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
|공식 명칭 = 전북특별자치도
+
|공식 명칭 = 전라북도
 
|그림 = [[파일:전라북도위치.png|300픽셀]]
 
|그림 = [[파일:전라북도위치.png|300픽셀]]
|표어 = 새로운 전북, 특별한 기회
+
|표어 = 천년의비상 전라북도
|한글 표기 = 전북특별자치도
+
|한글 표기 = 전라북도
|한자 표기 = 全北特別自治道
+
|한자 표기 = 全羅北道
|로마자 표기 = Jeonbuk State
+
|로마자 표기 = North Jeolla Province
 
|광역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
 
|구분 = 광역자치단체([[도]])
 
|구분 = 광역자치단체([[도]])
 
|구성 = 6시 8군
 
|구성 = 6시 8군
|인구 = 174만 9376명
+
|인구 = 177만 7220
|면적 = 8,073
+
|면적 = 8,067㎢
|인구밀도 = 216
+
|인구밀도 = 220
 
|남녀성비 =
 
|남녀성비 =
|단체장 = [[김관영]] ([[더불어민주당]])
+
|단체장 = [[김완주]] ([[민주당]])
 
|상징새 = [[까치]]
 
|상징새 = [[까치]]
 
|상징꽃 = [[백일홍]]
 
|상징꽃 = [[백일홍]]
21번째 줄: 21번째 줄:
 
}}
 
}}
  
'''전북특별자치도'''({{llang|ko-Hani|全北特別自治道}})는 [[호남]] 지역 중 북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특별자치도]]이다. 도청소재지는 [[전주시]]이다.
+
'''전라북도'''({{llang|ko-Hani|全羅北道}})는 [[호남]] 지역 중 북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이다. 도청소재지는 [[전주시]]이다.
  
== 지리적 특성 ==
+
== 전라북도의 지리적 특성 ==
[[파일:호남평야항공뷰.jpg|300픽셀|섬네일|[[호남평야]]는 전북특별자치도의 서부를 차지하고 있다.]]
+
전라북도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족으로는 [[경상남도]], 남쪽으로는 [[전라남도]], 북쪽으로는 [[충청남도]]와 인접해 있다. 서쪽으로는 [[황해]]를 접하고 있다. 전라북도의 전체 면적은 8,061.41km²로서, [[대한민국]] 전체의 8.1%에 해당한다.
  
전북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경상남도]], 남쪽으로는 [[전라남도]], 북쪽으로는 [[충청남도]]와 인접해 있다. 서쪽으로는 [[황해]]를 접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의 전체 면적은 8,073km²로서, [[대한민국]] 전체의 8.1%에 해당한다.
+
동쪽으로는 [[노령산맥]] 및 [[소백산맥]]이 위치한 반면 서쪽으로는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에 대한민국 최대의 [[평야]]인 [[호남평야]]가 드넓게 펼쳐져 있어 비옥한 곡창지대를 이룬다.
 
 
동쪽으로는 [[노령산맥]] 및 [[소백산맥]]이 위치하지만, 서쪽으로는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에 대한민국 최대의 [[평야]]인 [[호남평야]]가 드넓게 펼쳐져 있어 비옥한 곡창지대를 이룬다.
 
  
 
== 교통과 산업 ==
 
== 교통과 산업 ==
1960년대 [[호남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호남 지역의 산업화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특히 전북 지역은 [[장항선]], [[호남선]], [[전라선]]의 3개의 철도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하여 [[군산시]]-[[익산시]]-[[전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호남 공업 지대를 형성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황해]]를 끼고 있는 [[항구]]도시인 군산시는 [[자동차]], 식품, 제지 공업이 발달하였다. 현재 군산 앞바다는 [[새만금]] [[간척]]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며, 새만금 사업이 완료되면 283km²의 공업과 농업용 토지를 새로 얻게 되어 호남 지역의 산업 발달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호남 공업 지대는 산업화가 많이 이루어졌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전통적인 수공업 위주의 산업''' 위주이다. 예를 들어, 전주는 [[한지]]와 [[부채]]가, 익산시에서는 예로부터 [[보석]] 가공업이 발달하였으며, [[남원시]]는 질 좋은 [[목기]] 생산지로 유명하다.
+
1960년대 [[호남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호남 지역의 산업화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특히 전북 지역은 [[장항선]], [[호남선]], [[전라선]]의 3개의 철도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하여 [[군산시]]-[[익산시]]-[[전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호남 공업 지대를 형성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황해]]를 끼고 있는 [[항구]]도시인 군산시는 [[자동차]], 식품, 제지 공업이 발달하였다. 현재 군산 앞바다는 [[새만금]] [[간척]]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며, 새만금 사업이 완료되면 283km²의 공업 및 농업용 토지를 새로 얻게 되어 호남 지역의 산업 발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호남 공업지대는 산업화가 많이 이루어졌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도 '''전통적인 수공업 위주의 산업''' 위주이다. 예를 들어, 전주는 [[한지]]와 [[부채]]가, 익산시에서는 예로부터 [[보석]] 가공업이 발달하였으며, [[남원시]]는 질 좋은 [[목기]] 생산지로 유명하다.
  
 
== 관광지 ==
 
== 관광지 ==
동쪽의 노령산맥, 서쪽의 서해안과 관련한 자연경관을 만나 볼 수 있으며, [[임진왜란]] 당시 피해를 받지 않아 [[백제]] 및 [[조선]]시대의 문화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
[[파일:풍남문.jpg|300픽셀|섬네일|[[전주]]성의 남쪽 출입문인 [[풍남문]].]]
 +
동쪽의 노령산맥, 서쪽의 황해안과 관련한 자연 경관을 만나 볼 수 있으며, [[임진왜란]] 당시 피해를 받지 않아 [[백제]] 및 [[조선]]시대의 문화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 정읍 [[내장산 국립공원]]
 
* 정읍 [[내장산 국립공원]]
43번째 줄: 42번째 줄:
 
* 전주 [[풍남문]]
 
* 전주 [[풍남문]]
  
== 행정구역 ==
+
== 행정 구역 ==
 
=== 시 ===
 
=== 시 ===
 
{|
 
{|
76번째 줄: 75번째 줄: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https://www.jeonbuk.go.kr/ 전북특별자치도 홈페이지]
+
* [http://www.jeonbuk.go.kr/ 전라북도청 홈페이지]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전북특별자치도}}
+
{{전라북도}}
  
[[분류:전북특별자치도| ]]
+
[[분류:전라북도|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