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시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도시 정보
+
 
| 이름 = 당진시
+
{{지방자치단체
| 한자 = 唐津市
+
|공식 명칭 = 당진시
| 그림 = 서해대교.jpg
+
|그림 = [[파일:서해대교.jpg|320px]]<br>[[서해대교]]
| 그림설명 = 서해대교
+
|표어 = 당찬 당진 (Energetic Dangjin)
| 휘장 = 당진휘장.jpg
+
|한자 표기 = 唐津市
| 슬로건 = 당진슬로건.jpg
+
|영문 표기 = Dangjin City
| 지도 =  
+
|구분 = 일반시
| 지도설명 =  
+
|구성 = 3동 2읍 9면
| 지도너비 =  
+
|인구 = 15만 5104명 (2012. 12)
| 시청소재지 = 시청1로 1
+
|면적 = 694.76
| =  
+
|인구밀도 = 223
| =  
+
|남녀성비 = 107.7
| = 2
+
|단체장 = [[이철환]] ([[새누리당]])
| 면 = 9
+
|상징새 = [[]]
| 행정동 = 3
+
|상징꽃 = [[진달래]]
| 단체장 = [[김홍장]] ([[더불어민주당]])
+
|상징나무 = [[소나무]]
| 인구 = 167481
+
|전신 = 당진군
| 인구년도 = 2019
+
|후신 =  
| 면적 = 704
 
| 시목 = [[능수버들]]
 
| 시화 = [[개나리]]
 
| 시조 = [[비둘기]]
 
| 지역 = [[충청남도]]
 
| 지역번호 = 041
 
| 웹사이트 = [https://www.dangjin.go.kr/kor.do www.dangjin.go.kr]
 
 
}}
 
}}
  
 
{{대사|철강 산업의 메카로 도약하는 당찬 당진}}
 
{{대사|철강 산업의 메카로 도약하는 당찬 당진}}
  
'''당진시'''({{llang|ko-Hani|唐津市}})는 [[충청남도]] 북쪽 끝에 위치한 인구 16만 명 내외의 작은 [[도시]]이다. 북쪽으로는 [[아산만]]에 면하고 있다. 아산만 쪽으로는 송산산업단지, 고대국가공단, 송악경제자유구역 등이 위치해 있거나 건설 중에 있다. 당진시는 아산만을 기반으로 하여 경제도시, 산업도시로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아산만을 가로질러 위치한 [[서해대교]]는 당진시와 [[경기도]] [[평택시]]를 이어주고 있다. [[당진항]]을 통한 물자수송이 용이하여 철강 산업을 비롯한 [[중공업]]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각종 개발사업의 결과로 인구가 급격히 증가, 2012년 1월 1일을 기해 당진군이 당진시로 승격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
'''당진시'''({{llang|ko-Hani|唐津市}})는 [[충청남도]] 북쪽 끝에 위치한 인구 15만 명 내외의 작은 [[도시]]이다. 북쪽으로는 [[아산만]]에 면하고 있다. 아산만 쪽으로는 송산산업단지, 고대국가공단, 송악경제자유구역 등이 위치해 있거나 건설 중에 있다. 당진시는 아산만을 기반으로 하여 경제도시, 산업도시로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아산만을 가로질러 위치한 [[서해대교]]는 당진시와 [[경기도]] [[평택시]]를 이어주고 있다. [[당진항]]을 통한 물자수송이 용이하여 철강 산업을 비롯한 [[중공업]]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각종 개발사업의 결과로 인구가 급격히 증가, 2012년 1월 1일을 기해 당진군이 당진시로 승격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 교육 ==
 
== 교육 ==
37번째 줄: 30번째 줄:
 
*[[서해대교]], [[행담도 휴게소]] - 행담도 휴게소는 서해대교 중간에 위치한 휴게소로서 총 길이 7.3km에 이르는 서해대교의 전경을 볼 수 있다.
 
*[[서해대교]], [[행담도 휴게소]] - 행담도 휴게소는 서해대교 중간에 위치한 휴게소로서 총 길이 7.3km에 이르는 서해대교의 전경을 볼 수 있다.
 
*[[왜목마을]] - [[왜가리]] 목과 닮은 지형덕분에 마을 양 쪽이 바다여서 서해안에서 일출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왜목마을]] - [[왜가리]] 목과 닮은 지형덕분에 마을 양 쪽이 바다여서 서해안에서 일출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 정치성향 ==
 
당진은 전통적으로 농어촌 지역에 속하였으나, [[당진항]]이 국제무역항으로 개발되고, [[제철소]]가 들어서면서 빠르게 도시화되고 있는 지역이다. 이에 따른 노동자 인구유입으로 인하여 과거에는 보수세력이 강한 곳으로 분류되던 당진은 2010년대 후반 들어서 진보성향 지역으로 변모하였다. 도시의 발달이 선거 결과에도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 역대 대통령 선거결과 ===
 
{|class="wikitable"
 
|-
 
! 선거명
 
! 97 대선
 
! 02 대선
 
! 07 대선
 
! 12 대선
 
! 17 대선
 
! 22 대선
 
|-
 
! 당진 최다득표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김대중'''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노무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이명박'''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박근혜'''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문재인'''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윤석열'''
 
|-
 
! 당진 득표율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3.3%'''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3.0%'''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38.2%'''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58.1%'''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39.2%'''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49.2%'''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1" |
 
|-
 
! 충남 판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김대중<br>48.3%</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52.2%</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34.3%</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6.7%</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문재인<br>38.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윤석열<br>51.1%</small>
 
|-
 
! 전국 판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김대중<br>40.3%</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48.9%</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48.7%</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1.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문재인<br>41.1%</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윤석열<br>48.6%</small>
 
|-
 
! colspan="11"| <small>*보수정당 후보가 우세한 경우 빨강으로, 민주정당 후보가 우세한 경우 파랑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br>[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