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윤대륙성기후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습윤대륙성기후가 나타나는 지역.

습윤대륙성기후(영어: humid continental climate)는 쾨펜 기후구분에서 D-a, D-b로 분류되는 기후 지역으로서 연교차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여름은 덥고 종종 습하며, 겨울은 춥고 곳에 따라 극심한 추위가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중·북부지역이 대부분 속하는 기후대이기도 하다. 습윤대륙성기후를 나타내는 여러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데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부 지역에서는 겨울에는 강수량이 적고 건조하여 가뭄과 같은 상황이 되며 대부분의 강수는 여름에 집중된다. 겨울에는 가 아닌 이 오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일부 겨울철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폭설이 자주 내리기도 한다. 여름에는 뇌우를 동반한 소나기가 내리는 등 아열대기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비슷한 상태가 된다. 습윤대륙성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은 기후명칭에 습윤이라는 말이 들어가 있는 만큼 대부분 지역에서 상당히 습도가 높게 유지되는 것이 사실이나 그것 자체가 습윤대륙성기후로 분류되는 필수 조건은 아니다. 지중해성기후와 인접한 극히 일부 지역에서는 Dsa나 Dsb형태의 기후패턴이 나타나기도 한다.

습윤대륙성기후는 위도 40° 이상의 지역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의 중부 및 북동부에서 널리 나타난다. 반면에 남반구의 경우에는 위도 40° 이상에 해당하는 지역들이 주로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습윤대륙성기후는 썩 드물게 나타난다.

쾨펜기후구분에 따른 습윤대륙성기후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3°C이하(일부 기상학자의 경우 0°C이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더 선호함)여야 하고 월별 평균 기온이 10°C가 넘는 달이 적어도 4달 이상이어야 한다. 여기다 한 가지 조건을 더 덧붙이자면, 반드시 사막기후반건조기후에 해당하지 않아야 한다.

세분법[편집]

쾨펜 기후구분법에 따르면, 기후 구분에서 소문자들이 의미하는 바는 각각 다음과 같다.

  • 두 번째 글자
    • w : 건조한 겨울 — 겨울철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이 여름철 가장 습한 달의 강수량의 1/10 이하이다.
    • s : 건조한 여름 — 여름철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이 30mm이하이고, 겨울철에 강수가 집중된다.
    • f : 위의 w나 s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 세 번째 글자
    • a: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기온이 22°C 이상이다.
    • b: a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평균기온이 10°C이상인 달이 4달 이상이어야 한다.

더운 여름 (Dfa/Dwa/Dsa)[편집]

중국 북동부의 도시인 하얼빈은 Dwa기후를 나타낸다. 즉, 여름은 덥고 습하지만 겨울은 춥고 건조하다. 서울, 평양 등도 이와 비슷한 기후를 나타낸다.

습윤대륙성기후 중 더운 여름 종류의 특징은 가장 더운 달의 기온이 최소 22°C이상이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더운 달은 7월인데, 경우에 따라 8월이 가장 더운 달인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8월이 가장 더운 달인 경우가 오히려 더 많다. 더운 여름을 나타내는 지역에서는 한여름 최고기온이 32°C에 달하기도 한다. 반면에 1월 평균기온은 -3°C 이하로 내려가는 등 상당히 춥다. 아시아에서, 더운 여름 습윤해양성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으로는 러시아카스피해 연안, 카자흐스탄, 이란의 일부분, 터키, 인도카시미르 지역 등이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의 북동부 대부분, 북한 전역과 대한민국 중부지역의 대부분, 훗카이도를 포함한 일본 북부 등이 해당한다.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이 기후는 몬순의 영향을 받아 여름철 강수량이 겨울철 강수량에 비해 아주 많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강력한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같은 위도의 지역과 비교해 볼 때 겨울이 훨씬 춥고 건조하다. 다만 일본의 경우에는 따뜻한 동해의 영향으로 겨울철에 눈이 상당히 많이 온다.

유럽에서, 이러한 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으로는 루마니아, 몰도바, 우크라이나, 헝가리의 판노니아 분지,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러시아의 돈 강 유역 등이 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뉴잉글랜드 남부와 대서양 중부 지역, 미국 중서부의 대부분, 캐나다,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남부 일부 지역과 대서양에서 위도 100°에 이르는 지역 등이 해당한다. 이 지역에서 강수량은 동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온화한 여름 (Dfb/Dwb/Dsb)[편집]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는 Dfb기후를 나타낸다. 즉, 여름은 덥지 않고 따뜻한 정도이고 겨울은 아주 춥다. 강수량은 고르게 분포하여 겨울에 눈이 많다.

습윤대륙성기후 지역 중 온화한 여름이 나타나는 지역은 더운 여름이 나타나는 지역보다 훨씬 더 넓다. 온화한 여름이 나타나는 지역은 말 그대로 여름이 덥지 않고 온화하며 반대로 겨울은 춥고 길며 강수량이 적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극도로 더운 날씨가 되는 일도 심심찮게 있다. 아시아에서 이런 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은 일본 북부, 북한 함경북도, 대한민국태백, 대관령 등 강원 산간 일부 지역, 몽골의 대부분 지역, 시베리아 남부 등이 있다.

북아메리카에서, 이 기후대는 북위 44°~50° 사이, 서경 100° 동쪽 대부분을 차지한다. 유럽에서는 최대 북위 61° 근처에도 이 기후가 나타나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스칸다나비아 반도 중부 지역에서 이 기후가 나타난다. 오스트리아 동부, 독일 동부,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북부 등의 동유럽 지역과 스칸다나비아 중부의 해안지역은 온화한 여름 종류인데, 특이한 것은 겨울이 그리 춥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이 지역이 서유럽해양성 기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위키피디아.png 이 문서에는 영어 위키백과의 continental climate humid continental climate 문서에서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