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도시 정보
+
{|style="text-align: center; float:right;" class="wikitable"
| 이름 = 안동시
+
!colspan="2"|경상북도 안동시
| 한자 = 安東市
+
|-
| 그림 = Korea-Andong-Hahoe_Folk_Village-01.jpg
+
| 구분 || 기초자치단체(시)
| 그림설명 = 안동 하회마을
+
|-
| 휘장 = 안동휘장.png
+
| 구성 || 1읍 13면 10동
| 슬로건 =
+
|-
| 지도 =
+
| 면적 || 1521.10㎢
| 지도설명 =
+
|-
| 지도너비 =
+
| 인구 || 16만 6197명<small>(2010 인구주택총조사)</small>
| 시청소재지 = 퇴계로 115
+
|-
| 구 =
+
| 인구밀도 || 109.26명/㎢ <small>(2010 인구주택총조사)</small>
| 군 =
+
|-
| 읍 = 1
+
| 남녀성비 || 95.2 <small>(2010 인구주택총조사)</small>
| 면 = 13
+
|-
| 행정동 = 10
+
|rowspan="4"| 변천
| 단체장 = [[권영세]] (무소속)
+
|-
| 인구 = 160484
+
| 경상북도 안동군(1896~1994)
| 인구년도 = 2019
+
|-
| 면적 = 1521
+
| 경상북도 안동시(1963~1994)
| 시목 = [[은행나무]]
+
|-
| 시화 = [[매화]]
+
| 경상북도 안동시(1995~)
| 시조 = [[까치]]
+
|}
| 지역 = [[경상북도]]
 
| 지역번호 = 054
 
| 웹사이트 = [https://www.andong.go.kr/main.do www.andong.go.kr]
 
}}
 
{{대사|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시'''({{llang|ko-Hani|安東市}})는 [[경상북도]]의 중앙부에 있는 인구 16만 명 내외의 중소도시이다. [[낙동강]]이 안동시를 가로질러 흐른다. 안동 주위로는 큰 도시가 없고 주로 농촌으로 되어 있는데, 그런 지리적 이점 덕분에 안동은 주변 지역의 중심 시장 기능을 한다.  
+
'''안동시'''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 중심에 위치해 있는 도시이다. 간고등어와 찜닭, 하회마을, 부용대 등이 유명하며 슬로건은 한국 정신 문화의 수도 안동이다.
  
안동은 조선시대에만 하더라도 큰 도시로 손꼽혔으나 국토 개발과정에서 다소 소외되었다. 그리하여 1970년대를 기해 안동에 살던 사람들이 [[서울]] 등 대도시로 상당 부분 이주하여 인구가 크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1990년대 들어서, [[하회마을]], [[도산서원]] 등 훌륭한 문화유산이 잘 보존된 안동은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로 재탄생하며 관광 도시로 탈바꿈하였다.
+
== 특징 ==
  
안동지역을 대표하는 대학교로는 4년제 국립대학교인 [[안동대학교]]가 있다.
+
면적이 1521.10㎢에 달해 전국에서 가장 면적이 큰 도시이다. 이는 서울특별시의 2.51배에 달하는 광할한 면적이며 광역시 가운데 안동시 보다 면적이 넓은 광역시는 단 한군데도 없다. 다만 인구는 16만여명으로 면적에 비해 상당히 적다. 1963년 1월 1일, 안동군 안동읍이 안동시로 분리되어 독자적인 행정구역을 유지해오다 1995년 1월 1일, 도농통합시의 출범으로 안동군과 안동시가 통합되어 안동시가 되었다.
  
1995년 안동시와 안동군이 도농통합하여 지금의 안동시에 이르고 있다.
+
여담으로 조선 시대에 모친을 죽인 패륜아가 있어서 현으로 강등 당했다가 안동 사람들의 상소로 5년후 부로 환원된 역사가 있다.
 
 
== 음식 ==
 
안동을 대표하는 지역 음식으로는 [[헛제사밥]], [[안동찜닭]], [[소주|안동소주]], [[식혜|안동식혜]], [[건진국수]], 안동 자반[[고등어]](간고등어) 등이 있다.
 
 
 
'''헛제사밥'''은 나물 [[비빔밥]]의 한 종류인데, 일반적인 비빔밥과는 달리 [[고추장]]을 넣지 않고 [[간장]]을 넣어 간을 맞춘다는 특징이 있다. 헛재사밥의 밑반찬으로는 구운 생선과 [[전]]이 반드시 포함된다. 헛제사밥은 '''가짜 제사밥'''이라는 뜻인데, 실제 제사를 위해 만든 음식은 아니면서도 [[제사]]날에 먹는 밥과 유사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안동찜닭'''은 [[닭고기]], [[당면]], 그리고 [[간장]]에 절인 여러 [[채소]]를 재료로 한 [[찜]] 요리이다. 안동찜닭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1980년대 안동구시장에는 닭골목이 있었는데, 이 곳 음식점들에서 여러 연구 끝에 만들어 낸 닭 요리가 현재의 안동찜닭이라는 가설이 유력하다.
 
 
 
안동식 [[식혜]]에는 [[고추]], [[생강]], [[무]] 등이 들어가기 때문에 독특한 맛이 난다.
 
 
 
== 알고 계셨나요? ==
 
* 1999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73세 생일을 기념하여 안동 [[하회마을]]을 방문하였습니다.
 
* 안동 하회마을은 2010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 외부링크 ==
 
* [http://www.andong.go.kr/open.content/ko/ 안동시청]
 
* [http://www.tourandong.com/main.htm 안동관광정보센터]
 
  
 
{{경상북도}}
 
{{경상북도}}
  
[[분류:안동시| ]]
+
[[분류:경상북도]][[분류:대한민국의 도시]]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