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무역협정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 한국에서의 FTA ==
 
== 한국에서의 FTA ==
[[파일:한국FTA체결현황2016.png|350픽셀|섬네일|한국과의 FTA협정이 발효 중인 나라들 (2020년 기준)]]
+
[[파일:한국FTA체결현황.png|350픽셀|섬네일|한국과의 FTA협정이 발효 중인 나라들 (2015년 기준)]]
 
[[파일:FTA반대시위.jpg|250픽셀|섬네일|축산업 종사자들이 한-미 FTA 반대시위를 하고 있다. (2008년)]]
 
[[파일:FTA반대시위.jpg|250픽셀|섬네일|축산업 종사자들이 한-미 FTA 반대시위를 하고 있다. (2008년)]]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입장에서 FTA는 생존이 걸린 문제이다. 다른 무역국들간의 FTA 협정이 늘어날 경우 한국은 상대적으로 수출 경쟁국들 사이의 무역 경쟁에서 밀리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한국 경제는 큰 타격을 받게 된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한국은 FTA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꼈으며, 보호무역정책을 고수하던 한국이 자유무역으로 정책을 크게 변경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은 2004년 [[칠레]]와의 첫 FTA를 성사시킨 이후로 FTA 체결에 아주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이 지금까지 FTA를 체결한 나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입장에서 FTA는 생존이 걸린 문제이다. 다른 무역국들간의 FTA 협정이 늘어날 경우 한국은 상대적으로 수출 경쟁국들 사이의 무역 경쟁에서 밀리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한국 경제는 큰 타격을 받게 된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한국은 FTA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꼈으며, 보호무역정책을 고수하던 한국이 자유무역으로 정책을 크게 변경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은 2004년 [[칠레]]와의 첫 FTA를 성사시킨 이후로 FTA 체결에 아주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이 지금까지 FTA를 체결한 나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52번째 줄: 52번째 줄:
 
! [[캐나다]]
 
! [[캐나다]]
 
|| 2014년 3월 11일 || 2015년 1월 1일
 
|| 2014년 3월 11일 || 2015년 1월 1일
 +
|-
 +
! [[콜롬비아]]
 +
|| 2012년 6월 25일 ||
 
|-
 
|-
 
! [[중국]]
 
! [[중국]]
62번째 줄: 65번째 줄:
 
|| 2014년 12월 10일 || 2015년 12월 20일
 
|| 2014년 12월 10일 || 2015년 12월 20일
 
|-
 
|-
! [[콜롬비아]]
 
|| 2013년 2월 21일 || 2016년 7월 15일
 
|-
 
! 중미5개국<ref>파나마,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ref>
 
|| 2018년 2월 21일 || 2019년 10월 1일<ref>부분발효</ref>
 
 
|}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