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수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새 문서: 250픽셀|섬네일|농경사회에서는 [[토지가 중요한 생산수단이다. 김홍도의 <타작도>는 생산수단을 소유한 사람(양...)
 
5번째 줄: 5번째 줄:
 
예를 들어, [[옷]]이라는 상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해 보자. 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옷 공장, 옷 원단, 바느질 기계 등의 물질적인 자산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생산수단이다. 하지만 생산수단만 있다고 옷이 저절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 생산수단에 자본과 노동력이 투입되어야 비로소 옷이라는 상품이 생산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옷]]이라는 상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해 보자. 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옷 공장, 옷 원단, 바느질 기계 등의 물질적인 자산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생산수단이다. 하지만 생산수단만 있다고 옷이 저절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 생산수단에 자본과 노동력이 투입되어야 비로소 옷이라는 상품이 생산되는 것이다.  
  
바로 이 생산수단을 누가 갖느냐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경제 체제]]가 정의된다. 생산수단을 개인이 사적으로 가지는 체제를 [[자본주의]]라고 한다. 반면, [[사회주의]]에서는 생산수단을 사적으로 가지면 부의 불평등이 발생하므로 생산수단을 국가가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
바로 이 생산수단을 누가 갖느냐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경제 체제]]가 정의된다. 생산수단을 자본가가 사적으로 가지는 체제를 [[자본주의]]라고 한다. 반면, [[사회주의]]에서는 생산수단을 사적으로 가지면 부의 불평등이 발생하므로 생산수단을 국가가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분류:생산요소]]
 
[[분류:생산요소]]

2019년 4월 2일 (화) 13:06 판

농경사회에서는 토지가 중요한 생산수단이다. 김홍도의 <타작도>는 생산수단을 소유한 사람(양반)과 그렇지 않은 사람(농민)의 관계를 잘 보여준다.

생산수단(한자: 生産手段)은 경제학에서 경제적 가치를 생산하기 위해 투입되는 실물의 재화이다.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원재료, 시설, 기계, 공구 등을 통틀어 생산수단이라고 일컫는다. 고전파 경제학에서 생산수단은 생산요소에서 금융자본인적자본을 뺀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이라는 상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해 보자. 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옷 공장, 옷 원단, 바느질 기계 등의 물질적인 자산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생산수단이다. 하지만 생산수단만 있다고 옷이 저절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 생산수단에 자본과 노동력이 투입되어야 비로소 옷이라는 상품이 생산되는 것이다.

바로 이 생산수단을 누가 갖느냐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경제 체제가 정의된다. 생산수단을 자본가가 사적으로 가지는 체제를 자본주의라고 한다. 반면, 사회주의에서는 생산수단을 사적으로 가지면 부의 불평등이 발생하므로 생산수단을 국가가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