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역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그림 = [[파일:Q54294_Singyeongju_A01.jpg|320픽셀]]
 
|그림 = [[파일:Q54294_Singyeongju_A01.jpg|320픽셀]]
 
|노선 = {{철도 링크|경부고속선}} · {{철도 링크|동해선}}
 
|노선 = {{철도 링크|경부고속선}} · {{철도 링크|동해선}}
|역명 = 경주<small><small>(경부고속선)</small></small>
+
|역명 = 신경주<small><small>(경부고속선)</small></small>
|역명2 = ← 경주<small><small>(동해선)</small></small> →
+
|역명2 = ← 신경주<small><small>(동해선)</small></small> →
 
|이전역명 = [[동대구역|동대구]]
 
|이전역명 = [[동대구역|동대구]]
 
|이전역명2 = [[북울산역|북울산]]
 
|이전역명2 = [[북울산역|북울산]]
14번째 줄: 14번째 줄:
 
|소재지 = {{태극기}} [[경상북도]] [[경주시]]
 
|소재지 = {{태극기}} [[경상북도]] [[경주시]]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SRT}} · {{철도 링크|마음}}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누리로}}
+
|정차하는 열차 = {{철도 링크|KTX}} · {{철도 링크|SRT}}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누리로}}
 
|개역일 = [[2010년]] [[11월 1일]]
 
|개역일 = [[2010년]] [[11월 1일]]
 
|역 번호 =
 
|역 번호 =
23번째 줄: 23번째 줄:
 
{{대사|천년고도 경주의 새로운 관문}}
 
{{대사|천년고도 경주의 새로운 관문}}
  
'''경주역'''({{llang|ko-Hani|慶州驛}})은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에 있는 [[경부고속선]]의 [[고속철도]]역이다.  
+
'''신경주역'''({{llang|ko-Hani|新慶州驛}})은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에 있는 [[경부고속선]]의 [[고속철도]]역이다.  
  
 
== 현황과 역사 ==
 
== 현황과 역사 ==
 
지역주민들의 요구로 뒤늦게 추가된 [[울산역]], [[오송역]], [[김천(구미)역]] 등과 달리 당초 경부고속선 건설계획에 포함되어 있었던 역이다. 경주시의 인구는 25만 명으로 KTX 정차역을 만들기에는 부족한 수준이지만, 경주는 [[신라]]의 천년 수도로서 많은 관광수요가 예측되었기 때문에 처음부터 역 건설이 계획된 것이다. [[울산공항]]이 있는 [[울산]]이나 [[포항공항]]이 있는 [[포항]]과 달리 인근에 [[공항]]이 없어 다른 대체 교통수단이 없다는 점도 역 건설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역주민들의 요구로 뒤늦게 추가된 [[울산역]], [[오송역]], [[김천(구미)역]] 등과 달리 당초 경부고속선 건설계획에 포함되어 있었던 역이다. 경주시의 인구는 25만 명으로 KTX 정차역을 만들기에는 부족한 수준이지만, 경주는 [[신라]]의 천년 수도로서 많은 관광수요가 예측되었기 때문에 처음부터 역 건설이 계획된 것이다. [[울산공항]]이 있는 [[울산]]이나 [[포항공항]]이 있는 [[포항]]과 달리 인근에 [[공항]]이 없어 다른 대체 교통수단이 없다는 점도 역 건설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존선을 이용하면 [[동대구역]]에서 (구)[[경주역]]까지 1시간 10분([[무궁화호]] 기준)이나 걸렸으나 경부고속선 [[경주역]]의 개통으로 소요시간이 17분([[KTX]] 기준)으로 단축되었다. [[서울역]]에서 경주역까지는 KTX로 2시간 10분 정도가 소요된다. 이렇게 철도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기차를 타고 경주에 여행 오는 승객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
기존선을 이용하면 [[동대구역]]에서 [[경주역]]까지 1시간 10분([[무궁화호]] 기준)이나 걸렸으나 [[신경주역]]의 개통으로 소요시간이 17분([[KTX]] 기준)으로 단축되었다. [[서울역]]에서 신경주역까지는 KTX로 2시간 10분 정도가 소요된다. 이렇게 철도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기차를 타고 경주에 여행 오는 승객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 역 건물 ==
 
== 역 건물 ==
34번째 줄: 34번째 줄:
 
   
 
   
 
== 연계 교통 ==
 
== 연계 교통 ==
경주역은 경주 시내에서 남서쪽으로 멀리 떨어진 허허벌판에 있다. 경주역에서 경주 시내까지 자가용으로 30분 정도 걸린다. 하지만 그에 비교하여 연계 버스가 부족하여 역이용에 불편함이 있다. 그렇다고 [[택시]]를 타면 읍/면 할증제도 때문에 요금이 생각보다 많이 나온다. 경주시내 까지 대략 1만 5천 원 정도의 택시요금은 각오해야 한다. 이 때문에 경주역 앞에서는 택시기사들의 호객 행위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저 가격을 생각해보고 잘 판단해야 할 것이다. 아예 [[렌터카]]를 이용해서 여행 다니는 방법도 추천된다.
+
신경주역은 경주 시내에서 남서쪽으로 멀리 떨어진 허허벌판에 있다. 신경주역에서 경주 시내까지 자가용으로 30분 정도 걸린다. 하지만 그에 비교하여 연계 버스가 부족하여 역이용에 불편함이 있다. 그렇다고 [[택시]]를 타면 읍/면 할증제도 때문에 요금이 생각보다 많이 나온다. 경주시내 까지 대략 1만 5천 원 정도의 택시요금은 각오해야 한다. 이 때문에 신경주역 앞에서는 택시기사들의 호객 행위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저 가격을 생각해보고 잘 판단해야 할 것이다. 아예 [[렌터카]]를 이용해서 여행 다니는 방법도 추천된다.
  
 
== 승강장 ==
 
== 승강장 ==
[[파일:KTX-I entering to station.jpg|250픽셀|섬네일|경주역 3번 승강장으로 [[KTX]]가 진입하고 있다.]]
+
[[파일:KTX-I entering to station.jpg|250픽셀|섬네일|신경주역 3번 승강장으로 [[KTX]]가 진입하고 있다.]]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64번째 줄: 64번째 줄:
 
! 5
 
! 5
 
| 동해선
 
| 동해선
| {{철도 링크|마음}}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누리로}}
+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누리로}}
 
| [[태화강역|태화강]]·[[부전역|부전]] 방면
 
| [[태화강역|태화강]]·[[부전역|부전]] 방면
 
|-
 
|-
 
! 6
 
! 6
 
| 동해선
 
| 동해선
| {{철도 링크|마음}}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누리로}}
+
| {{철도 링크|무궁화}} · {{철도 링크|누리로}}
 
| [[동대구역|동대구]]·[[포항역|포항]]·[[동해역|동해]]·[[청량리역|청량리]] 방면  
 
| [[동대구역|동대구]]·[[포항역|포항]]·[[동해역|동해]]·[[청량리역|청량리]] 방면  
 
|}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