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화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사막화지도.png|300픽셀|섬네일|사막화 지도. 사막화에 취약한 지역일수록 붉은색에 가깝다.]]
 
[[파일:사막화지도.png|300픽셀|섬네일|사막화 지도. 사막화에 취약한 지역일수록 붉은색에 가깝다.]]
[[파일:토양침식.jpg|300픽셀|섬네일|토양침식. 반복적인 토양침식은 사막화를 유발할 수 있다.]]
 
  
'''사막화'''({{llang|en|Desertification}})는 [[건조지대]]에서 발생하는 [[토지 황폐화]]의 한 종류이다. 자연적 현상 또는 인간의 활동에 의하여 토양의 생물학적 생산성이 상실되는 것으로, 비옥했던 토양이 급격히 건조하게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후 변화]]나 과도한 경작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건조 지대가 넓어지는 것이다.
+
'''사막화'''({{llang|en|Desertification}})는 상대적으로 건조한 지역이 더 사막에 가까운 환경으로 바뀌는 토지의 황폐화 현상이다. 수자원 고갈과 동식물 감소가 함께 나타난다. [[기후변화]]와 사람의 활동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사막화는 전 지구적인 생태 및 환경 문제이다.  
 
 
사막이 발달하는 것은 원래 지질학적 시간에 걸쳐 서서히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산림 채벌, 토양의 부적절한 이용, 기후 변화 인간의 활동이 사막화를 가속화 시키는 것으로 짐작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여러 과학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 원인 ==
 
== 원인 ==
사막화의 직접적인 원인은 식생의 파괴이다. 식생을 파괴시키는 요인으로는 가뭄, 기후 변동, 지나친 경작, 지나친 방목, 벌목 등이 있다. 식생은 토양의 생물학적 조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생이 적은 환경일수록 토양침식과 지표유출이 증가한다. 즉, 식물로 덮여 있지 않은 건조한 토양 표면은 바람이 불면 쉽게 날아가거나(토양침식) 갑작스런 홍수에 의해 씻겨 내려가기 쉽다(지표유출). 이로 인해 양분이 부족한 하층부의 토양이 드러나 햇빛에 그대로 구워지며, 결과적으로 해당 지역은 황무지로 변할 수 있다.
+
사막화의 직접적인 원인은 식생의 파괴이다. 식생을 파괴시키는 요인으로는 가뭄, 기후 변동, 지나친 경작, 지나친 방목, 벌목 등이 있다. 식생은 토양의 생물학적 조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생이 적은 환경일수록 토양침식과 지표유출이 증가한다. 즉, 식물로 덮여 있지 않은 건조한 토양 표면은 바람이 불면 쉽게 날아가거나(토양침식) 갑작스런 홍수에 의해 씻겨 내려가기 쉽다(지표유출). 이로 인해 양분이 부족한 하층부의 토양이 드러나 햇빛에 그대로 구워지며, 결과적으로 해당 지역은 황무지로 변할 수 있다.  
 
 
== 알고 계셨나요? ==
 
* [[6월 17일]]은 [[UN]]에서 지정한 '''세계 사막화 방지의 날''' 입니다. 
 
 
 
{{번역된 문서|en|Desertification}}
 
  
 
[[분류:환경 문제]]
 
[[분류:환경 문제]]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