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서류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2번째 줄: 22번째 줄:
 
양서류는 [[고생대]] [[데본기]]에 [[육기어류]]로부터 진화해 나온 것이다. 양서류는 육지생활에 빠르게 적응해 나가면서 고생대 [[석탄기]]와 [[페름기]]를 거치면서 폭발적으로 그 수가 증가하였으나 이후 [[파충류]]가 등장하면서 이들에게 육지의 제왕 자리를 넘겨주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양서류는 그 숫자와 종류가 감소하였다. 오늘날 지구상에 서식하는 양서류는 [[개구리목]], [[도롱뇽목]], [[무족목]]의 3목만이 남아 있다. 현재 양서류에는 7,000여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중 거의 90%는 개구리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양서류는 [[뉴기니아]]에 서식하는 페도프라이네 아마우엔시스(''Paedophryne amauensis'')라는 개구리이다. 이 개구리의 길이는 7.7mm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에 현존하는 가장 큰 양서류는 [[중국왕도롱뇽]](''Andrias davidianus'')으로서, 그 길이가 1.8m에 이른다.  
 
양서류는 [[고생대]] [[데본기]]에 [[육기어류]]로부터 진화해 나온 것이다. 양서류는 육지생활에 빠르게 적응해 나가면서 고생대 [[석탄기]]와 [[페름기]]를 거치면서 폭발적으로 그 수가 증가하였으나 이후 [[파충류]]가 등장하면서 이들에게 육지의 제왕 자리를 넘겨주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양서류는 그 숫자와 종류가 감소하였다. 오늘날 지구상에 서식하는 양서류는 [[개구리목]], [[도롱뇽목]], [[무족목]]의 3목만이 남아 있다. 현재 양서류에는 7,000여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중 거의 90%는 개구리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양서류는 [[뉴기니아]]에 서식하는 페도프라이네 아마우엔시스(''Paedophryne amauensis'')라는 개구리이다. 이 개구리의 길이는 7.7mm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에 현존하는 가장 큰 양서류는 [[중국왕도롱뇽]](''Andrias davidianus'')으로서, 그 길이가 1.8m에 이른다.  
  
{{번역된 문서|en|amphibian}}
 
 
{{척추동물}}
 
{{척추동물}}
  
 
[[분류:양서류| ]]
 
[[분류:양서류|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