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
|공식 명칭 = 강원특별자치도
+
|공식 명칭 = 강원도
|그림 = [[파일:강원위치.png|300픽셀]]
+
|그림 = [[File:South Korea-Gangwon.svg|300픽셀]]
|표어 =  
+
|표어 = Lively Gangwon
|한글 표기 = 강원특별자치도
+
|한글 표기 = 강원도
|한자 표기 = 江原特別自治道
+
|한자 표기 = 江原道
|영문 표기 = Gangwon State
+
|영문 표기 = Gangwon Province
 
|광역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
|구분 = 광역자치단체(특별자치도)
+
|구분 = 광역자치단체()
|구성 = 7시 11군
+
|구성 = 27시 4군
|인구 = 153만 2617명 (2023년)
+
|인구 = 154만 9780
|면적 = 16,829
+
|면적 = 20,569
|인구밀도 = 90
+
|인구밀도 = 75
|남녀성비 =
+
|남녀성비 = 101.2
|단체장 = [[김진태]] ([[국민의힘]])
+
|단체장 = [[최문순]] ([[민주통합당]])
 
|상징새 = [[두루미]]
 
|상징새 = [[두루미]]
 
|상징꽃 = [[철쭉]]
 
|상징꽃 = [[철쭉]]
 
|상징나무 = [[잣나무]]
 
|상징나무 = [[잣나무]]
|전신 = 강원도
+
|전신 =
 
|후신 =
 
|후신 =
 
}}
 
}}
[[파일:고랭지배추.jpg|300px|섬네일|강원도 [[태백시|태백]]의 고랭지 [[배추]]밭. <del>배추밭이라기보단 배추의 바다</del> 이곳은 해발 고도가 높아 연중 시원하므로 고랭지배추 생산에 적합하다.]]
+
[[파일:고랭지배추.jpg|300px|섬네일|강원도 [[태백시|태백]]의 고랭지 [[배추]]밭. <del>배추밭이라기 보단 배추의 바다</del> 이 곳은 해발 고도가 높아 연중 시원하므로 고랭지 배추 생산에 적합하다.]]
[[파일:정동진선쿠르즈호텔.jpg|300픽셀|섬네일|[[강릉시|강릉]] [[정동진]]에 있는 선쿠르즈 호텔]]
+
'''강원도'''({{llang|ko-Hani|江原道}} {{llang|en|Gangwon-do}})는 [[대한민국]]의 동북쪽에 위치한 [[]]이다. [[한국전쟁]] 결과 [[휴전선]]이 강원도를 가로지르게 되어 현재 강원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에 걸쳐져 있다.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강원도에 대해서만 다루겠다.  
'''강원특별자치도'''({{llang|ko-Hani|江原特別自治道}} {{llang|en|Gangwon State}}) 또는 '''강원자치도'''는 [[대한민국]]의 동북쪽에 있는 [[특별자치도]]이다. [[한국전쟁]] 결과 [[휴전선]]이 강원도를 가로지르게 되어 현재 강원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에 걸쳐져 있다.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강원도에 대해서만 다루겠다.  
 
  
 
== 명칭 ==
 
== 명칭 ==
  
강원도는 [[조선]] 시대 8도 중의 하나로서, 조선시대 당시 [[영동]] 지방을 대표하는 도시인 [[강릉]](江陵)의 앞글자('''"강"''')와 [[영서]] 지방을 대표하는 도시인 [[원주]](原州)의 앞글자('''"원"''')합쳐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도 영동지방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강릉시]], 영서지방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원주시]]이다.
+
강원도는 [[조선]] 시대 8도 중의 하나로서, 조선시대 당시 [[영동]] 지방을 대표하는 도시인 [[강릉]](江陵)의 앞글자('''"강"''')와 [[영서]] 지방을 대표하는 도시인 [[원주]](原州)의 앞글자('''"원"''')합쳐 붙여진 이름이다. 2012년인 현재에도, 영동지방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강릉시]], 영서지방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원주시]]이다.
  
 
== 지리 ==
 
== 지리 ==
  
[[경기도]]의 서쪽에 있는 강원특별자치도는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경상북도]]와 접하며, 동쪽으로는 [[동해]]와 면한다. 북쪽으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와 마주하고 있다. [[태백산맥]]이 북에서 남쪽으로 관통하여 강원도 대부분 지역이 험준한 산지로 되어있다. 동쪽 해안지역은 급경사 지역으로 해안 평야는 매우 좁게 나타난다.  
+
[[경기도]]의 서쪽에 위치한 강원도는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경상북도]]와 접하며, 동쪽으로는 [[동해]]와 면한다. 북쪽으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와 마주하고 있다. [[태백산맥]]이 북에서 남쪽으로 관통하여 강원도 대부분의 지역이 험준한 산지로 되어있다. 동쪽 해안지역은 급경사 지역으로 해안 평야는 매우 좁게 나타난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주요 도시로는 도청소재지인 [[춘천시]]를 비롯하여 [[강릉시]], [[속초시]], [[원주시]], [[동해시]]등이 있다. [[설악산]], [[오대산]]등 유명한 [[산(지형)|산]]이 많은 강원도에는 [[스키장]]이 많이 있으며, 매년 등산객의 방문도 끊이지 않는다. 그 밖에도 국내 최대의 [[석회암 동굴]]인 [[화선굴]]도 매년 많은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
강원도의 주요 도시로는 도청소재지인 [[춘천시]]를 비롯하여 [[강릉시]], [[속초시]], [[원주시]], [[동해시]]등이 있다. [[설악산]], [[오대산]]등 유명한 [[산(지형)|산]]이 많은 강원도에는 [[스키장]]이 많이 있으며, 매년 등산객의 방문도 끊이지 않는다. 그 밖에도 국내 최대의 [[석회암 동굴]]인 [[화선굴]]도 매년 많은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 자원 ==
 
== 자원 ==
강원특별자치도의 면적은 16,894km²이며, 이 중 80% 정도는 [[숲]]이다. 이처럼 숲이 많고 경사가 급하여 논농사가 이뤄지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대신에 [[임업]]이 발달하여 [[송이버섯]], [[표고버섯]], [[꿀]], 산나물 등을 많이 생산한다. [[밭]]이 많은데, 비교적 추운 지대에서도 잘 자라는 [[감자]], [[팥]], [[메밀]] 등의 재배가 활발하게 이뤄진다.  
+
강원도의 면적은 16,894km²이며, 이 중 80% 정도는 [[숲]]이다. 이처럼 숲이 많고 경사가 급하여 논농사가 이뤄지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대신에 [[임업]]이 발달하여 [[송이버섯]], [[표고버섯]], [[꿀]], 산나물 등을 많이 생산한다. [[밭]]이 많은데, 비교적 추운 지대에서도 잘 자라는 [[감자]], [[팥]], [[메밀]] 등의 재배가 활발하게 이뤄진다.  
  
[[동해]]안으로는 좁은 해안 평야가 있어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산다. 하지만 평야라 해도 땅이 넓은 것이 아니라 농사를 짓기는 힘들고, 대신에 [[어업]]이 발달해 있다. [[속초]], [[주문진]], [[삼척]] 등지에 큰 [[항구]]가 있으며, 강원도 앞 [[바다]]는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조경수역]]이기 때문에 [[명태]], [[오징어]] 등이 이 지역의 특산물로 잘 알려져 있다.
+
[[동해]]안으로는 좁은 해안 평야가 위치해 있어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산다. 하지만 평야라 해도 땅이 넓은게 아니라 농사를 짓기는 힘들고, 대신에 [[어업]]이 발달해 있다. [[속초]], [[주문진]], [[삼척]] 등지에 큰 [[항구]]가 위치해 있으며, 강원도 앞 [[바다]]는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조경수역]]이기 때문에 [[명태]], [[오징어]] 등이 이 지역의 특산물로 잘 알려져 있다.
  
[[정선]], [[삼척]] 등지에는 [[석탄]]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1970년대에만 하더라도 가정집에서 난방 연료로 석탄을 사용했기 때문에 석탄은 이 지역의 경제발전에 큰 도움을 줬다. 이 외에도 [[텅스텐]]([[전구]] [[필라멘트]]의 재료), [[석회석]](콘크리트의 원료)가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나 현재는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석탄 및 텅스텐의 채굴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결과적으로 1970년대 까지만 하더라도 광부로 넘쳐났던 지역은 인구가 줄어들며 쇠퇴하게 되었다.  
+
[[정선]], [[삼척]] 등지에는 [[석탄]]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1970년대에만 하더라도 가정집에서 난방 연료로 석탄을 사용했기 때문에 석탄은 이 지역의 경제발전에 큰 도움을 줬다. 이 외에도 [[텅스텐]]([[전구]] [[필라멘트]]의 재료), [[석회석]](콘크리트의 원료)가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나 현재는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석탄 및 텅스텐의 채굴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결과적으로 1970년대 까지만 하더라도 광부로 넘쳐났던 지역은 인구가 줄어들며 쇠퇴하게 되었다.  
  
 
이 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눈을 돌린 것이 바로 관광자원이다. [[영동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수도권과의 교통이 편리해진 강원도 지역에 [[스키장]]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몰려들기 시작한 것. 이외에도 [[설악산]], [[오대산]], [[치악산]] 등 훌륭한 자연 경관을 가진 산들도 관광지로 개발되었다. 특히, 석탄산업의 쇠퇴로 급격하게 몰락한 정선 지역에는 관광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국내 유일의 내국인 출입 가능 [[카지노]]인 [[강원랜드]]가 들어서면서 이 지역의 이미지를 크게 바꾸어 놓았다.
 
이 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눈을 돌린 것이 바로 관광자원이다. [[영동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수도권과의 교통이 편리해진 강원도 지역에 [[스키장]]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몰려들기 시작한 것. 이외에도 [[설악산]], [[오대산]], [[치악산]] 등 훌륭한 자연 경관을 가진 산들도 관광지로 개발되었다. 특히, 석탄산업의 쇠퇴로 급격하게 몰락한 정선 지역에는 관광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국내 유일의 내국인 출입 가능 [[카지노]]인 [[강원랜드]]가 들어서면서 이 지역의 이미지를 크게 바꾸어 놓았다.
45번째 줄: 44번째 줄:
 
== 행정구역 ==
 
== 행정구역 ==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구역. 강원특별자치도에는 다음과 같이 7개의 시와 11개의 군이 있다.  
+
강원도의 행정구역. 강원도에는 다음과 같이 7개의 시와 11개의 군이 있다.  
  
 
=== 시 ===
 
=== 시 ===
  
*[[춘천시]] (春川市) - 강원특별자치도의 도청소재지  
+
*[[춘천시]] (春川市) - 강원도의 도청소재지  
 
*[[동해시]] (東海市)  
 
*[[동해시]] (東海市)  
 
*[[강릉시]] (江陵市)  
 
*[[강릉시]] (江陵市)  
60번째 줄: 59번째 줄:
  
 
*[[철원군]] (鐵原郡)  
 
*[[철원군]] (鐵原郡)  
*[[고성군(강원도)|고성군]] (高城郡)  
+
*[[고성군]] (高城郡)  
 
*[[횡성군]] (橫城郡)  
 
*[[횡성군]] (橫城郡)  
 
*[[홍천군]] (洪川郡)  
 
*[[홍천군]] (洪川郡)  
78번째 줄: 77번째 줄:
 
* 횡성 - [[한우]]가 유명하다. <del>그래서 다른 지역 한우가 횡성한우로 둔갑하기도...</del>
 
* 횡성 - [[한우]]가 유명하다. <del>그래서 다른 지역 한우가 횡성한우로 둔갑하기도...</del>
  
== 외부 링크 ==
+
== 바깥 고리 ==
  
* [https://state.gwd.go.kr/ 강원특별자치도 홈페이지]
+
* [http://www.provin.gangwon.kr/ 강원도 홈페이지]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도}}
  
[[분류:강원특별자치도| ]]
+
[[분류:강원도|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