온은 보기 드물다. 특히 5~7월에 해당하는 초여름에는 [[바다]]의 영향으로 다른 지역보다 더 시원하다. 반면에 8~9월에 해당하는 늦여름 또는 초가을은 덥고 비가 많이 내려 습한 편이며 [[태풍]]이 지나가기도 한다. 1959년 [[태풍 사라]]의 경우 부산을 관통해 지나가면서 부산지역에 큰 피해를 줬으며, 이때 부산에서 기록된 최저해면기압 951.5 hPa은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는 기록으로 남아 있다. 2003년에는 [[태풍 매미]]가 한반도로 상륙하면서 부산은 위험반원에 들어 7000톤이 넘는 해상관광호텔이 전복되고 부산항의 800톤급 컨테이너 크레인이 무너지는 등 큰 피해를 보았다.
+
[[한반도]]의 남동쪽 끝에 위치한 부산광역시는 [[아열대습윤기후]]([[쾨펜 기후구분]]으로는 '''Cfa''')를 띠고 있다. 기본적으로 해양성 기후이기 때문에 극단적으로 높거나 극단적으로 낮은 기온은 보기 드물다. 특히 5~7월에 해당하는 초여름에는 [[바다]]의 영향으로 다른 지역보다 더 시원하다. 반면에 8~9월에 해당하는 늦여름 내지 초가을은 덥고 비가 많이 내려 습한 편이며 [[태풍]]이 지나가기도 한다. 1959년 [[태풍 사라]]의 경우 부산을 관통해 지나가면서 부산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이 때 부산에서 기록된 최저해면기압 951.5 hPa은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는 기록으로 남아 있다. 2003년에는 [[태풍 매미]]가 한반도로 상륙하면서 부산은 위험반원에 들어 7000톤이 넘는 해상관광호텔이 전복되고 부산항의 800톤급 컨테이너 크레인이 무너지는 등 큰 피해를 보았다.
  
10월과 11월은 일반적으로 가장 편안한 시기로서, 맑은 하늘과 활동하기 좋은 기온이 특징이다. 겨울에는 춥고 건조하며 바람이 강하게 불지만,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다면 겨울이 가장 온화한 지역으로 손꼽힌다. 부산은 지형학적 원인으로 눈이 거의 내리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평균적으로 일 년에 눈이 오는 날짜 수는 평균 6일 정도이며, 그나마도 그리 양이 많지 않다. 하지만 부산에서는 적은 양의 눈에도 큰 피해가 속출하는데, 그 이유는 산이 많은 부산의 특성상 급경사지가 많고, 또 운전자들이 눈에서 운전하는 데 익숙지 않기 때문이다.
+
10월과 11월은 일반적으로 가장 편안한 시기로서, 맑은 하늘과 활동하기 좋은 기온이 특징이다. 겨울에는 춥고 건조하며 바람이 강하게 불지만,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다면 겨울이 가장 온화한 지역으로 손꼽힌다. 부산은 지형학적 원인으로 눈이 거의 내리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평균적으로 일 년에 눈이 오는 날짜 수는 평균 6일 정도이며, 그나마도 그리 양이 많지 않다. 하지만 부산에서는 적은 양의 눈에도 큰 피해가 속출하는데, 그 이유는 산이 많은 부산의 특성상 급경사지가 많고, 또 운전자들이 눈에서 운전하는데 익숙지 않기 때문이다.
  
 
== 행정구역 ==
 
== 행정구역 ==
139번째 줄: 125번째 줄:
  
 
== 인구 ==
 
== 인구 ==
부산의 인구는 [[한국전쟁]]의 영향으로 1951년 84만 명으로 급등했다. 1955년에는 인구가 100만 명을 돌파했으며,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인구가 계속 급등하면서 한때 인구가 380만 명까지 달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 들어서부터는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인구 감소 추세는 계속 이어져, 2018년을 기해 부산의 인구는 350만 명 이하로 내려갔다.  
+
부산의 인구는 [[한국전쟁]]의 영향으로 1951년 84만 명으로 급등했다. 1955년에는 인구가 100만 명을 돌파했으며,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인구가 계속 급등하면서 한때 인구가 380만 명까지 달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 들어서부터는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인구 감소 추세는 계속 이어져, 2011년을 기해 부산의 인구는 360만 명 이하로 내려갔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203번째 줄: 189번째 줄:
 
| 1,371,346
 
| 1,371,346
 
|-
 
|-
| 2015
+
| 2014
| {{막대||10|0}}{{막대||10|0}}{{막대||10|0}}{{막대||5|2}} 3,517,491
+
| {{막대||10|0}}{{막대||10|0}}{{막대||10|0}}{{막대||5|2}} 3,519,401
| 1,430,441
+
| 1,421,648
|-
 
| 2020
 
| {{막대|청|10|0}}{{막대|청|10|0}}{{막대|청|10|0}}{{막대|청|4|5}} 3,450,783
 
| 1,517,200
 
 
|}
 
|}
  
226번째 줄: 208번째 줄:
  
 
=== 상업 ===
 
=== 상업 ===
상업지구는 주요 교차로와 대학 캠퍼스에 인접하여 부산 시내 전체에 분포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큰 중심 상업 지구는 [[서면]]과 [[광복동]]-[[남포동]]이다. 이외에도 [[해운대구]]의 [[센텀시티]]나 [[부산대학교]] 주변([[장전동]])이 주요 상업지구로 손꼽힌다.  
+
상업 지구는 주요 교차로와 대학 캠퍼스에 인접하여 부산시내 전체에 분포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큰 중심 상업 지구는 [[서면]]과 [[광복동]]-[[남포동]]이다. 이외에도 [[해운대구]]의 [[센텀시티]]나 [[부산대학교]] 주변([[장전동]])이 주요 상업지구로 손꼽힌다.  
  
'''서면'''은 부산에서 가장 중요한 교차로이다. [[부산 지하철 1호선]]과 [[부산 지하철 2호선]]이 교차되는 지점으로서 부산에서 가장 유동인구가 많은 곳으로 손꼽힌다. 서면에는 여러 기업의 본사나 국제 은행들이 위치한다. 서면은 부산 쇼핑과 오락의 중심지로 여겨진다. 롯데백화점 서면점과 [[부암역]] 일대에는 '''서면 메디컬 스트리트'''가 조성되어 있어 부산 의료관광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이곳에는 총 160여 개의 성형외과 및 기타 의학 클리닉센터가 위치하며 특히 성형외과, 피부과, 안과, 치과에 특화되어 있다. 서면에 바로 인접하여 부산에서 가장 큰 전통 시장인 부전시장이 있다.  
+
'''서면'''은 부산에서 가장 중요한 교차로이다. [[부산 지하철 1호선]]과 [[부산 지하철 2호선]]이 교차되는 지점으로서 부산에서 가장 유동인구가 많은 곳으로 손꼽힌다. 서면에는 여러 기업의 본사나 국제 은행들이 위치한다. 서면은 부산 쇼핑과 오락의 중심지로 여겨진다. 롯데백화점 서면점과 [[부암역]] 일대에는 '''서면 메디컬 스트리트'''가 조성되어 있어 부산 의료관광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이곳에는 총 160여 개의 성형외과 및 기타 의학 클리닉센터가 위치하며 특히 성형외과, 피부과, 안과, 치과에 특화되어 있다. 서면에 바로 인접하여 부산에서 가장 큰 전통시장인 부전시장이 위치해 있다.  
  
 
'''광복동-남포동-중앙동''' 지역은 부산의 옛날 중심 상업지역을 형성한다. 이곳에 있는 어떤 식당들은 수세대에 걸쳐 운영되고 있기도 하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어시장인 [[자갈치시장]]도 이곳에 위치한다. '''돗대기 시장'''이라는 말의 어원이 된 국제시장도 이 근처에 위치한다. 중앙동에는 국제 법률사무소가 많이 있으며 옛 세관과 [[일본]] 항로를 운영 중인 부산국제여객터미널도 위치한다.
 
'''광복동-남포동-중앙동''' 지역은 부산의 옛날 중심 상업지역을 형성한다. 이곳에 있는 어떤 식당들은 수세대에 걸쳐 운영되고 있기도 하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어시장인 [[자갈치시장]]도 이곳에 위치한다. '''돗대기 시장'''이라는 말의 어원이 된 국제시장도 이 근처에 위치한다. 중앙동에는 국제 법률사무소가 많이 있으며 옛 세관과 [[일본]] 항로를 운영 중인 부산국제여객터미널도 위치한다.
  
'''센텀시티'''는 부산의 새로운 쇼핑센터로 떠오르는 지역으로,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과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이 이곳에 있다.
+
'''센텀시티'''는 부산의 새로운 쇼핑센터로 떠오르는 지역으로,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과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이 이 곳에 위치한다.
  
 
== 교육 ==
 
== 교육 ==
263번째 줄: 245번째 줄:
 
[[파일:동래파전.jpg|300픽셀|섬네일|큼직한 [[파]]가 올려진 동래파전.]]
 
[[파일:동래파전.jpg|300픽셀|섬네일|큼직한 [[파]]가 올려진 동래파전.]]
  
도심 북쪽에 있는 [[금정산]]은 부산 시민들이 주말마다 찾는 등산 코스이다. 금정산 자락 남쪽으로는 지역 최고의 대학교로 손꼽히는 [[부산대학교]]가 위치한다. 부산대학교 주변은 젊은 층을 겨냥한 카페, 술집, 식당, 극장 등이 즐비하게 있으며 주말에는 길거리 문화공연도 볼 수 있다. [[범어사]]는 금정산 서쪽 자락에 있다. 범어사는 부산에서 가장 큰 [[사찰]]로서 [[통도사]], [[해인사]]와 함께 영남 3대 사찰로 손꼽힌다.
+
도심 북쪽에 위치한 [[금정산]]은 부산 시민들이 주말마다 찾는 등산 코스이다. 금정산 자락 남쪽으로는 지역 최고의 대학교로 손꼽히는 [[부산대학교]]가 위치한다. 부산대학교 주변은 젊은 층을 겨냥한 카페, 술집, 식당, 극장 등이 즐비하게 있으며 주말에는 길거리 문화공연도 볼 수 있다. [[범어사]]는 금정산 서쪽 자락에 위치한다. 범어사는 부산에서 가장 큰 [[사찰]]로서 [[통도사]], [[해인사]]와 함께 영남 3대 사찰로 손꼽힌다.
  
부산 구도심 복판에 위치하는 [[용두산공원]]에는 [[부산타워]]와 용두산 미술전시관이 있다. 부산타워에 올라가면 [[부산항]] 전경을 내려다볼 수 있다. 용두산공원은 부산을 찾은 관광객들이 꼭 한번 들르는 곳으로, 연중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벌어진다.  
+
부산 구도심 복판에 위치하는 [[용두산공원]]에는 [[부산타워]]와 용두산 미술전시관이 위치하고 있다. 부산타워에 올라가면 [[부산항]] 전경을 내려다 볼 수 있다. 용두산공원은 부산을 찾은 관광객들이 꼭 한번 들르는 곳으로, 연중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벌어진다.  
  
 
[[동래구]]는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가장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던 지역이다. 동래 온천은 천연 온천으로서 이곳에는 목욕탕, 관광호텔, 음식점, 클럽, 쇼핑몰 등이 많이 위치한다. 오래된 음식점도 많아 "원조OO"식의 간판을 내건 음식점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동래에는 [[임진왜란]] 당시 동래산성에서 싸우다 죽은 한국인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충렬사]]라는 사당이 위치한다.
 
[[동래구]]는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가장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던 지역이다. 동래 온천은 천연 온천으로서 이곳에는 목욕탕, 관광호텔, 음식점, 클럽, 쇼핑몰 등이 많이 위치한다. 오래된 음식점도 많아 "원조OO"식의 간판을 내건 음식점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동래에는 [[임진왜란]] 당시 동래산성에서 싸우다 죽은 한국인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충렬사]]라는 사당이 위치한다.
271번째 줄: 253번째 줄:
 
부산은 한국 최고의 여름 피서지로 손꼽히며, 부산 해수욕장들은 매년 여름철이면 전국에서 몰려든 관광객으로 가득 메워진다. [[해운대 해수욕장]]은 국내 최대의 해수욕장으로서 해안가를 따라 조성된 판자길과 즐비한 고급 호텔들이 특징이다. 해운대에는 국내 최대의 아쿠아리움인 [[부산 아쿠아리움]]이 위치한다. 해운대 서쪽에 위치한 [[광안리 해수욕장]]에는 카페, 술집, 식당들이 밀집해 있으며 무엇보다도 바다를 가로질러 있는 [[광안대교]]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부경대학교]]와 [[경성대학교]]가 위치하므로 젊은 층을 겨냥한 술집과 식당이 많은 편이다.
 
부산은 한국 최고의 여름 피서지로 손꼽히며, 부산 해수욕장들은 매년 여름철이면 전국에서 몰려든 관광객으로 가득 메워진다. [[해운대 해수욕장]]은 국내 최대의 해수욕장으로서 해안가를 따라 조성된 판자길과 즐비한 고급 호텔들이 특징이다. 해운대에는 국내 최대의 아쿠아리움인 [[부산 아쿠아리움]]이 위치한다. 해운대 서쪽에 위치한 [[광안리 해수욕장]]에는 카페, 술집, 식당들이 밀집해 있으며 무엇보다도 바다를 가로질러 있는 [[광안대교]]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부경대학교]]와 [[경성대학교]]가 위치하므로 젊은 층을 겨냥한 술집과 식당이 많은 편이다.
  
[[영도구|영도]]에 위치한 [[태종대]]는 자연공원으로서 바다에 면해 있는 장엄한 절벽이 인상적이다.
+
[[영도구|영도]]에 위치한 [[태종대]]는 자연 공원으로서 바다에 면해 있는 장엄한 절벽이 인상적이다.
  
 
[[해동용궁사]]는 뒤쪽으로는 산, 앞쪽으로는 바다와 바로 접해있는 형태의 독특한 사찰로서 우리나라 3대 관음성지(觀音聖地)로 손꼽힌다.
 
[[해동용궁사]]는 뒤쪽으로는 산, 앞쪽으로는 바다와 바로 접해있는 형태의 독특한 사찰로서 우리나라 3대 관음성지(觀音聖地)로 손꼽힌다.
281번째 줄: 263번째 줄:
 
[[대한민국]]의 남동쪽 끝에 위치한 부산은 옛날부터 [[일본]]과의 왕래가 잦았다. 일본의 고위 관료들이 부산을 방문할 때에는 동래파전 등의 음식을 내놓곤 했다. 동래파전은 일반 [[파전]]과 달리 재료를 큼직큼직하게 넣어 만들며, [[파]]가 통째로 올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한민국]]의 남동쪽 끝에 위치한 부산은 옛날부터 [[일본]]과의 왕래가 잦았다. 일본의 고위 관료들이 부산을 방문할 때에는 동래파전 등의 음식을 내놓곤 했다. 동래파전은 일반 [[파전]]과 달리 재료를 큼직큼직하게 넣어 만들며, [[파]]가 통째로 올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부산이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가 되어 피난민들이 부산으로 모두 몰려들었다. 전국 각지의 사람이 모두 한곳에 모이면서 여러 지방의 음식 문화가 자연스레 섞이게 되었는데, 이때 만들어진 음식이 부산의 토속 음식으로 남아 있는 예도 있다. 예를 들어 부산[[밀면]]은 [[냉면]]의 부산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평양]]과 [[함흥]]이 원조인 냉면은 원래 메밀로 만드는 것인데, 전쟁 당시에는 [[메밀]]을 구할 수 없어 [[밀가루]]로 대신 냉면을 만든 것이 현재의 밀면으로 남아 있다. 그 밖에 돼지국밥, [[먹장어|꼼장어]] 볶음 등도 한국전쟁 당시 만들어진 부산 음식이다.
+
[[한국전쟁]] 당시에는 부산이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가 되어 피난민들이 부산으로 모두 몰려들었다. 전국 각지의 사람이 모두 한 곳에 모이면서 여러 지방의 음식 문화가 자연스레 섞이게 되었는데, 이 때 만들어진 음식이 부산의 토속 음식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부산[[밀면]]은 [[냉면]]의 부산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평양]]과 [[함흥]]이 원조인 냉면은 원래 메밀로 만드는 것인데, 전쟁 당시에는 [[메밀]]을 구할 수 없어 [[밀가루]]로 대신 냉면을 만든 것이 현재의 밀면으로 남아 있다. 그 밖에 돼지국밥, [[먹장어|꼼장어]] 볶음 등도 한국전쟁 당시 만들어진 부산 음식이다.
  
 
== 야구의 도시 ==
 
== 야구의 도시 ==
  
부산시민의 [[야구]] 사랑은 남달라서 부산은 야구의 도시로도 유명하다. 국내 프로야구 팀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사직구장]]이 부산 사직에 위치한다. 사직의 야구 열기와 응원 수준은 매우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
부산시민의 [[야구]] 사랑은 남달라서 부산은 야구의 도시로도 유명하다. 국내 프로야구 팀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사직구장]]이 부산 사직에 위치한다. 사직의 야구열기와 응원 수준은 매우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 부산시티투어 ==
 
== 부산시티투어 ==
305번째 줄: 287번째 줄:
  
 
=== 철도 ===
 
=== 철도 ===
[[경부선]]은 부산에서 가장 중요한 철도 노선으로서 부산에서 [[서울]], [[대전]], [[대구]] 등의 도시로 이동하는 데 이용된다. 부산의 경부선 [[KTX]] 정차역으로는 [[부산역]]과 [[구포역]]이 있다. 부산역은 경부선의 종착역이며, KTX를 이용하면 부산역에서 [[서울역]]까지는 2시간 30분 내외가 소요된다. 부산에 있는 다른 철도 노선으로는 [[동해선]]이 있다. 동해선을 이용하면 [[울산]], [[포항]], [[경주]]등의 도시로 이동할 수 있다.  
+
[[경부선]]은 부산에서 가장 중요한 철도 노선으로서 부산에서 [[서울]], [[대전]], [[대구]] 등의 도시로 이동하는 데 이용된다. 부산의 경부선 [[KTX]] 정차역으로는 [[부산역]]과 [[구포역]]이 있다. 부산역은 경부선의 종착역이며, KTX를 이용하면 부산역에서 [[서울역]]까지는 2시간 30분 내외가 소요된다. 부산에 있는 다른 철도 노선으로는 [[동해남부선]]이 있다. 동해남부선을 이용하면 [[울산]], [[포항]], [[경주]]등의 도시로 이동할 수 있다. 앞으로 동해남부선은 수도권의 [[경춘선]] 등과 마찬가지로 복선전철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 지하철 ===
 
=== 지하철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