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위탁 운영 =
 
|위탁 운영 =
|기점 = [[청량리역|청량리]]
+
|기점 = [[왕십리역|왕십리]]
 
|종점 = [[인천역|인천]]
 
|종점 = [[인천역|인천]]
 
|운행 계통 =  
 
|운행 계통 =  
24번째 줄: 24번째 줄:
 
}}
 
}}
  
{{대사|수도권 남부를 순환하는 거대한 노선}}
+
{{대사|수인선 협궤열차 황혼길로 사라져가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llang|ko-Hani|首都圈 電鐵 水仁·盆唐線}})은 [[인천광역시]] [[중구(인천)|중구]] 소재의 [[인천역]]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소재의 [[청량리역]] 사이에서 운행되는 [[한국철도공사]]의 전철 노선이다. 2020년 9월 12일, [[분당선]]과 [[수인선]]이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개통하였다. 노선 색상은 <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수인분당}}">●'''노란색'''</font>이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llang|ko-Hani|首都圈 電鐵 水仁·盆唐線}})은 [[인천광역시]] [[중구(인천)|중구]] 소재의 [[인천역]]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소재의 [[청량리역]] 사이에서 운행되는 [[한국철도공사]]의 전철 노선이다. 2020년 9월 12일, [[분당선]]과 [[수인선]]이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개통하였다. 노선 색상은 <font 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수인분당}}">●'''노란색'''</font>이다.  
  
 
== 특징 ==
 
== 특징 ==
[[파일:수인선전철.jpg|300픽셀|섬네일|소래철교를 지나가는 수인분당선 열차]]
 
 
 
기존의 [[수인선]]과 [[분당선]]이 직결 운행하면서 만들어진 거대한 노선이다. 노선 총 길이는 105.7km로서, 서울-청주의 직선거리와 맞먹는 수준이다. 수도권 전철 중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다음으로 긴 노선이다.  
 
기존의 [[수인선]]과 [[분당선]]이 직결 운행하면서 만들어진 거대한 노선이다. 노선 총 길이는 105.7km로서, 서울-청주의 직선거리와 맞먹는 수준이다. 수도권 전철 중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다음으로 긴 노선이다.  
 
기본적으로 [[서울]]의 [[청량리역]]과 [[인천]]의 [[인천역]]을 잇는 노선이다. 그러나 서울과 인천을 직선으로 잇는 것이 아니라, 남쪽으로 한참 돌아서 서울-성남(분당)-용인-수원-화성-안산-시흥-인천으로 가는 노선이다. 따라서 서울에서 인천으로 가기 위해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수요는 거의 기대할 수 없다. 대신에, 수도권 남부의 위성도시를 순환하며 이어주는 노선이므로 구간 수요를 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인천에서 수원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인천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타고 서울의 [[구로역]]까지 가서 환승한 뒤에 다시 신창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타고 수원역까지 이동해야 했다. 그러나 수인분당선이 개통된 후에는 인천에서 수원까지 환승 없이 한 번에, 그리고 더 짧은 거리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한대앞역]]~[[오이도역]] 구간은 기존의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국내에서 이렇게 여러 역에 걸쳐서 서로 다른 노선계통이 같은 선로를 사용하는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해외에서는 비교적 흔한 경우지만 국내에서는 드문 경우이므로 열차 이용 시에 잘못된 열차를 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 운행 ==
 
두 개의 노선이 합쳐진 노선인 만큼 독특하고 복잡한 운행 체계를 갖추고 있다. 대표적인 특징으로, 급행 노선은 수인선과 분당선에서 각각 나뉘어서 운영되고 있다. 수인선 급행은 [[인천역]]에서 [[오이도역]] 사이에서 운영되며, 분당선 급행은 [[왕십리역]]에서 [[고색역]] 사이에서 운영되고 있다. 직결 운행 이전과 비교하면 분당선 급행이 왕십리~수원 사이에서 운영되다가 고색역까지 한 정거장 연장되었고, 수인선 급행은 직결 운행 이전과 차이가 없다.
 
 
== 명칭 논란 ==
 
기존 수인선과 분당선이 직결 운행하여 새로 탄생할 노선에 대한 명칭 논란이 있었다. 수인분당선, 분당수인선, 남부순환선 등이 명칭 후보로 거론되었다. 최종적으로는 기존 노선을 그대로 나열한 '''수인·분당선'''으로 명칭이 결정되었다. 이는 앞서 [[경의선]]과 [[중앙선]]이 직결 운행하여 새로 만들어진 노선에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이라는 명칭이 붙은 선례를 그대로 따른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작명법은 기존의 노선명을 그대로 나열한 것이기 때문에 지역 주민의 반발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노선명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므로 다른 지역의 사람이 열차를 이용할 때나, 특히 [[외국인]]이 열차를 이용할 때는 노선명을 헷갈리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인·분당선의 경우 영문 명칭이 '''Suin·Bundang Line'''인데, 이는 [[신분당선]]의 영문명 '''Sinbundang Line'''과 매우 유사하다.
 
 
== 차량 ==
 
  
 
== 노선표 ==
 
== 노선표 ==
[[파일:수서역분당.jpg|300픽셀|섬네일|[[수서역(도시철도)|수서역]] 수인분당선 승강장]]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60번째 줄: 44번째 줄:
 
| {{지하철|서울|경의중앙}} ·<br>{{지하철|서울|경춘}} · {{지하철|서울|1}}
 
| {{지하철|서울|경의중앙}} ·<br>{{지하철|서울|경춘}} · {{지하철|서울|1}}
 
| 청과시장, [[서울시립대학교]]
 
| 청과시장, [[서울시립대학교]]
| {{지하철|KTX}}<br>{{지하철|ITX-청춘}}
+
| [[파일:고속일반열차.png|15픽셀|링크=청량리역]]
 
|-
 
|-
 
!K210
 
!K210
68번째 줄: 52번째 줄:
 
| {{지하철|서울|경의중앙}} ·<br>{{지하철|서울|2}} · {{지하철|서울|5}}
 
| {{지하철|서울|경의중앙}} ·<br>{{지하철|서울|2}} · {{지하철|서울|5}}
 
| [[성동구|성동구청]], 행당시장
 
| [[성동구|성동구청]], 행당시장
| {{지하철|ITX-청춘}}
+
| {{철도 링크|ITX-청춘}}
 
|-
 
|-
 
! K211
 
! K211
156번째 줄: 140번째 줄:
 
| {{지하철|서울|3}}
 
| {{지하철|서울|3}}
 
| [[수서역]](SRT), [[이마트]] 수서점
 
| [[수서역]](SRT), [[이마트]] 수서점
| {{지하철|SRT}}
+
| {{철도 링크|SRT}}
 
|-
 
|-
 
!K222
 
!K222
348번째 줄: 332번째 줄:
 
| {{지하철|서울|1}}
 
| {{지하철|서울|1}}
 
| 수원역 로데오거리, 롯데몰 수원점
 
| 수원역 로데오거리, 롯데몰 수원점
| {{지하철|KTX}}
+
| [[파일:고속일반열차.png|15픽셀|링크=수원역]]
 
|-
 
|-
 
!K246
 
!K246
390번째 줄: 374번째 줄: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4}};" | K251
+
!K251
| [[한대앞역|한대앞]]<ref>4호선과 선로 공유(한대앞~오이도)</ref>
+
| [[한대앞역|한대앞]]
 
| 2.2
 
| 2.2
 
| 71.8
 
| 71.8
 
| {{지하철|서울|4}}
 
| {{지하철|서울|4}}
 
| 한대앞역삼거리
 
| 한대앞역삼거리
|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4}};" | K252
+
!K252
 
| [[중앙역(안산)|중앙]]
 
| [[중앙역(안산)|중앙]]
 
| 1.6
 
| 1.6
406번째 줄: 390번째 줄: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4}};" | K253
+
!K253
 
| [[고잔역|고잔]]
 
| [[고잔역|고잔]]
 
| 0.6
 
| 0.6
414번째 줄: 398번째 줄: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4}};" | K254
+
!K254
 
| [[초지역|초지]]
 
| [[초지역|초지]]
 
| 1.5
 
| 1.5
422번째 줄: 406번째 줄: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4}};" | K255
+
!K255
 
| [[안산역|안산]]
 
| [[안산역|안산]]
 
| 1.8
 
| 1.8
430번째 줄: 414번째 줄: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4}};" | K256
+
!K256
 
| [[신길온천역|신길온천]]
 
| [[신길온천역|신길온천]]
 
| 2.2
 
| 2.2
438번째 줄: 422번째 줄: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4}};" | K257
+
!K257
 
| [[정왕역|정왕]]
 
| [[정왕역|정왕]]
 
| 1.9
 
| 1.9
446번째 줄: 430번째 줄:
 
|
 
|
 
|-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4}};" | K258  
+
! K258  
 
| [[오이도역|오이도]] || 2.4 || 84.6 || {{지하철|서울|4}} || 배곧신도시 ||
 
| [[오이도역|오이도]] || 2.4 || 84.6 || {{지하철|서울|4}} || 배곧신도시 ||
 
|-
 
|-
483번째 줄: 467번째 줄:
 
|-
 
|-
 
! K271  
 
! K271  
| [[신포역|신포]] || 1.5 || 103.4 || || 신포국제시장 ||
+
| [[신포역|신포]] || 1.5 || 103.4 || || [[인천항]] 제2국제여객선터미널 ||
 
|-
 
|-
 
! K272  
 
! K272  
| [[인천역|인천]] || 1.1 || 104.5 || {{지하철|서울|1}} || [[인천차이나타운]], [[중구(인천)|인천 중구청]] ||
+
| [[인천역|인천]] || 1.1 || 104.5 || {{지하철|서울|서1}} || [[인천차이나타운]], [[중구(인천)|인천 중구청]] ||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수인분당}}; height: 2pt"
 
|- style = "background:#{{서울도시철도 색상|수인분당}}; height: 2pt"
 
| colspan = "7" |
 
| colspan = "7" |
495번째 줄: 479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수도권 전철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분류: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분류: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