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 데카르트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Рене Декарт.jpg|300픽셀|섬네일|르네 데카르트]]
 
 
{{대사|근대 철학의 아버지}}
 
{{대사|근대 철학의 아버지}}
  
'''르네 데카르트'''({{llang|fr|René Descartes}}, [[1596년]] [[3월 31일]] ~ [[1650년]] [[2월 11일]])은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물리학자]]이다. 근대 주체 [[철학]]의 시대를 연 장본인으로“화이트헤드가 말한 것처럼 유럽 철학이 플라톤에 대한 각주라면, 근대 유럽 철학은 데카르트에 대한 각주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 근대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수학]]과 [[과학]]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
1596 ~ 1650. 근대 주체 [[철학]]의 시대를 연 장본인. [[프랑스]] 투렌 지방에서 출생한 귀족 가문의 자제이다. “화이트헤드가 말한 것처럼 유럽 철학이 플라톤에 대한 각주라면, 근대 유럽 철학은 데카르트에 대한 각주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 근대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수학과 과학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 생애 ==
+
==철학==
[[프랑스]] 투렌 지방에서 귀족 가문의 자제로 태어났다.
 
  
== 철학==
+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명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는 근대 철학의 알리는 시발점이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것은 데카르트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주체'라는 것이 공고해졌기 때문이다. 데카르트 이전의 철학의 중심이었던 '자연'이나 '신'에서 각자 주체로 넘어오는 순간이었다. 그래서 데카르트를 "최후의 중세인이자 최초의 근대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명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는 근대 철학을 알리는 시발점이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것은 데카르트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주체'라는 것이 공고해졌기 때문이다. 데카르트 이전의 철학의 중심이었던 '자연'이나 '신'에서 각자 주체로 넘어오는 순간이었다. 그래서 데카르트를 "최후의 중세인이자 최초의 근대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
 
 +
====방법적 회의====
  
=== 방법적 회의 ===
 
 
위의 명제를 성립하기 위해서 데카르트가 시도한 것이 바로 "방법적 회의"이다. 간단히 말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해 의심을 해본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어떠한 진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절대 논의되지 않은 "제1 원리"가 선행해야하기 때문이다. "제 1원리"는 어떠한 토대가 선행하지 않아도 명백한 진리이기 때문에 (데카르트에 따르면)우리는 이 "제 1원리"로부터 진리를 파악하는 시도를 해야한다.
 
위의 명제를 성립하기 위해서 데카르트가 시도한 것이 바로 "방법적 회의"이다. 간단히 말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해 의심을 해본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어떠한 진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절대 논의되지 않은 "제1 원리"가 선행해야하기 때문이다. "제 1원리"는 어떠한 토대가 선행하지 않아도 명백한 진리이기 때문에 (데카르트에 따르면)우리는 이 "제 1원리"로부터 진리를 파악하는 시도를 해야한다.
  
17번째 줄: 16번째 줄:
 
그렇다면 마지막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 바로 "의심하는 자아"이다. 의심하는 자아는 이렇게 흔들고 저렇게 흔들어봐도 "의심하는 자아"이다.(추론적 인식이 악마의 농간으로 무너질 수 있다면 의심하는 자아 또한 악마의 농간으로 무너질 수 있는 것 아닌가? 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런 말도 안되는 논리를 전개하는 순간 그 자체에도 우리의 자아는 의심하고 있다). "나" 즉 "주체"는 아무리 의심해봐도 지금 이 자리에서 사유하는 중인 것이다. "주체"는 이로써 제1 원리가 될 수 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명제는 이렇게 탄생한다.
 
그렇다면 마지막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 바로 "의심하는 자아"이다. 의심하는 자아는 이렇게 흔들고 저렇게 흔들어봐도 "의심하는 자아"이다.(추론적 인식이 악마의 농간으로 무너질 수 있다면 의심하는 자아 또한 악마의 농간으로 무너질 수 있는 것 아닌가? 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런 말도 안되는 논리를 전개하는 순간 그 자체에도 우리의 자아는 의심하고 있다). "나" 즉 "주체"는 아무리 의심해봐도 지금 이 자리에서 사유하는 중인 것이다. "주체"는 이로써 제1 원리가 될 수 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명제는 이렇게 탄생한다.
  
[[분류: 철학]][[분류:철학자]][[분류:프랑스의 인물]]
+
 
 +
[[분류: 철학|철학자]]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