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티디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5월 21일 (일) 19:19 판 (162.158.255.179(토론)의 편집을 황총제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더불어민주당
[[파일:320px|120px]]
로고
상징색 파랑
이념 사회자유주의
당직자
원내대표 우상호

더불어민주당대한민국사회자유주의 정당이다. 2014년 3월 26일 기존의 민주당안철수가 이끄는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가 통합하여 새정치민주연합이라는 당명으로 창당하였으며, 2015년 12월 28일에 정당 이미지 쇄신 차원에서 당명을 더불어민주당으로 교체하였다. 당명 변경에 대해서는 당 명칭에서 "새정치"를 지움으로서 안철수의 흔적을 지우려 한다는 평가와 "민주당"이라는 당명을 회복하여 역사성을 되찾았다는 평가가 있다. 공식 약칭으로는 더민주를 사용한다.

2016년에 치러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123석의 국회의석을 확보하면서 여당인 새누리당을 제치고 국회에서 가장 많은 의석수를 가진 정당이 되었다.

역대 선거결과

대통령선거

선거 후보 총 득표수 득표율 결과 정당명
제13대 (1987년) 김대중 6,113,375 27.0%
 
낙선 평화민주당
제14대 (1992년) 김대중 8,041,284 33.8%
 
낙선 민주당
제15대 (1997년) 김대중 10,326,275 40.3%
 
당선 새정치국민회의
제16대 (2002년) 노무현 12,014,277 48.9%
 
당선 새천년민주당
제17대 (2007년) 정동영 6,174,681 26.1%
 
낙선 대통합민주신당
제18대 (2012년) 문재인 14,692,632 48.0%
 
낙선 민주통합당

국회의원 선거

선거 정당명 비례대표 득표 획득한 국회의석수 결과 당 대표
제13대 (1988년) 평화민주당 3,783,279 70석/299석
 
제2정당 김대중
제14대 (1992년) 민주당 6,004,577 97석/299석
 
제2정당 김대중
제15대 (1996년) 새정치국민회의 4,971,961 79석/299석
 
제2정당 김대중
제16대 (2000년) 새천년민주당 6,780,625 115석/273석
 
제2정당 김대중
제17대 (2004년) 열린우리당 8,145,824 152석/299석
 
제1정당 정동영
제18대 (2008년) 통합민주당 4,313,111 81석/299석
 
제2정당 손학규, 박상천
제19대 (2012년) 민주통합당 7,777,123 127석/300석
 
제2정당 한명숙
제20대 (2016년) 더불어민주당 6,069,744 123석/300석
 
제1정당 김종인

지방선거

선거 정당명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자치의원 기초자치의원 평가 당 대표
제1회
(1995년)
민주당 4석/15석
 
84석/230석
 
353석/875석
 
백중우세 이기택
제2회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6석/16석
 
84석/232석
 
271석/616석
 
백중우세 김대중
제3회
(2002년)
새천년민주당 4석/16석
 
44석/232석
 
143석/682석
 
열세 한화갑
제4회
(2006년)
민주당 2석/16석
 
20석/230석
 
80석/733석
 
276석/2888석
 
열세 한화갑
제5회
(2010년)
민주당 7석/16석
 
92석/228석
 
362석/762석
 
1025석/2888석
 
백중우세 정세균
제6회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9석/17석
 
80석/226석
 
349석/789석
 
1157석/2898석
 
백중열세 김한길, 안철수

지지기반

  • 나이 : 20-40대 > 50대 > 60대 이상
  • 지역 : 수도권, 부산·경남,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 > 대구·경북
  • 직업 : 학생, 화이트칼라 > 블루칼라 > 자영업자, 가정주부 > 무직·은퇴, 농림어업 종사자
  • 대통령 직무 : 박근혜 대통령 부정평가 > 박근혜 대통령 긍정평가
  • 이념 : 진보 > 중도 > 보수

호남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국민의당이 2016년 창당되면서 지지기반이 크게 바뀌었다. 민주당 강세 지역이었던 호남지역을 일부 빼앗긴 대신에 새누리당 강세 지역인 부산·경남 지역에서 지지기반을 확보하면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고른 지지율을 받는 정당이 되었다.

정책

더불어민주당은 대체로 중도 내지는 중도우파 성향의 정책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제 정책은 시장경제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신자유주의는 배격하고 있다. 안보를 중요시하며, 복지 정책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미동맹에 기반을 둔 외교를 중시하고,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입장이다.

정치

  1. 의회정치 활성화
  2. 검찰, 경찰, 국정원, 공정거래위원회 등 정부권력기관의 정치적 중립 확보
  3.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과 개방성을 담보하는 공정 인사를 보장
  4. 정치인과 공직자의 비리 척결
  5. 지역주의 정당체제 타파,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강화, 여성과 청년의 정치참여 기회 확대
  6. 직접민주주의적 요소 가미

경제

  1. 자영업자 보호, 빈곤층 기초소득보장 및 자활 지원.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사회적 투자 및 공유경제 등에 대한 지원 확대
  2. 농수산업 생산자의 안정적 소득보장. 농수축협 개혁 및 활성화. 해양·수산산업 지원·육성. 농어촌 삶의 질 개선사업 실시
  3. 금융산업에 대한 감독과 규제 강화

복지

  1. 무상 보육제도와 초중등 교육제도 정착. 노후보장.
  2.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제도 개혁
  3. 건강보험 보장률 증가. 공공의료 시설 확대
  4. 공공임대주택 공급확대, 임대차보호 강화

일자리, 노동

  1. 노동시간 단축, 일자리 나누기 지원
  2. 사회서비스 부문 일자리 늘리기
  3.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고용에서의 장애인, 여성에 대한 차별 철폐
  4. 최저임금 적정화, 사회보험료 지원 강화
  5. 정리해고 방지

성평등, 사회적 약자, 소수자

  1. 여성의 일자리 확대.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게 양육에 참여하도록 유도. 여성 관련 폭력과 범죄에 대한 예산 확대
  2. 기초노령연금 및 국민연금의 사각지대 해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내실화와 공공성 도모
  3. 장애인 등급제 폐지, 장애인 고용목표제 준수, 장애인 연금 확대. 이주노동자 및 결혼 이민자의 노동권, 교육권 보장, 이주민 자녀에 대한 지원 확대.

외교, 안보

  1.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 확대
  2. 한미동맹을 외교의 근간으로 하여 발전
  3. FTA 체결을 통한 세계 시장 개척, 개방적 통상 국가 지향
  4. 재외동포의 참정권 보장
  5. 튼튼한 안보태세 확립. 군의 정치적 중립 유지. 첨단과학군, 통합전력군 건설
  6. 장병의 인권과 복지 강화

통일

  1. 핵무기, 군비증강 억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2. 통일외교 역량 강화
  3. 남북경제공동체 추진
  4. 이산가족 상봉 상시화
  5. 개성공단 확대 발전. 대륙 철도·도로·에너지 협력사업

분권과 균형발전

  1. 권한과 재원을 과감하게 지방으로 이양
  2.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자율성 확대
  3. 지역 대학생에 대한 제도적 지원, 지역 내 대학 육성. 지역언론 활성화

교육

  1. 보편적 교육복지. 교육제정 확대. 고등학교 교육 의무화
  2. 저소득계층, 조손 및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족, 특수교육 대상자에 대한 배려 강화
  3. 대학 간 서열화 등 학벌효과 해소
  4. 입시 위주의 교육을 전면적으로 개혁
  5. 대학교의 공공성 확대.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 확대. 지역별 대학의 균형적 발전
  6. 평생학습사회 실현

과학기술

  1. 과학기술인의 경영 및 정책결정자로의 진출 지원. 정년 이후 근로 확대.
  2.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민간 평가기구 구축
  3. 과학기술정책 총괄부서 설립
  4.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및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연구개발 협력 지원

문화, 예술, 체육

  1. 국가적 지원 확대, 표현의 자유 보장
  2. 고부가가치 관광여가산업 육성

언론, 미디어

  1. 권력 감시와 비판 보장. 국민에 의한 언론공정성검증시스템 구축
  2. 선정적이고 유해한 미디어 환경 개선
  3. 미디어 시장의 경쟁체제 도입

환경, 에너지

  1. 에너지 공급보다는 수요통제(=에너지 절약)를 중시. 원전을 점진적으로 축소
  2. 사전예방원칙에 입각한 개발
  3. 에너지 저소비 경제구조로의 전환
  4. 남북한 환경협력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