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세대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한국전쟁소녀.jpg|300픽셀|섬네일|전후세대는 참혹한 전쟁과 전쟁 직후의 극심한 빈곤속에서도 살아남았다.]]
+
꺼져라 씨발놈아.
{{대사|경제 성장의 주역}}
 
 
 
'''산업화세대'''({{llang|ko-Hani|産業化世代}})는 [[한국전쟁]](1950-1953)을 어린 시절에 직접 경험한 1940년대 및 195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를 의미한다.
 
 
 
== 특징 ==
 
[[일제강점기]] 말기에 태어나 전쟁과 전쟁 직후의 극심한 혼란과 빈곤 속에서도 잡초 같은 생명력을 발휘하여 살아남은 세대이다. 절대 빈곤 속에서 굶어 죽지나 않으면 다행인 유소년 시절을 보냈으니 제대로 된 교육은 받지도 못했다. 전후세대는 정신력과 생존력이 가장 강한 세대이며, 아랫세대들에게는 빈곤을 되물림 할 수 없다는 이들의 '''헝그리정신'''은 1960~70년대 [[대한민국]]의 경제성장([[한강의 기적]])에 큰 기여를 하였다. 돈을 벌기 위해 [[서독]]으로 나가서 [[간호사]]나 [[광부]]로 취직하는 등 가족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서라면 온갖 궂은일도 마다하지 않았다. [[근로기준법]]이 준수되지 않는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 가난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평생 죽도록 일만 해온 일벌레들이다. 그러나 정작 본인들은 경제성장의 열매를 제대로 맛보지 못하고 [[1997년 외환위기]]의 여파로 일찌감치 사회 일선에서 물러났다.
 
 
 
정치성향은 매우 보수적이며, 특히 한국전쟁을 경험한 만큼 [[북한]]에 대한 적개심이 깊다. 한국전쟁 당시 국군을 도와주고, 전쟁당시 피난민들에게 구호물자를 보내준 [[미국]]에 대해서는 아주 우호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다. 반면 [[일본]]에 대해서는 [[일제강점기]]의 여파로 악감정을 가지는 동시에 경제 발전의 롤 모델이 되면서 증오와 동경의 감정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산업화세대 남성의 경우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회사에서 일을 하느라 매달려있었다. 그래서 아버지와 자식간 관계가 소원한 편이다. 반면, 가정 내에서 육아는 온전히 여성의 몫이었기 때문에 자식은 아버지보다 어머니와 훨씬 더 깊은 관계를 맺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산업화세대의 아버지들은 가족에서 겉도는 존재로 남게 되었다.
 
 
 
자녀 세대인 [[X 세대]]와는 정치적 성향이 정반대여서 마찰을 빚기도 한다. 산업화세대는 정치적으로 보수 정당을 지지하고, 공동체주의적인 사상을 갖고 있는 반면, 그들의 자녀세대는 민주당을 열렬히 지지하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두드러진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70~80대의 노년층을 구성하고 있다.
 
 
 
== 대중매체 ==
 
영화 <[[국제시장]]>(2014)은 산업화세대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이 세대의 생애 전반을 조명하였다.
 
 
 
 
{{대한민국의 세대}}
 
{{대한민국의 세대}}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