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흡충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2.png
현미경으로 본 간흡충 (성충)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편형동물문
강: 흡충강
목: 후고흡충목
과: 후고흡충과
속: 간흡충속
종: 간흡충
학명
Clonorchis sinensis
Looss, 1907

간흡충 또는 간디스토마편형동물문 흡충강에 속하는 기생충이다. 간흡충은 인간의 에 살며 주로 쓸개관쓸개에서 흔히 발견된다. 쓸개즙을 섭취하며 연명한다. 세계적으로는 세 번째로 흔한 기생충이며,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창궐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인구의 1.9%에 해당하는 93만 명이 감염되어 있을 정도로 감염률이 아주 높다(2012년 기준).

최근에는 간흡충이 간암과 담관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이라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2009년, 세계암연구소(IARC)는 간흡충을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였다.

생활사

간흡충의 알은 쇠우렁이 등에게 먹힐 때까지 민물 위에 떠다닌다.

1차 중간숙주 (쇠우렁이)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에서 개울가에 널리 서식하는 쇠우렁이는 간흡충의 중간숙주 역할을 한다.

쇠우렁이가 간흡충 알을 먹으면, 간흡충 알은 쇠우렁이의 몸속에서 부화하여 미라키듐(miracidium)이 되며, 쇠우렁이에 기생하며 성장한다. 곧이어 미라키듐은 스포로시스트(sporocyst) 상태를 거쳐 레디아(redia)가 된다.

레디아가 성숙하면 물속을 자유롭게 유영할 수 있는 형태인 세르카리아(cercaria)가 된다. 세르카리아는 쇠우렁이의 몸속에서 나와 민물로 나와 떠다닌다.

2차 중간숙주 (민물고기)

쇠우렁이의 몸속에서 벗어나 민물로 나온 세르카리아는 2차 중간숙주로 이용할 물고기를 찾아 나선다. 세르카리아는 민물고기의 피부를 뚫고 들어간 뒤 민물고기의 근육에서 두 번째 기생생활을 시작한다. 세르카리아는 민물고기의 근육에서 메타세르카리아(metacercaria)가 된다. 메타세르카리아는 사람이나 동물에 먹혔을 때 해당 사람이나 동물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형태이다.

종숙주 (사람)

메타세르카리아는 산에 강한 피낭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사람의 위산에서 소화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다. 메타세르카리아는 피낭 덕분에 소장까지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다. 소장에 도착한 메타세르카리아는 장벽을 뚫고 최종 목적지인 간으로 이동한다. 간흡충은 에서 생성되는 쓸개즙을 먹으며 살아간다. 인간의 간에서 완전히 성숙한 간흡충은 무성생식을 통해 1-30초에 하나 꼴로 알을 만든다.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쓸개관에서 서식하는 간흡충은 쓸개관의 염증반응과 상피증식, 심지어는 담관암까지도 유발할 수 있다.

간흡충이 간에서 생성되는 모든 쓸개즙을 섭취해버려 지방의 소화에 필요한 쓸개즙이 부족해질 수 있다. 또한, 간흡충이나 그 알로 인해 쓸개관이 막혀 담관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증상

대부분의 경우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염증이나 담관의 폐쇄로 인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급성 감염에서는 구역질과 설사를 동반한 복통이 나타난다. 감염이 장기간 지속된 경우에는 피로, 식욕부진, 체중감소, 설사,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장기간 감염의 병리학적 소견으로는 담즙정체, 쓸개관 폐쇄, 세균감염, 염증, 관 주위 조직의 섬유화, 증생 등이 있다. 심한 경우 담관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방

국내에서 널리 창궐하고 있는 기생충이므로 예방에 주의하여야 한다. 최선의 예방방법은 간흡충의 2차 중간숙주가 되는 민물고기(특히 야생상태의 것)를 회(날 것)로 먹지 않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강에서 직접 잡은 민물고기를 먹고 싶다면 매운탕을 끓여 먹는 편이 더 바람직하다.

진단과 치료

진단은 주로 분변에서 현미경 검사를 실시하여 간흡충의 알을 확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간흡충의 치료에는 triclabendazole, 프라지콴텔, bithionol, 알벤다졸, 레바미졸, 메벤다졸 등의 약물을 사용한다. 하지만, 벤지미다졸은 기생충약으로 사용하기에 너무 약하다. 다른 흡충류와 마찬가지로 프라지콴텔이 가장 선호되는 약물이다.


위키피디아.png 이 문서에는 영어 위키백과의 Clonorchis_sinensis 문서에서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