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곡역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1904년 4월 4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4면 8선이라는 큰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평화열차(DMZ트레인)가 정차하는 역이다. 2014년 5월 4일부터 평화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으나 대곡-소사선 복선화로 인해 2017년 5월 17일부터 평화열차는 능곡역을 무정차통과 한다. 이 역에서 교외선이 분기되나 영업은 KTX 개통으로 하지 않는다. 2023년 대곡-소사선이 완공되면서 [[경의중앙선]]과 [[서해선]]의 환승역이 되었다.
+
1904년 4월 4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4면 8선이라는 큰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평화열차(DMZ트레인)가 정차하는 역이다. 2014년 5월 4일부터 평화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으나 대곡-소사선 복선화로 인해 2017년 5월 17일부터 평화열차는 능곡역을 무정차통과 한다. 이 역에서 교외선이 분기되나 영업은 KTX 개통으로 하지 않는다. 2021년 대곡-소사선이 완공되면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승강장 ==
+
 
 +
승강장
  
 
4면 8선의 승강장이다. 평화열차는 바깥쪽 저상홈으로 통과한다.
 
4면 8선의 승강장이다. 평화열차는 바깥쪽 저상홈으로 통과한다.
  
1,2번 승강장 : 경의중앙선 행신, 서울역, 지평방면
+
1,2번 승강장 : 경의선 서울방면(통과선 미사용)
 
 
3,4번 승강장 : 서해선 김포공항, 소사, 원시방면
 
  
5,6번 승강장 : 서해선 대곡방면
+
3,4번 승강장 : 경의중앙선 덕소,용문,서울방면
  
7,8번 승강장 : 경의중앙선 탄현, 운정, 문산방면
+
5,6번 승강장 : 경의중앙선 일산,금촌,문산방면
  
{{경의중앙선}}
+
7,8번 승강장 : 경의선 도라산방면(통과선 미사용)
{{수도권 전철 서해선}}
 
{{경의선}}
 
{{교외선}}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