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어귀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번째 줄: 8번째 줄:
 
강어귀는 대개 수심이 얕으며, 바닥까지 햇빛이 도달한다. [[갈대]], [[해조류]] 등 다양한 식물군이 있으며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어류, [[게]], [[조개]], [[새우]]가 살기 좋은 환경이다. 특히, 어린 물고기에게는 대양의 큰 물고기를 피하는 좋은 피난처이다. 여러 바다새들은 강어귀에 둥지를 튼다.
 
강어귀는 대개 수심이 얕으며, 바닥까지 햇빛이 도달한다. [[갈대]], [[해조류]] 등 다양한 식물군이 있으며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어류, [[게]], [[조개]], [[새우]]가 살기 좋은 환경이다. 특히, 어린 물고기에게는 대양의 큰 물고기를 피하는 좋은 피난처이다. 여러 바다새들은 강어귀에 둥지를 튼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어귀에 [[하굿둑]]이나 [[방조제]] 등 인공물이 설치되어 자연적인 형태를 잃어버린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 강어귀에 대도시가 들어서 있어서 환경오염에 취약한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드물게 순천동천의 강어귀인 [[순천만]]이 자연적인 형태를 온전히 유지하고 있으며, 생태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2003년에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우리나라의 경우, 강어귀에 [[하굿둑]]이나 [[방조제]] 등 인공물이 설치되어 자연적인 형태를 잃어버린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 강어귀에 대도시가 들어서 있어서 환경오염에 취약한 상황이다.
  
 
[[분류:수역]]
 
[[분류:수역]]
 
[[분류:생태계]]
 
[[분류:생태계]]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