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식증후군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치킨.jpg|300픽셀|섬네일|일주일에 2번 이상 야식을 먹는다면 야식증후군에 해당한다.]]
+
[[파일:치킨.jpg|250픽셀|섬네일|일주일에 2번 이상 야식을 먹는다면 야식증후군에 해당한다.]]
  
 
'''야식증후군''' 또는 '''밤참병''', '''야식증'''은 [[식이장애]]의 일종으로서 하루 중의 음식 섭취 패턴이 늦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습관적인 야식으로 인해 아침을 거르는 일이 잦아지면서 [[아점]]-[[저녁식사|저녁]]-야식의 식습관이 굳어지는 것이다. 야식증후군은 [[폭식장애]]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밤에 음식을 먹는 행위가 음식에 대한 통제력 자체를 잃어버린 상태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야식증후군과 폭식은 엄연히 다른 것이다. 1955년 앨버트 스턴커드(Albert Stunkard) 박사가 처음 발표한 증후군이며 현재 [[DSM-5]]에서 ‘기타 명시된 급식 및 섭식장애’(Other Specified Feeding or Eating Disorder)로 분류되고 있다. 야식증후군의 기준으로는 ① 저녁/밤에 섭취하는 칼로리가 하루 동안 섭취하는 전체 칼로리의 25% 이상을 차지 ② 일주일에 2번 이상 야식을 섭취 등이 있다. 일반 인구의 1-2%, 그리고 비만 환자의 10%가 야식증후군을 갖고 있다. 야식증후군은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후반 사이의 나이대에 흔하며 어린이 환자는 거의 보고되지 않는다. 야식증후군 환자는 우울증과 낮은 자존감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멜라토닌]]과 [[렙틴]] 등의 호르몬의 야간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나나]], [[호두]], [[우유]] 등 [[세로토닌]]이 풍부한 음식을 먹는 것이 야식증후군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야식증후군''' 또는 '''밤참병''', '''야식증'''은 [[식이장애]]의 일종으로서 하루 중의 음식 섭취 패턴이 늦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습관적인 야식으로 인해 아침을 거르는 일이 잦아지면서 [[아점]]-[[저녁식사|저녁]]-야식의 식습관이 굳어지는 것이다. 야식증후군은 [[폭식장애]]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밤에 음식을 먹는 행위가 음식에 대한 통제력 자체를 잃어버린 상태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야식증후군과 폭식은 엄연히 다른 것이다. 1955년 앨버트 스턴커드(Albert Stunkard) 박사가 처음 발표한 증후군이며 현재 [[DSM-5]]에서 ‘기타 명시된 급식 및 섭식장애’(Other Specified Feeding or Eating Disorder)로 분류되고 있다. 야식증후군의 기준으로는 ① 저녁/밤에 섭취하는 칼로리가 하루 동안 섭취하는 전체 칼로리의 25% 이상을 차지 ② 일주일에 2번 이상 야식을 섭취 등이 있다. 일반 인구의 1-2%, 그리고 비만 환자의 10%가 야식증후군을 갖고 있다. 야식증후군은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후반 사이의 나이대에 흔하며 어린이 환자는 거의 보고되지 않는다. 야식증후군 환자는 우울증과 낮은 자존감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멜라토닌]]과 [[렙틴]] 등의 호르몬의 야간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나나]], [[호두]], [[우유]] 등 [[세로토닌]]이 풍부한 음식을 먹는 것이 야식증후군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