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층권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엔데버호.jpg|250픽셀|섬네일|성층권과 [[중간권]] 사이를 가로질러가는 [[우주왕복선]] [[엔데버호]]. 주황색으로 보이는 부분은 [[대류권]]이고 그 위에 흰색으로 보이는 부분이 성층권이다.]]
 
{{대사|오존층이 있는 안정된 대기층}}
 
 
 
'''성층권'''({{llang|en|stratosphere}})은 [[지구의 대기]]의 두 번째 층으로서, [[대류권]] 위, [[중간권]] 아래에 위치한다. 이 층에서는 고도가 올라갈수록 기온이 상승하기 때문에 공기의 [[대류]]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아주 안정되어 있다. 성층권과 대류권 사이의 면은 [[대류권계면]]이라고 하는데, 이곳은 [[대기열역학]]적으로 [[평형상태]]에 있다. 중위도지방에서 성층권은 [[고도]] 10-13km에서 시작하여 고도 50km까지 뻗어있다. 반면 [[극지방]]에서 성층권은 고도 8km부터 시작하며, [[적도]]에 가까운 곳에는 18km부터 시작한다.  
 
'''성층권'''({{llang|en|stratosphere}})은 [[지구의 대기]]의 두 번째 층으로서, [[대류권]] 위, [[중간권]] 아래에 위치한다. 이 층에서는 고도가 올라갈수록 기온이 상승하기 때문에 공기의 [[대류]]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아주 안정되어 있다. 성층권과 대류권 사이의 면은 [[대류권계면]]이라고 하는데, 이곳은 [[대기열역학]]적으로 [[평형상태]]에 있다. 중위도지방에서 성층권은 [[고도]] 10-13km에서 시작하여 고도 50km까지 뻗어있다. 반면 [[극지방]]에서 성층권은 고도 8km부터 시작하며, [[적도]]에 가까운 곳에는 18km부터 시작한다.  
  
8번째 줄: 5번째 줄:
  
 
== 항공기 ==
 
== 항공기 ==
[[여객기]]는 중위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고도 9-12km 상공(성층권 하부에 해당)을 비행한다. 이 고도에서는 공기의 밀도가 낮아 여객기에 가해지는 [[기생항력]]이 적기 때문에 보다 적은 연료로 효율적으로 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류권에서 벌어지는 각종 [[기상현상]](극심한 [[난기류]])을 피할 수 있다.  
+
[[여객기]]는 중위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고도 9-12km 상공을 비행한다. 이 고도에서는 공기의 밀도가 낮아 여객기에 가해지는 [[기생항력]]이 적기 때문에 보다 적은 연료로 효율적으로 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류권에서 벌어지는 각종 [[기상현상]](극심한 [[난기류]])을 피할 수 있다.  
  
[[영국]]과 [[프랑스]] 사이를 운항하던 초음속 여객기인 [[콩코드]]는 18km 상공을 비행하고, 미국의 초음속 전략정찰기인 [[SR-71]]은 26km 상공을 비행한다.
+
[[영국]]과 [[프랑스]] 사이를 운항하던 초음속 여객기인 [[콩코드]]는 18km 상공을 비행하고, 미국의 초음속 전략정찰기인 [[SR-71]]은 26km 상공을 비행한다.  
  
 
== 주석 ==
 
== 주석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