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1호선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영문 표기 = Busan Subway Line 1
 
|영문 표기 = Busan Subway Line 1
 
|한자 표기 = 釜山 都市鐵道 一號線
 
|한자 표기 = 釜山 都市鐵道 一號線
|소재국 = {{태극기}} [[대한민국]]
+
|소재국 = [[파일:태극기.png|30px]] [[대한민국]]
 
|소유 = [[부산광역시]]
 
|소유 = [[부산광역시]]
 
|운영 = {{철도회사|부산교통공사}}
 
|운영 = {{철도회사|부산교통공사}}
 
|위탁 운영 =
 
|위탁 운영 =
|기점 =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
|기점 = [[신평역|신평]]
 
|종점 = [[노포역|노포]]
 
|종점 = [[노포역|노포]]
 
|운행 계통 = <font color="#{{부산도시철도 색상|1}}">●</font>[[부산 도시철도 1호선]]
 
|운행 계통 = <font color="#{{부산도시철도 색상|1}}">●</font>[[부산 도시철도 1호선]]
16번째 줄: 16번째 줄:
 
|선로 = 2
 
|선로 = 2
 
|열차 편성 = 8량 1편성
 
|열차 편성 = 8량 1편성
|영업 거리 = 40.2km
+
|영업 거리 = 32.5km
|소요 시간 = 1시간 18분
+
|소요 시간 = 1시간 14분
|표정 속도 = 31.5km/h
+
|표정 속도 = 33km/h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4분, 평시 5~7분
+
|배차 간격 = 출퇴근시간 4분, 최대 17분
 
|개통일 = 1985년 7월 19일
 
|개통일 = 1985년 7월 19일
 
|폐선일 =
 
|폐선일 =
 
}}
 
}}
 +
{{대사|부산광역시의 대동맥}}
 +
'''부산 도시철도 1호선'''({{llang|ko-Hani|釜山 都市鐵道 一號線}})은 [[부산광역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영업거리는 32.5km이며 34개의 역이 있다. 열차는 8량 1편성으로 되어 있다. 노선 상징색은 <span style="color:#{{부산도시철도 색상|1}}">●</span> 주황이다.
  
{{대사|부산의 남북축을 담당하는 도시철도 노선}}
+
1979년 계획되었으며 2년 뒤인 1981년 1단계 구간([[노포역|노포동]]~[[범내골역|범내골]], 16.2km)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 구간은 1985년 7월 개통하며 부산의 도시철도 시대의 막을 올렸다. 1987년 5월에 범내골에서 [[중앙역(부산)|중앙동]]에 이르는 구간(4.5km)이 연장 개통하였으며, 1990년 2월에는 [[서대신역|서대신동]]까지(4.5km), 1994년에는 [[신평역|신평]]까지(6.4km) 연장 개통되었다. 현재는 신평에서 다대포에 이르는 연장구간이 공사 중에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llang|ko-Hani|釜山 都市鐵道 一號線}})은 [[부산광역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영업거리는 40.2km이며 40개의 역이 있다. 열차는 8량 1편성으로 되어 있다. 노선 상징색은 <span style="color:#{{부산도시철도 색상|1}}">●</span> 주황이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del>광주나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는 달리</del> 매우 개념 찬 노선도를 가지고 있어 부산 시내의 주요지점들(번화가, 버스터미널, 철도역, 대학교)을 개념차게 이어주고 있다. [[부산광역시]]를 포함한 대한민국의 모든 지방 도시철도 노선 중에서 이용객수가 압도적으로 가장 많은 노선인 것은 물론이고, 웬만한 수도권 도시철도 노선에도 못지않은 이용객수를 자랑하고 있다. [[서울 도시철도 2호선]], [[경인선]] 등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몇 안 되는 흑자 도시철도 노선으로 손꼽힌다. 부산은 산이 많은 지형 때문에 도심지역이 산골짜기와 해안가를 따라 길쭉한 모양으로 발달하였기 때문에 도시철도를 건설하여 효과를 보기 좋다는 견해도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만들어지기 이전까지는 현재의 도시철도 1호선과 거의 같은 노선을 가진 전차노선이 부산 교통망의 중심축이 되어왔다.  
 
 
1979년 계획되었으며 2년 뒤인 1981년 1단계 구간([[노포역|노포동]]~[[범내골역|범내골]], 16.2km)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 구간은 1985년 7월 개통하며 부산의 도시철도 시대의 막을 올렸다. 1987년 5월에 범내골에서 [[중앙역(부산)|중앙동]]에 이르는 구간(4.5km)이 연장 개통하였으며, 1990년 2월에는 [[서대신역|서대신동]]까지(4.5km), 1994년에는 [[신평역|신평]]까지(6.4km) 연장 개통되었다. 2017년에는 신평에서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에 이르는 연장구간이 개통되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s>대전 도시철도 1호선<ref>그나마 광주 도시철도 1호선과 달리 상대적으로 개념 찬 노선도긴 하지만 대전의 신도시 중 하나인 서남부 관저동 일대 신도시를 경유하지 않고 버스터미널 근처를 경유하지 않고 대학교도 부역명으로만 표시되어 있을 뿐 막상 대학교 정문까지는 제법 멀다.</ref>과 광주 도시철도 1호선<ref>'''[[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애초에 예측이 제대로 빗나가 노선도 설정을 엄청 못 해 대차게 말아먹은 대표 사례다.</ref>과는 달리</s> 매우 개념 찬 노선도를 가지고 있어 부산 시내의 주요지점들(번화가, 버스터미널, 철도역, 대학교)을 개념차게 이어주고 있다. [[부산광역시]]를 포함한 대한민국의 모든 지방 도시철도 노선 중에서 이용객수가 압도적으로 가장 많은 노선인 것은 물론이고, 웬만한 수도권 도시철도 노선에도 못지 않은 이용객수를 자랑하고 있다. [[서울 도시철도 2호선]], [[경인선]] 등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몇 안 되는 흑자 도시철도 노선으로 손꼽힌다. 부산은 산이 많은 지형 때문에 도심지역이 산골짜기와 해안가를 따라 길쭉한 모양으로 발달하였기 때문에 도시철도를 건설하여 효과를 보기 좋다는 견해도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만들어지기 이전까지는 현재의 도시철도 1호선과 거의 같은 노선을 가진 전차노선이 부산 교통망의 중심축이 되어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내구성이 좋은 [[스테인리스]] 차량을 도입한 노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내구성이 좋은 [[스테인리스]] 차량을 도입한 노선이다.
41번째 줄: 39번째 줄:
 
| colspan = "7" |
 
| colspan = "7" |
 
|-
 
|-
! 95
+
! 101
|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몰운대)]]
+
| [[신평역|신평]]
 
| 0.0
 
| 0.0
 
| 0.0
 
| 0.0
|
 
| '''[[다대포해수욕장]]''', '''[[몰운대]]'''
 
|
 
|-
 
! 96
 
| [[다대포항역|다대포항]]
 
| 1.6
 
| 1.6
 
|
 
| 다대1동주민센터
 
|
 
|-
 
! 97
 
| [[낫개역|낫개]]
 
| 1.3
 
| 2.9
 
|
 
| 다대2동주민센터
 
|
 
|-
 
! 98
 
| [[신장림역|신장림]]
 
| 0.8
 
| 3.7
 
|
 
| 하나병원, 장림현대아파트
 
|
 
|-
 
! 99
 
| [[장림역|장림]]
 
| 0.9
 
| 4.6
 
|
 
| [[홈플러스]] 장림점
 
|
 
|-
 
! 100
 
| [[동매역|동매]]
 
| 1.5
 
| 6.1
 
|
 
| 사하소방서
 
|
 
|-
 
! 101
 
| [[신평역|신평]]
 
| 1.6
 
| 7.7
 
 
|
 
|
 
| 신평차량기지
 
| 신평차량기지
98번째 줄: 48번째 줄:
 
|-
 
|-
 
! 102
 
! 102
| [[하단역|하단]]
+
| [[하단역|하단(부산본병원)]]
 +
| 1.6
 
| 1.6
 
| 1.6
| 9.3
 
 
|  
 
|  
 
| [[낙동강하굿둑]], 건국고등학교
 
| [[낙동강하굿둑]], 건국고등학교
108번째 줄: 58번째 줄:
 
| [[당리역|당리(사하구청)]]
 
| [[당리역|당리(사하구청)]]
 
| 0.8
 
| 0.8
| 10.1
+
| 2.4
 
|  
 
|  
 
| '''[[사하구|사하구청]]'''
 
| '''[[사하구|사하구청]]'''
116번째 줄: 66번째 줄:
 
| [[사하역|사하]]
 
| [[사하역|사하]]
 
| 0.9
 
| 0.9
| 11.0
+
| 3.3
 
|  
 
|  
 
| 사하중학교
 
| 사하중학교
122번째 줄: 72번째 줄:
 
|-
 
|-
 
! 105
 
! 105
| [[괴정역|괴정]]
+
| [[괴정역]]
 
| 0.9
 
| 0.9
| 11.9
+
| 4.2
 
|  
 
|  
 
| 부산시립사하도서관
 
| 부산시립사하도서관
130번째 줄: 80번째 줄:
 
|-
 
|-
 
! 106
 
! 106
| [[대티역|대티]]
+
| [[대티역|대티(동주대학)]]
 
| 0.8
 
| 0.8
| 12.7
+
| 5.0
 
|
 
|
 
| [[동주대학교]]
 
| [[동주대학교]]
140번째 줄: 90번째 줄:
 
| [[서대신역|서대신]]
 
| [[서대신역|서대신]]
 
| 1.4
 
| 1.4
| 14.1
+
| 6.4
 
|  
 
|  
| 부산생활체육공원
+
| [[구덕실내체육관]]
 
|
 
|
 
|-
 
|-
148번째 줄: 98번째 줄:
 
| [[동대신역|동대신]]
 
| [[동대신역|동대신]]
 
| 0.7
 
| 0.7
| 14.8
+
| 7.1
 
|
 
|
| 동대신사거리
+
| [[구덕야구장]]
 
|
 
|
 
|-
 
|-
156번째 줄: 106번째 줄:
 
| [[토성역|토성]]
 
| [[토성역|토성]]
 
| 1.2
 
| 1.2
| 16.0
+
| 8.3
 
|   
 
|   
 
| 부산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 부산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164번째 줄: 114번째 줄:
 
| [[자갈치역|자갈치]]
 
| [[자갈치역|자갈치]]
 
| 1.0
 
| 1.0
| 17.0
+
| 9.3
 
|
 
|
 
| [[서구(부산)|서구청]], '''[[자갈치시장]]'''
 
| [[서구(부산)|서구청]], '''[[자갈치시장]]'''
172번째 줄: 122번째 줄:
 
| [[남포역|남포]]
 
| [[남포역|남포]]
 
| 0.7
 
| 0.7
| 17.7
+
| 10.0
 
|
 
|
 
| [[용두산공원]], [[영도대교]]
 
| [[용두산공원]], [[영도대교]]
180번째 줄: 130번째 줄:
 
| [[중앙역(부산)|중앙]]
 
| [[중앙역(부산)|중앙]]
 
| 0.9
 
| 0.9
| 18.6
+
| 10.9
 
|
 
|
 
| [[부산국제여객터미널]], [[중구(부산)|중구청]]
 
| [[부산국제여객터미널]], [[중구(부산)|중구청]]
188번째 줄: 138번째 줄:
 
|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
 
|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
 
| 1.1
 
| 1.1
| 19.7
+
| 12.0
|  
+
| [[경부고속선]], [[경부선]]<br>[[부산역]]
 
| '''[[부산역]]'''
 
| '''[[부산역]]'''
| {{지하철|KTX}}<br>{{지하철|SRT}}
+
| [[파일:KTX로고.jpg|40픽셀|링크=부산역]]
 
|-
 
|-
 
! 114
 
! 114
 
| [[초량역|초량]]
 
| [[초량역|초량]]
 
| 0.8
 
| 0.8
| 20.5
+
| 12.8
 
|
 
|
 
| [[부산고등학교]]
 
| [[부산고등학교]]
204번째 줄: 154번째 줄:
 
| [[부산진역|부산진]]
 
| [[부산진역|부산진]]
 
| 0.8
 
| 0.8
| 21.3
+
| 13.6
 +
|
 +
| [[동구(부산)|동구청]], [[한국허치슨터미널]]
 
|
 
|
| [[동구(부산)|동구청]], [[한국허치슨터미널]], [[부산진역(경부선)]]
 
|<ref>과거 인접한 부산진역에도 열차가 정차했었다. 화물취급은 현재도 하는 중</ref>
 
 
|-
 
|-
 
! 116
 
! 116
 
| [[좌천역(도시철도)|좌천]]
 
| [[좌천역(도시철도)|좌천]]
 
| 1.0
 
| 1.0
| 22.3
+
| 14.6
 
|
 
|
 
| 금성고등학교, 증산공원
 
| 금성고등학교, 증산공원
220번째 줄: 170번째 줄:
 
| [[범일역(도시철도)|범일]]
 
| [[범일역(도시철도)|범일]]
 
| 0.9
 
| 0.9
| 23.2
+
| 15.5
 
|
 
|
 
| [[현대백화점]] 부산점
 
| [[현대백화점]] 부산점
228번째 줄: 178번째 줄:
 
| [[범내골역|범내골]]
 
| [[범내골역|범내골]]
 
| 0.8
 
| 0.8
| 24.0
+
| 16.3
 
|
 
|
 
| [[범일역]]
 
| [[범일역]]
236번째 줄: 186번째 줄:
 
| [[서면역|서면]]
 
| [[서면역|서면]]
 
| 1.2
 
| 1.2
| 25.2
+
| 17.5
| {{지하철|부산|2}}
+
| {{부산도시철도 링크|2}}
 
| '''서면교차로''',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Dcity
 
| '''서면교차로''',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Dcity
 
|
 
|
 
|-
 
|-
 
! 120
 
! 120
| [[부전역(도시철도)|부전<br>(부산시민공원·송상현광장)]]
+
| [[부전역(도시철도)|부전<br>(부산시민공원,송상현광장)]]
 
| 0.6
 
| 0.6
| 25.8
+
| 18.1
|
+
| [[동해남부선]] [[부전역]]
| '''[[부전역]]''', [[부산시민공원]]
+
| '''[[부전역]]'''
|
+
| [[파일:고속일반열차.png|15픽셀|링크=부전역]]
 
|-
 
|-
 
! 121
 
! 121
| [[양정역(부산)|양정]]
+
| [[양정(부산)|양정역]]
 
| 1.4
 
| 1.4
| 27.2
+
| 19.5
 
|
 
|
 
| [[부산여자대학교]]
 
| [[부산여자대학교]]
260번째 줄: 210번째 줄:
 
| [[시청역(부산)|시청(연제)]]
 
| [[시청역(부산)|시청(연제)]]
 
| 0.8
 
| 0.8
| 28.0
+
| 20.3
 
|
 
|
 
| '''[[부산광역시|부산시청]]''', '''[[연제구|연제구청]]''', [[거제역]]
 
| '''[[부산광역시|부산시청]]''', '''[[연제구|연제구청]]''', [[거제역]]
268번째 줄: 218번째 줄:
 
| [[연산역(부산)|연산]]
 
| [[연산역(부산)|연산]]
 
| 0.9
 
| 0.9
| 28.9
+
| 21.2
| {{지하철|부산|3}}
+
| {{부산도시철도 링크|3}}
 
| '''연산교차로'''
 
| '''연산교차로'''
 
|
 
|
276번째 줄: 226번째 줄:
 
| [[교대역(부산)|교대]]
 
| [[교대역(부산)|교대]]
 
| 1.0
 
| 1.0
| 29.9
+
| 22.2
| {{지하철|부산|동해}}
+
|  
 
| '''[[부산교육대학교]]''', 이사벨고등학교
 
| '''[[부산교육대학교]]''', 이사벨고등학교
 
|
 
|
284번째 줄: 234번째 줄:
 
| [[동래역(도시철도)|동래]]
 
| [[동래역(도시철도)|동래]]
 
| 1.2
 
| 1.2
| 31.1
+
| 23.4
| {{지하철|부산|4}}
+
| {{부산도시철도 링크|4}}
 
| 동래시외버스터미널, 내성중학교
 
| 동래시외버스터미널, 내성중학교
 
|
 
|
292번째 줄: 242번째 줄:
 
| [[명륜역|명륜]]
 
| [[명륜역|명륜]]
 
| 0.8
 
| 0.8
| 31.9
+
| 24.2
 
|
 
|
 
| [[롯데백화점]] 동래점
 
| [[롯데백화점]] 동래점
300번째 줄: 250번째 줄:
 
| [[온천장역|온천장]]
 
| [[온천장역|온천장]]
 
| 1.0
 
| 1.0
| 32.9
+
| 25.2
 
|
 
|
 
| 내성고등학교
 
| 내성고등학교
308번째 줄: 258번째 줄:
 
| [[부산대역|부산대]]
 
| [[부산대역|부산대]]
 
| 1.1
 
| 1.1
| 34.0
+
| 26.3
 
|
 
|
 
| '''[[부산대학교]]'''
 
| '''[[부산대학교]]'''
314번째 줄: 264번째 줄:
 
|-
 
|-
 
! 129
 
! 129
| [[장전역|장전]]
+
| [[장전역|장전(부산가톨릭대학교)]]
 
| 1.0
 
| 1.0
| 35.0
+
| 27.3
 
|
 
|
 
| '''[[부산가톨릭대학교]]'''
 
| '''[[부산가톨릭대학교]]'''
324번째 줄: 274번째 줄:
 
| [[구서역|구서]]
 
| [[구서역|구서]]
 
| 1.1
 
| 1.1
| 36.1
+
| 28.4
 
|
 
|
 
| 동래여자고등학교, [[구서 IC]]
 
| 동래여자고등학교, [[구서 IC]]
332번째 줄: 282번째 줄:
 
| [[두실역|두실]]
 
| [[두실역|두실]]
 
| 1.0
 
| 1.0
| 37.1
+
| 29.4
 
|
 
|
 
| 동래베네스트 CC
 
| 동래베네스트 CC
338번째 줄: 288번째 줄:
 
|-
 
|-
 
! 132
 
! 132
| [[남산역(부산)|남산]]
+
| [[남산역(부산)|남산(부산외국어대학교)]]
 
| 1.0
 
| 1.0
| 38.1
+
| 30.4
 
|
 
|
 
| '''[[부산외국어대학교]]''', 부산과학고등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부산과학고등학교
348번째 줄: 298번째 줄:
 
| [[범어사역|범어사]]
 
| [[범어사역|범어사]]
 
| 0.9
 
| 0.9
| 39.0
+
| 31.3
 
|
 
|
 
| '''[[범어사]]''', 영락공원
 
| '''[[범어사]]''', 영락공원
354번째 줄: 304번째 줄:
 
|-
 
|-
 
! 134
 
! 134
| [[노포역|노포(종합버스터미널)]]
+
| [[노포역|노포]]
 
| 1.2
 
| 1.2
| 40.2
+
| 32.5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스포원파크]]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스포원파크]]
 
|
 
|
 
|-
 
|-
365번째 줄: 315번째 줄:
 
|-
 
|-
 
|}
 
|}
 
== 주석 ==
 
<references/>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남권 전철 노선}}
+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분류:부산광역시]]
 
[[분류:부산광역시]]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