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베어스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 정보
+
[[파일:철웅이.jpg|250픽셀|섬네일|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 철웅이. 팀의 역동적인 분위기를 잘 살렸다.]]
| 배경색 = #131230
 
| 제목 = 두산 베어스
 
| 그림 = [[파일:철웅이.jpg|300픽셀]]
 
| 창단연도 = 1982년
 
| 연고지 = [[서울특별시]]
 
| 리그 참가 = 1982년 ~ 현재
 
| 영구결번 = [[박철순|21]], [[김영신|54]]
 
| 상징색 = <font color="#131230">●</font> 남색, <font color="#ED1C24">●</font> 빨간색
 
| 구단명 = 두산 베어스 (1999년 ~ 현재)<br>OB 베어스 (1982년 ~ 1998년)
 
| 홈구장 = [[잠실야구장]]
 
| 한국시리즈 우승 = 6회 (1982년, 1995년, 2001년, 2015년, 2016년, 2019년)
 
| 정규 리그 우승 = 4회 (1995년, 2016년, 2018년, 2019년)
 
| 감독 = [[김태형]]
 
}}
 
 
{{대사|스피두! 파워두! 허슬두!}}
 
{{대사|스피두! 파워두! 허슬두!}}
[[파일:두산잠실.jpg|300픽셀|섬네일|잠실구장을 가득 메운 두산 베어스 팬.]]
+
'''두산 베어스'''(Doosan Bears)는 [[서울특별시]]를 연고로 하는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이다. 홈 구장은 [[잠실구장]]이며, [[LG 트윈스]]와 같은 홈 구장을 사용한다.
'''두산 베어스'''(Doosan Bears)는 [[서울특별시]]를 연고로 하는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이다. 홈구장은 [[잠실구장]]이며, 같은 홈구장을 사용하는 [[LG 트윈스]]와 라이벌 관계이다. 1982년, 1995년, 2001년, 2015년, 2016년, 2019년 등 총 6번의 [[한국시리즈]] 우승 기록이 있다.  
 
  
== 역사 ==
+
[[1982년]] [[대전광역시]]를 연고로 창단한 '''OB 베어스'''는 창단 첫 해이자 한국 프로야구 원년인 1982년 우승을 했다. [[1985년]] 서울 [[동대문야구장]]으로 연고지를 옮겼으나, 원래 동대문야구장을 사용하고 있던 아마야구계의 반발이 이어졌다. 결국 이듬해인 [[1986년]]에 [[잠실야구장]]으로 홈 구장을 옮겼다. 그런데 잠실야구장은 1982년부터 이미 [[MBC 청룡]]이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던 터였으므로 이 때부터 OB(두산)과 MBC(LG)는 "한 지붕 두 가족"이 되었다.<ref>하지만 한 지붕 두 가족 살림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었다. 이 논란과 관련된 사항은 [[잠실야구장 연고권 분쟁]] 항목을 참조하라.</ref> [[1995년]] 서울에서 팀의 두번째 우승을 거두게 된다. 그 후 [[1999년]] 팀 명칭을 "두산 베어스"로 바꾸었으며, [[2001년]] 두산 베어스로 팀 명을 바꾼 후 첫 우승이자 팀의 세번째 우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 번의 우승을 제외한 대부분의 팀 성적은 [[지못미]]일 때가 많았다. 그나마 2007년부터는 계속 3위 안에는 들었으나, [[2011년]] 6월 팀의 성적부진으로 2003년부터 팀을 이끌어온 [[김경문]] 감독이 자진 사퇴하기에 이르렀다. [[김진욱]] 감독 체제로 시작한 2012년 시즌에서는 시즌 3위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준플레이오프에서 [[롯데 자이언츠]]에게 패하여 4위에 머물렀다. 김진욱 감독은 오히려 김경문 감독보다도 더 많은 욕을 먹고 있는데, 주로 선수 운용 능력의 미흡에 대한 비판이 많다.  
[[1982년]] [[대전광역시]]를 연고로 창단한 '''OB 베어스'''는 창단 첫 해이자 한국 프로야구 원년인 1982년 우승을 차지했다. [[1985년]] 서울 [[동대문야구장]]으로 연고지를 옮겼으나, 원래 동대문야구장을 사용하고 있던 아마야구계의 반발이 이어졌다. 결국 이듬해인 [[1986년]]에 [[잠실야구장]]으로 홈구장을 옮겼다. 그런데 잠실야구장은 1982년부터 이미 [[MBC 청룡]]이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던 터였으므로 이 때부터 OB(두산)과 MBC(LG)는 "한 지붕 두 가족"이 되었다.<ref>하지만 한 지붕 두 가족 살림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었다. 이 논란과 관련된 사항은 [[잠실야구장 연고권 분쟁]] 항목을 참조하라.</ref> [[1995년]] 서울에서 팀의 두 번째 우승을 거두게 된다. 그 후 [[1999년]] 팀 명칭을 "두산 베어스"로 바꾸었으며, [[2001년]] 두산 베어스로 팀명을 바꾼 후 첫 우승이자 팀의 세 번째 우승을 거두었다.  
 
  
2015년 부임한 [[김태형]]은 두산의 팀 컬러를 살리고 전력을 보강하면서 두산을 강팀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김태형 감독이 부임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두산 베어스는 5년 연속 [[한국시리즈]]에 진출하는데 성공하였으며, 그 중에서 2015년, 2016년, 2019년에는 우승을 거두었다.
 
 
== 영구결번 ==
 
 
두산 베어스에서는 등번호 21번과 54번이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54번은 [[포수]] [[김영신]], 21번은 전설의 투수인 "불사조" [[박철순]]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박철순은 1982년 한국시리즈에서 [[MVP]]로 선정된 선수이다. 지금까지도 박철순 선수는 1982년 프로야구 원년 우승의 주역으로 많은 야구팬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두산 베어스에서는 등번호 21번과 54번이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54번은 [[포수]] [[김영신]], 21번은 전설의 투수인 "불사조" [[박철순]]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박철순은 1982년 한국시리즈에서 [[MVP]]로 선정된 선수이다. 지금까지도 박철순 선수는 1982년 프로야구 원년 우승의 주역으로 많은 야구팬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30번째 줄: 11번째 줄:
  
 
== 역대 성적 ==
 
== 역대 성적 ==
<div style="overflow-x: scroll">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align=center  
 
|- align=center  
 
! 연도
 
! 연도
|bgcolor="gold"| '''82'''
+
| '''82'''
 
| 83
 
| 83
 
| 84  
 
| 84  
47번째 줄: 27번째 줄:
 
| 93
 
| 93
 
| 94
 
| 94
|bgcolor="gold"| '''95'''
+
| '''95'''
 
| 96
 
| 96
 
| 97
 
| 97
 
| 98
 
| 98
 
| 99
 
| 99
|bgcolor="silver"| 00
+
| 00
|bgcolor="gold"| '''01'''
+
| '''01'''
 
| 02
 
| 02
 
| 03
 
| 03
 
| 04
 
| 04
|bgcolor="silver"| 05
+
| 05
 
| 06
 
| 06
|bgcolor="silver"| 07
+
| 07
|bgcolor="silver"| 08
+
| 08
 
| 09
 
| 09
 
| 10
 
| 10
 
| 11
 
| 11
 
| 12
 
| 12
|bgcolor="silver"| 13
 
| 14
 
|bgcolor="gold"| '''15'''
 
|bgcolor="gold"| '''16'''
 
|bgcolor="silver"| 17
 
|bgcolor="silver"| 18
 
|bgcolor="gold"| '''19'''
 
 
|- align=center  
 
|- align=center  
 
! 순위
 
! 순위
|bgcolor="gold"| 1
+
| 1
 
| 5
 
| 5
 
| 3
 
| 3
87번째 줄: 60번째 줄:
 
| 3
 
| 3
 
| 7
 
| 7
|bgcolor="gold"| 1
+
| 1
 
| 8
 
| 8
 
| 5
 
| 5
 
| 4
 
| 4
 
| 3
 
| 3
|bgcolor="silver"| 2
+
| 2
|bgcolor="gold"| 1
+
| 1
 
| 5
 
| 5
 
| 7
 
| 7
 
| 3
 
| 3
|bgcolor="silver"| 2
+
| 2
 
| 5
 
| 5
|bgcolor="silver"| 2
+
| 2
|bgcolor="silver"| 2
+
| 2
 
| 3
 
| 3
 
| 3
 
| 3
 
| 5
 
| 5
 
| 4
 
| 4
|bgcolor="silver"| 2
 
| 6
 
|bgcolor="gold"| 1
 
|bgcolor="gold"| 1
 
|bgcolor="silver"| 2
 
|bgcolor="silver"| 2
 
|bgcolor="gold"|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비고
 
! 비고
|bgcolor="gold"| V1
+
| V1
 
|  
 
|  
 
|  
 
|  
127번째 줄: 93번째 줄:
 
|  
 
|  
 
|  
 
|  
|bgcolor="gold"| V2
+
| V2
 
| 꼴
 
| 꼴
 
|  
 
|  
 
|  
 
|  
 
|  
 
|  
|bgcolor="silver"| 준
+
| 준
|bgcolor="gold"| V3
+
| V3
 
|  
 
|  
 
|  
 
|  
 
|  
 
|  
|bgcolor="silver"| 준
+
| 준
 
|  
 
|  
|bgcolor="silver"| 준
+
| 준
|bgcolor="silver"| 준
+
| 준
 
|  
 
|  
 
|  
 
|  
 
|  
 
|  
 
|  
 
|  
|bgcolor="silver"| 준
 
|
 
|bgcolor="gold"| V4
 
|bgcolor="gold"| V5
 
|bgcolor="silver"| 준
 
|bgcolor="silver"| 준
 
|bgcolor="gold"| V6
 
 
|}
 
|}
</div>
+
 
* OB 베어스 (1982~1998) V1, V2 + 두산 베어스 (1999~) V3, V4, V5, V6
+
* OB 베어스 (1982~1998) V1, V2 + 두산 베어스 (1999~) V3
 
*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야구단인 OB 베어스는 프로야구 원년 우승팀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야구단인 OB 베어스는 프로야구 원년 우승팀이기도 하다.
 
* 3번의 꼴찌 기록을 제외한다면, 대체적으로 좋은 성적을 유지했다.
 
* 3번의 꼴찌 기록을 제외한다면, 대체적으로 좋은 성적을 유지했다.
162번째 줄: 121번째 줄:
 
|-
 
|-
 
! 연도
 
! 연도
|bgcolor="gold"| '''1982'''
+
| '''1982'''
|bgcolor="gold"| '''1995'''
+
| '''1995'''
|bgcolor="silver"| 2000
+
| 2000
|bgcolor="gold"| '''2001'''
+
| '''2001'''
|bgcolor="silver"| 2005
+
| 2005
|bgcolor="silver"| 2007
+
| 2007
|bgcolor="silver"| 2008
+
| 2008
|bgcolor="silver"| 2013
 
|bgcolor="gold"| '''2015'''
 
|bgcolor="gold"| '''2016'''
 
|bgcolor="silver"| 2017
 
|bgcolor="silver"| 2018
 
|bgcolor="gold"| '''2019'''
 
 
|- align=center  
 
|- align=center  
 
! 상대팀
 
! 상대팀
184번째 줄: 137번째 줄:
 
| '''[[SK 와이번스|SK]]'''
 
| '''[[SK 와이번스|SK]]'''
 
| '''[[SK 와이번스|SK]]'''
 
| '''[[SK 와이번스|SK]]'''
| '''[[삼성 라이온즈|삼성]]'''
 
| [[삼성 라이온즈|삼성]]
 
| [[NC 다이노스|NC]]
 
| '''[[KIA 타이거즈|KIA]]'''
 
| '''[[SK 와이번스|SK]]'''
 
| [[키움 히어로즈|키움]]
 
 
|- align=center
 
|- align=center
 
! 승
 
! 승
199번째 줄: 146번째 줄:
 
| 2승
 
| 2승
 
| 1승
 
| 1승
| 3승
 
| 4승
 
| 4승
 
| 1승
 
| 2승
 
| 4승
 
 
|- align=center  
 
|- align=center  
 
! 패
 
! 패
214번째 줄: 155번째 줄:
 
| 4패
 
| 4패
 
| 4패
 
| 4패
| 4패
 
| 1패
 
| 0패
 
| 4패
 
| 4패
 
| 0패
 
 
|- align=center  
 
|- align=center  
 
! 무
 
! 무
 
| 1무
 
| 1무
| 0무
 
| 0무
 
| 0무
 
| 0무
 
| 0무
 
| 0무
 
 
| 0무
 
| 0무
 
| 0무
 
| 0무
240번째 줄: 169번째 줄:
 
* 1985년 한국시리즈의 MVP는 OB 베어스의 [[김민호]]가 차지했다.
 
* 1985년 한국시리즈의 MVP는 OB 베어스의 [[김민호]]가 차지했다.
 
* 2001년, 두산 베어스는 시즌 3위의 성적으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한화 이글스]]에 2연승을 거둬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플레이오프에서 [[현대 유니콘스]]를 3승 1패로 누르고 한국시리즈에 진출,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에 4승 2패를 거두어 우승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 2001년, 두산 베어스는 시즌 3위의 성적으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한화 이글스]]에 2연승을 거둬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플레이오프에서 [[현대 유니콘스]]를 3승 1패로 누르고 한국시리즈에 진출,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에 4승 2패를 거두어 우승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 2014년에 14년만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두며 두산 베어스 왕조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후 두산 베어스는 5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에 성공하였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48번째 줄: 176번째 줄:
  
 
* [http://www.doosanbears.com/ 두산 베어스 공식 홈페이지]
 
* [http://www.doosanbears.com/ 두산 베어스 공식 홈페이지]
 +
* [http://gall.dcinside.com/list.php?id=doosanbears 디시인사이드 두산 베어스 갤러리] (일명 돡갤.)
  
 
== 주석 ==
 
== 주석 ==
253번째 줄: 182번째 줄: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
 +
{{서울특별시2}}
  
 
[[분류: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분류:서울특별시]]
 
[[분류: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분류:서울특별시]]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