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2번째 줄: 22번째 줄:
 
| 시화 = [[국화]]
 
| 시화 = [[국화]]
 
| 시조 = [[비둘기]]
 
| 시조 = [[비둘기]]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
| 지역 = [[전라북도]]
 
| 지역번호 = 063
 
| 지역번호 = 063
 
| 웹사이트 = [http://www.iksan.go.kr/index.iksan www.iksan.go.kr]
 
| 웹사이트 = [http://www.iksan.go.kr/index.iksan www.iksan.go.kr]
 
}}
 
}}
 
{{대사|보석의 도시 익산}}
 
{{대사|보석의 도시 익산}}
'''익산시'''({{llang|ko-Hani|益山市}})는 [[전북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인구 30여 만명의 중소도시이다. 익산시는 [[호남선]] 철도와 [[전라선]] 철도가 교차하는 [[호남]]지역 철도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익산역에서 호남선을 타면 [[서울]], [[대전]], [[광주]], [[목포]] 방면으로 갈 수 있고, 전라선을 타면 [[전주]], [[순천]], [[여수]] 방면으로 갈 수 있다. 철도역을 중심으로 [[시장]]과 [[도시]]가 형성되어 발전하였는데, 예전엔 철도역을 중심으로 도시가 형성된 지역을 '''이리시'''라고 불렀다. 이후 이리시는 [[1995년]]에 인근의 '''익산군'''과 통합되면서 '''익산시'''가 되었다.
+
'''익산시'''({{llang|ko-Hani|益山市}})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인구 30여 만명의 중소도시이다. 익산시는 [[호남선]] 철도와 [[전라선]] 철도가 교차하는 [[호남]]지역 철도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익산역에서 호남선을 타면 [[서울]], [[대전]], [[광주]], [[목포]] 방면으로 갈 수 있고, 전라선을 타면 [[전주]], [[순천]], [[여수]] 방면으로 갈 수 있다. 철도역을 중심으로 [[시장]]과 [[도시]]가 형성되어 발전하였는데, 예전엔 철도역을 중심으로 도시가 형성된 지역을 '''이리시'''라고 불렀다. 이후 이리시는 [[1995년]]에 인근의 '''익산군'''과 통합되면서 '''익산시'''가 되었다.
  
 
익산시는 예로부터 [[보석]] 가공업이 발달하여 '''보석의 도시'''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익산은 국내 유일의 귀금속 공단이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2002년]]에는 익산시의 보석문화를 더욱 널리 알리기 위해 [[보석박물관]]을 만들었다.
 
익산시는 예로부터 [[보석]] 가공업이 발달하여 '''보석의 도시'''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익산은 국내 유일의 귀금속 공단이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2002년]]에는 익산시의 보석문화를 더욱 널리 알리기 위해 [[보석박물관]]을 만들었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