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9번째 줄: 29번째 줄:
 
}}
 
}}
 
{{대사|아름다운 남강이 흐르는 도시}}
 
{{대사|아름다운 남강이 흐르는 도시}}
 
[[파일:진주시청.jpg|300픽셀|섬네일|진주시청]]
 
  
 
'''진주시'''({{llang|ko-Hani|晉州市}})는 인구 30만명 내외의 중소도시로서, 서부 [[경상남도]] 일대의 <del>골목대장</del>중심도시이다. [[임진왜란]] 당시 쳐들어온 왜군들을 [[진주성]]에서 막아낸 역사가 있는데, 이를 [[진주대첩]](1592년)이라 한다. 당시 진주목사였던 [[김시민]]의 통솔력과 진주성의 지형적 특성([[남강]]이 진주성 주위로 흐름)이 승리의 요인이었다. 그러나 다음해인 1593년엔 왜군과의 전력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진주성이 함락되었다. 그러나 끝내 비옥한 곡창지대인 [[호남]]지역까지는 왜군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끌었다. 말하자면 바다는 [[이순신]] 장군이, 육지는 진주성이 막고 있었던 셈이다. 그래서 진주대첩을 [[한산대첩]], [[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3대첩으로 부르기도 한다.
 
'''진주시'''({{llang|ko-Hani|晉州市}})는 인구 30만명 내외의 중소도시로서, 서부 [[경상남도]] 일대의 <del>골목대장</del>중심도시이다. [[임진왜란]] 당시 쳐들어온 왜군들을 [[진주성]]에서 막아낸 역사가 있는데, 이를 [[진주대첩]](1592년)이라 한다. 당시 진주목사였던 [[김시민]]의 통솔력과 진주성의 지형적 특성([[남강]]이 진주성 주위로 흐름)이 승리의 요인이었다. 그러나 다음해인 1593년엔 왜군과의 전력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진주성이 함락되었다. 그러나 끝내 비옥한 곡창지대인 [[호남]]지역까지는 왜군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끌었다. 말하자면 바다는 [[이순신]] 장군이, 육지는 진주성이 막고 있었던 셈이다. 그래서 진주대첩을 [[한산대첩]], [[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3대첩으로 부르기도 한다.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