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개심장사상충.jpg|300픽셀|섬네일|[[개심장사상충]]은 [[개]]의 심장에 기생하는 기생충이다.]]
+
[[파일:개심장사상충.jpg|300픽셀|섬네일|[[개심장사상충]]은 개의 심장에 기생하는 기생충이다.]]
{{다른 뜻}}
+
 
 
'''기생'''은 한 [[종(생물학)|종]]이 다른 종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이득을 취하는 관계이다. 이 때 이득을 취하는 생물종을 '''기생충''' 또는 '''기생물'''이라고 부른다. 전통적으로 기생물은 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큰 생물 또는 [[원충]], [[유충]]을 의미해왔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더 작은 기생물인 [[바이러스]]나 [[세균]] 등도 넓은 의미에서 기생물로 포함시키고 있다. 식물의 [[겨우살이]]나 동물의 [[구충]] 등이 대표적인 기생물이다.  
 
'''기생'''은 한 [[종(생물학)|종]]이 다른 종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이득을 취하는 관계이다. 이 때 이득을 취하는 생물종을 '''기생충''' 또는 '''기생물'''이라고 부른다. 전통적으로 기생물은 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큰 생물 또는 [[원충]], [[유충]]을 의미해왔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더 작은 기생물인 [[바이러스]]나 [[세균]] 등도 넓은 의미에서 기생물로 포함시키고 있다. 식물의 [[겨우살이]]나 동물의 [[구충]] 등이 대표적인 기생물이다.  
  
6번째 줄: 6번째 줄:
  
 
기생물은 일반적으로 숙주의 건강을 해친다.  
 
기생물은 일반적으로 숙주의 건강을 해친다.  
 
{{번역된 문서|en|Parasitism}}
 
  
 
[[분류:기생충성 질병| ]]
 
[[분류:기생충성 질병|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