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노선표)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4.3. 2023 시즌[편집]
+
{{철도 노선
2023태윤
+
|노선 = 영동선
Kim "Taeyoon" Tae-yoon
+
|배경색 = #{{철도 색상|철도}}
4.3.1.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편집]
+
|그림 = [[파일:정동진역.jpg|300픽셀]]<br>일출명소인 [[정동진역]]<br>[[파일:영동선.jpg|300픽셀]]
LCK 데뷔 이후 처음으로 풀 주전을 뛰게 된 시즌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기대주로 꼽혀왔던 만큼 본인의 기량을 100% 이상 발휘해 경쟁력을 선보여야 할 것이다.
+
|한글 표기 = 영동선
 +
|영문 표기 = Yeongdong Line
 +
|한자 표기 = 嶺東線
 +
|소재국 = {{태극기}} [[대한민국]]
 +
|소유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
|위탁 운영 =
 +
|기점 = [[영주역]]
 +
|종점 = 청량신호소
 +
|운행 계통 = 영동선
 +
|궤간 = 1,435㎜ (표준궤)
 +
|선로 = 1
 +
|열차 편성 =
 +
|영업 거리 = 188.9km
 +
|소요 시간 =
 +
|표정 속도 =
 +
|배차 간격 =
 +
|개통일 = 1940년 8월 1일
 +
|폐선일 =
 +
}}
  
하지만 첫 경기인 HLE 전 1세트에선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애쉬 - 하이머딩거 조합이었기에 라인전은 강하게 가져갔으나 거의 0에 수렴하는 궁극기 적중률을 보여주며 역전패에 기여했다. 그나마 2세트에선 유성 바루스로 날카롭게 듀오 킬을 내거나 괜찮은 포킹 적중률을 보여주는 등 이전 세트에 비해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패배를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
{{대사|태백산맥을 넘어서, 강원 동해안으로}}
  
다음 경기인 브리온전에서는 지난 경기보다도 더 실망스러운 경기력으로 게임을 역캐리했다. 3연 제리를 잡았으나 전혀 픽의 이유를 증명해내지 못했고, 특히 3세트에선 미드 카르마와 룰루까지 달아주며 캐리 판을 조성해주었음에도 안일한 포지셔닝과 무리수로 팀의 교전 구도를 어그러뜨리며 그대로 팀 패배의 주범으로 전락했다. 엄티의 집요한 바텀 갱킹에 팀적으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채 매 라인전마다 큰 대미지를 입고 시작한만큼 약간의 까방권은 주어져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지만, 태윤 스스로에게도 팀 전체적으로도 상당한 피드백이 필요하다는 게 팬들의 주된 의견이다.
+
'''영동선'''은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시작하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이다. 단선 철도지만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있다. 험준한 [[태백산맥]]을 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건너서 강원특별자치도의 동해안([[영동]]지역)까지 이르는 철도로서 관광수요가 높은 노선이다. [[V-train]](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 등의 관광철도가 영동선을 주 무대로 운행하고 있다.
  
아예 T1전에선 감코진의 밴픽 실수 등 여러 악조건이 겹쳐 매 세트마다 초반에 다이브를 당하면서 망하고 시작하는 그림이 만들어졌다. 친정팀 DRX와의 경기에선 바루스 - 애쉬를 잡고 두 세트 연속으로 초반 라인전에서 앞서는 구도를 만들었지만 1세트 때는 OME스러운 운영 끝에 역전패, 2세트 때는 상대 사일러스의 집요한 바텀 로밍에 터져 나가며 패배했다.
+
영동선은 시점인 영주역에서 [[경북선]] 및 [[중앙선]]과 연결되며, [[백산역]]에서 [[태백선]]과 연결된다. 영동선 [[누리로]]와 [[동해산타열차]]는 [[강릉역]]에서 시·종착하는데, 강릉역은 공식적으로 영동선의 역이 아니라 [[경강선]]의 역이다.  
  
2주차까지의 행보를 정리하면 최하위권 원딜로써 신인의 한계를 고스란히 노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챔피언을 잡아도 고스란히 불안정성을 노출하고 다이브 상황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등 망하는 그림이 잦다. 제대로 자리잡기 위해서라도 더욱 분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 역사 ==
 +
[[일제강점기]]이던 1940년 7월 31일에 개통된 묵호항-도계 41.4km 구간의 철도노선이 영동선의 시초이다. 이후 '''철암선'''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된 이 철도노선은 삼척철도주식회사가 건설한 사설철도로서, 삼척탄광에서 채굴된 [[석탄]]을 묵호항을 통해 [[일본]] 본토로 실어 나르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3주차 첫 경기인 KT전에서는 파트너 준의 보좌 속에 전보다 스텝업한 기량으로 2:0 업셋에 기여, 대형 사고를 쳤다. 동시에 그동안 안 좋은 모습만을 보여줬었던 제리로 본인 커리어 및 2023 시즌 최초 펜타킬까지 달성하며 캐리력을 입증해보였다.
+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정권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실시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영동선은 대대적으로 연장 및 정비되었다. 1962년 10월 31일에는 동해 [[묵호역]] - 강릉 [[경포대역]] 44.6km 구간이 추가 개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동해안을 따라 달리는 이 구간은 강원북부선 또는 [[동해북부선]]으로 명명되었다. 1963년 5월 17일에는 기존의 영암선, 철암선, 강원북부선을 통합하여 영주에서 강릉에 이르는 전체 구간을 통틀어 현재 명칭인 영동선으로 명명하였다. 1963년 5월 30일에는 경사가 심하여 열차 운행에 차질이 있었던 심포리역과 통리역 사이에 8.5km 길이의 [[스위치백]] 노선이 완공되었다. 해당 구간은 2012년 6월 27일 [[솔안터널]]이 개통되기 전까지 한국 유일의 스위치백 구간으로 널리 알려졌다.  
  
디플러스와의 경기에선 DRX 시절 경쟁자였던 데프트를 상대하게 되었다. 1세트 때는 제리로 팀에 휩쓸리며 패했으나[10] 2세트에선 진을 잡고 바텀에서 캐니언의 갱킹에 휘말려 죽은 걸 빼면 안정적으로 팀을 보좌하며 승리를 챙겼다. 하지만 3세트에선 발이 풀린 아칼리로 인해 전사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매치 패배를 기록하게 되었다.
+
1979년 3월 1일에는 강릉-경포대역 구간이 폐쇄되면서 영동선의 총연장은 200km에서 193.6km로 단축되었다.
  
리브 샌드박스전에서는 1세트 때 진을 잡고 엄청난 궁극기 적중률을 보여주며 팀의 세트 승리에 큰 공을 세웠다. 라인전도 무난히 이겨냈고 몇 번 포지셔닝 미스로 인해 잘리긴 했지만 살벌한 스킬 적중률을 선보였다. 하지만 2, 3세트에서 상대 바텀에 확연히 밀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패배에 큰 지분을 쌓았다.
+
== 운영 ==
 +
그동안 [[강릉역]]까지만 운행되던 강릉선 KTX를 연장하여 2020년부터는 [[동해역]], [[묵호역]], [[정동진역]]에서도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서울역에서 동해역까지 소요시간은 약 2시간 30분이다. 동해역 KTX는 평일 8회, 주말 13~14회 운행되고 있다. 동해, 삼척 지역의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됨에 따라 관광객 유치에 도움이 되고 있다.  
  
농심과의 Saturday Showdown 매치에선 바이탈을 상대로 원딜 차이를 내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몇 번씩 과한 포지셔닝으로 잘리며 위기를 맞기도 했으나 무너지지는 않았고, 오히려 이즈리얼로는 시종일관 상대 바이탈보다 우위에 있는 경기력을 선보이기도 했다.
+
고속열차나 관광열차가 아닌 일반열차로는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이 노선에서 운행하고 있다.
  
젠지전에서는 인생 경기를 치르며 강팀 젠지를 상대로 한 세트를 따내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이즈 - 카르마 조합으로 라인전에서부터 상대를 잘 압박했고, 무엇보다 한타에서 보여주는 스킬 활용과 포지셔닝이 기가 막혔다. POG는 덤. 이어진 3세트에서도 똑같은 조합으로 라인전을 압도하는 등 초반을 우세로 가져오는데 기여했지만 두두의 하드 쓰로잉과 함께 팀 전체가 운영적으로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역전패를 하고 말았다. 본인도 후반부엔 집중력을 잃었는지 안일한 포지셔닝으로 인해 아칼리에게 암살당하며 패배에 기여하기도 했다.
+
서울 방면 일반열차는 [[태백선]]을 통해 영동선으로 진입한다. 하루 5편의 [[청량리역|청량리]]-동해 ITX-마음/무궁화호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청량리역에서 동해역까지는 정차역 수에 따라 4시간 10분에서 4시간 50분 안팎이 소요된다.  
  
브리온과의 두 번째 Saturday Showdown 경기에서는 이즈리얼로 앞비전 시전 후 나르에게 물려 짤리는 등 최악의 데드무비를 보여주며 패배의 원흉이 되었다. 특히 라인전에서 견제가 수월한 이즈리얼을 들고도 라인전에서 힘에 부쳐하는 모습을 보이며 체급 면에서의 과제를 안게 되었다.
+
== 노선표 ==
 +
여객을 담당하는 역과 주요 분기점만을 기재하였다. 영동선의 공식적인 종점은 청량신호소이며, [[강릉역]]은 영동선이 아니라 [[경강선]]의 역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대부분의 영동선 여객열차가 강릉역을 시·종착역으로 하고 있으므로 편의를 위해 [[강릉역]]도 노선표에 함께 표기하였다.  
  
이어진 디플러스전에서는 바루스를 잡고 라인전에서는 앞서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정작 애쉬에게 궁을 맞고 끊기거나 무리한 포지셔닝으로 인해 잡아 먹히는 등 또 한 번 역캐리를 시전하며 패배에 큰 지분을 쌓았다.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 역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정차하는 열차 !! 접속 노선 !! colspan="2"| 소재지
 +
|- style = "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height: 2pt"
 +
| colspan = "7" |
 +
|-
 +
![[영주역|영주]]
 +
|0.0
 +
|0.0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V}}
 +
|{{철도 링크|중앙선}} · {{철도 링크|경북선}}
 +
| rowspan="10"| [[경상북도]]
 +
| [[영주시]]
 +
|-
 +
![[봉화역|봉화]]
 +
|14.7
 +
|14.7
 +
|{{철도 링크|무궁화}}
 +
|
 +
| rowspan="9"| [[봉화군]]
 +
|-
 +
![[춘양역|춘양]]
 +
|23.2
 +
|37.9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임기역|임기]]
 +
|9.7
 +
|47.6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현동역|현동]]
 +
|5.1
 +
|52.7
 +
|{{철도 링크|무궁화}}
 +
|
 +
|-
 +
![[분천역|분천]]
 +
|6.6
 +
|59.3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동해산타}} {{철도 링크|V}}
 +
|
 +
|-
 +
![[비동역|비동]]
 +
|4.2
 +
|63.5
 +
|{{철도 링크|동해산타}} {{철도 링크|V}}
 +
|
 +
|-
 +
![[양원역(영동선)|양원]]
 +
|2.0
 +
|65.5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동해산타}} {{철도 링크|V}}
 +
|
 +
|-
 +
![[승부역|승부]]
 +
|3.9
 +
|69.2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동해산타}} {{철도 링크|V}}
 +
|
 +
|-
 +
![[석포역|석포]]
 +
|7.6
 +
|76.8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동해산타}}
 +
|
 +
|-
 +
![[철암역|철암]]
 +
|10.2
 +
|87.0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동해산타}} {{철도 링크|V}}
 +
|
 +
| rowspan="10" | [[강원특별자치도]]
 +
| rowspan="3" | [[태백시]]
 +
|-
 +
!(백산역)
 +
|
 +
|91.3
 +
|
 +
|{{철도 링크|태백선}}
 +
|-
 +
![[동백산역|동백산]]
 +
|6.1
 +
|93.1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동해산타}}
 +
|
 +
|-
 +
![[도계역|도계]]
 +
|18.2
 +
|111.3
 +
|{{철도 링크|ITX-마음}}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동해산타}}
 +
|
 +
| rowspan="2" | [[삼척시]]
 +
|-
 +
![[신기역|신기]]
 +
|15.3
 +
|126.6
 +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동해산타}}
 +
|
 +
|-
 +
![[동해역|동해]]
 +
|21.0
 +
|147.6
 +
|{{철도 링크|KTX}} {{철도 링크|ITX-마음}} {{철도 링크|무궁화}} {{철도 링크|누리로}} {{철도 링크|동해산타}}
 +
| {{철도 링크|동해선}}
 +
| rowspan="2" | [[동해시]]
 +
|-
 +
![[묵호역|묵호]]
 +
|6.0
 +
|153.6
 +
|{{철도 링크|KTX}} {{철도 링크|누리로}} {{철도 링크|동해산타}}
 +
|
 +
|-
 +
![[정동진역|정동진]]
 +
|22.9
 +
|176.5
 +
|{{철도 링크|KTX}} {{철도 링크|누리로}} {{철도 링크|동해산타}}
 +
|
 +
| rowspan="3" | [[강릉시]]
 +
|-
 +
!(청량신호소)
 +
|
 +
|188.9
 +
|
 +
|{{철도 링크|경강선}}
 +
|-
 +
![[강릉역|(강릉)]]
 +
|16.2
 +
|<nowiki>+</nowiki>3.8
 +
|{{철도 링크|KTX}} {{철도 링크|누리로}} {{철도 링크|동해산타}}
 +
|{{철도 링크|경강선}}
 +
|-
 +
|- style = "background:#{{철도 색상|철도}}; height: 2pt"
 +
| colspan = "7" |
 +
|-
 +
|}
  
6주차까지 문제점이 고쳐질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팬들 사이에서 혹평을 받고 있다. 무리한 앞포지셔닝이나 대쉬가 많아 짤리는 일이 부지기수인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신인 이슈에 멘탈리티적인 문제까지 겹친 것으로 보이는데 단기간에 해결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할 듯.
+
== 같이 보기 ==
 +
* [[V-train]] (백두대간협곡열차)
 +
* [[동해산타열차]]
  
한화생명과의 경기에선 1세트에서 진을 꺼내 들었으나 상대의 파상공세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채 속수무책으로 밀렸고 팀도 완패를 당했다. 그나마 2세트에선 이즈리얼을 잡고 준의 카르마와 함께 바이퍼-라이프를 라인전에서 이겨내고 뇌절성으로 들어온 클리드까지 잡고 제압킬을 얻어 내는 등 초반 한정으로 팀을 이끌었으나 막상 라인전 페이즈가 끝나자 상대방의 기습적인 이니시에 연거푸 죽어나가며 패배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T1전에서는 아예 1라운드의 악몽이 되살아난 듯 준과 함께 초반부터 박살났다. 물론 준 본인이 사형 선고에 연달아 끌려 킬을 내준 부분이 컸지만 태윤 본인도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면서 바텀 약세의 원인을 제공했다.
+
[[분류:영동선| ]]
 
 
7주차 샌박전에서는 1세트 때 선발 출전했던 모함의 부진으로 인한 악영향에 휩쓸려 게임 패배의 단초를 제공했다. 이어진 2세트에서도 초반부터 교전에서 연패하며 0/4/5의 KD/A를 기록한 채 망하는 듯 했지만 용 앞 2번의 한타에서 자야 특유의 빨아들이는 플레이[11]를 연이어 보여주며 팀의 역전승을 이끌었고, 이 흐름을 3세트까지 이어가며 6강팀 중 하나인 샌박을 잡아내는 대형 업셋을 기록했다.
 
 
 
농심 레드포스전에서는 1세트에서 자야를 잡고 상대의 진입 타이밍마다 공세를 잘 흡수하고 오히려 잡아 먹는 모습을 계속 보여주면서 POG에 선정되었다. 2세트 때는 제리로 포골 욕심을 내다가 듀오 킬을 내주는 실수를 범하며 세트를 내주는데 큰 지분을 차지하기도 했지만, 곧바로 3세트에서 가장 자신있다고 밝힌 아펠리오스를 기용해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며 팀의 승리에 큰 공을 세웠다.
 
 
 
젠지전에서도 어느 정도 활약하며 팀의 3연승 및 역대급 업셋에 기여하였다. 2세트에선 제리-룰루로 상대 바텀을 라인전에서부터 이기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특히 3세트 막판에는 이즈리얼 궁으로 대박을 터트리며 팀에 역전승을 선물했다.[12]
 
 
 
친정팀 DRX와의 경기에선 최근 평가가 떨어진 케이틀린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애쉬로 준수한 라인전과 스노우볼링 능력까지 뽐내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며 팀의 승리에 힘을 보탰다.
 
 
 
그러나 시즌 마지막 경기였던 KT전에서는 무모한 포지셔닝이라는 문제가 부각되면서 또 한 번 패배에 큰 지분을 쌓고야 말았다. 특히 2세트에선 천천히 앞서나간 상황이었음에도 미드에서의 초대형 뇌절로 패배를 견인했다.
 
 
 
올 시즌 태윤은 전문가들의 평가나 사전에 보여준 퍼포먼스로 인해 두두를 제외한 선수들 중 가장 큰 기대를 받으며 출발했으나 막상 과도한 공격성과 쓰로잉 기질로 인해 팀의 구멍으로 전락하며 아쉬운 시즌을 보냈다. 다만 후반에 다양한 챔피언을 기용하여 캐리력을 입증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라인전 체급 자체는 신인치고 꽤 괜찮다는 걸 보여주며 포텐이 충만하다는 사실을 증명한 건 호재. 서머 때까지 전술된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 보여야 할 것이다.
 
4.3.2.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편집]
 
상대 입장에서 게임이 아무리 불리해도 태윤을 믿고 버틴다.
 
조나스트롱
 

2024년 1월 26일 (금) 14:18 기준 최신판

영동선
정동진역.jpg
일출명소인 정동진역
영동선.jpg
한글 표기 영동선
영문 표기 Yeongdong Line
한자 표기 嶺東線
소재국 태극기.png 대한민국
소유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 코레일 로고.png
기점 영주역
종점 청량신호소
운행 계통 영동선
궤간 1,435㎜ (표준궤)
선로 1
영업 거리 188.9km
개통일 1940년 8월 1일

영동선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시작하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이다. 단선 철도지만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있다. 험준한 태백산맥을 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건너서 강원특별자치도의 동해안(영동지역)까지 이르는 철도로서 관광수요가 높은 노선이다. V-train(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 등의 관광철도가 영동선을 주 무대로 운행하고 있다.

영동선은 시점인 영주역에서 경북선중앙선과 연결되며, 백산역에서 태백선과 연결된다. 영동선 누리로동해산타열차강릉역에서 시·종착하는데, 강릉역은 공식적으로 영동선의 역이 아니라 경강선의 역이다.

역사[편집]

일제강점기이던 1940년 7월 31일에 개통된 묵호항-도계 41.4km 구간의 철도노선이 영동선의 시초이다. 이후 철암선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된 이 철도노선은 삼척철도주식회사가 건설한 사설철도로서, 삼척탄광에서 채굴된 석탄을 묵호항을 통해 일본 본토로 실어 나르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정권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실시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영동선은 대대적으로 연장 및 정비되었다. 1962년 10월 31일에는 동해 묵호역 - 강릉 경포대역 44.6km 구간이 추가 개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동해안을 따라 달리는 이 구간은 강원북부선 또는 동해북부선으로 명명되었다. 1963년 5월 17일에는 기존의 영암선, 철암선, 강원북부선을 통합하여 영주에서 강릉에 이르는 전체 구간을 통틀어 현재 명칭인 영동선으로 명명하였다. 1963년 5월 30일에는 경사가 심하여 열차 운행에 차질이 있었던 심포리역과 통리역 사이에 8.5km 길이의 스위치백 노선이 완공되었다. 해당 구간은 2012년 6월 27일 솔안터널이 개통되기 전까지 한국 유일의 스위치백 구간으로 널리 알려졌다.

1979년 3월 1일에는 강릉-경포대역 구간이 폐쇄되면서 영동선의 총연장은 200km에서 193.6km로 단축되었다.

운영[편집]

그동안 강릉역까지만 운행되던 강릉선 KTX를 연장하여 2020년부터는 동해역, 묵호역, 정동진역에서도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서울역에서 동해역까지 소요시간은 약 2시간 30분이다. 동해역 KTX는 평일 8회, 주말 13~14회 운행되고 있다. 동해, 삼척 지역의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됨에 따라 관광객 유치에 도움이 되고 있다.

고속열차나 관광열차가 아닌 일반열차로는 무궁화호누리로가 이 노선에서 운행하고 있다.

서울 방면 일반열차는 태백선을 통해 영동선으로 진입한다. 하루 5편의 청량리-동해 ITX-마음/무궁화호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청량리역에서 동해역까지는 정차역 수에 따라 4시간 10분에서 4시간 50분 안팎이 소요된다.

노선표[편집]

여객을 담당하는 역과 주요 분기점만을 기재하였다. 영동선의 공식적인 종점은 청량신호소이며, 강릉역은 영동선이 아니라 경강선의 역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대부분의 영동선 여객열차가 강릉역을 시·종착역으로 하고 있으므로 편의를 위해 강릉역도 노선표에 함께 표기하였다.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정차하는 열차 접속 노선 소재지
영주 0.0 0.0 무궁화 V 중앙선 · 경북선 경상북도 영주시
봉화 14.7 14.7 무궁화 봉화군
춘양 23.2 37.9 무궁화
임기 9.7 47.6 무궁화
현동 5.1 52.7 무궁화
분천 6.6 59.3 무궁화 산타 V
비동 4.2 63.5 산타 V
양원 2.0 65.5 무궁화 산타 V
승부 3.9 69.2 무궁화 산타 V
석포 7.6 76.8 무궁화 산타
철암 10.2 87.0 무궁화 산타 V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백산역) 91.3 태백선
동백산 6.1 93.1 무궁화 산타
도계 18.2 111.3 마음 무궁화 산타 삼척시
신기 15.3 126.6 무궁화 산타
동해 21.0 147.6 KTX 마음 무궁화 누리로 산타 동해선 동해시
묵호 6.0 153.6 KTX 누리로 산타
정동진 22.9 176.5 KTX 누리로 산타 강릉시
(청량신호소) 188.9 경강선
(강릉) 16.2 +3.8 KTX 누리로 산타 경강선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