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광범위하고 심한 화상은 사망을 초래할 수 있으나, 현대에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심각한 화상의 처치가 용이해졌다. 세계적으로, 매년 1100만 명의 화상 환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며, 이 중 30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 화상의 예후는 화상의 정도와 범위, 환자의 나이에 따라 다르다.  
 
광범위하고 심한 화상은 사망을 초래할 수 있으나, 현대에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심각한 화상의 처치가 용이해졌다. 세계적으로, 매년 1100만 명의 화상 환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며, 이 중 30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 화상의 예후는 화상의 정도와 범위, 환자의 나이에 따라 다르다.  
 
== 징후와 증상 ==
 
화상의 증상은 화상의 깊이에 따라 달라진다. 표재성 화상(1도화상)은 2-3일동안 지속되는 통증을 유발하며, 이후 피부의 껍질이 벗겨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더 심한 화상의 경우에는 단순한 통증 대신 누르는 느낌이 나기도 한다. 전층화상(3도화상)의 경우에는 촉각이 아예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 표재성 화상의 경우에는 피부가 붉은색으로 변하는 반면, 더 심한 화상의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가 분홍색, 흰색, 검은색 등으로 변할 수 있다. 입이나 코 안 또는 기도 내부가 화상으로 손상된 경우에는 증상을 포착하기 어렵다. 이 때 호흡이 가빠지거나 호흡소리가 거칠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치명적인 결과가 나오기 쉽다. 화상이 치유되는 과정에서는 거의 대부분 [[가려움증]]이 유발된다. 전기로 인한 화상 후에는 장기간동안 감각이 없거나 아린감이 들기도 한다. 화상은 환자의 정신적인 고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 class="wikitable"
 
|-
 
! 종류 !! 피부층 !! 특징 !! 질감 !! 느낌 !! 치유시간 !! 예후
 
|-
 
| 표재성<br>(1도화상) || [[표피]] || 피부가 붉게 변함.<br>수포는 없음 || 건조 || [[통증]] || 5-10일 || 치유가 잘 됨
 
|-
 
| 부분층<br>(2도화상) || [[진피]] || 피부가 붉게 변함.<br>맑은 [[수포]]가 나타남 || 습윤 || 강한 통증 || 2-3주 미만 || 국소적인 감염이나 [[봉와직염]] 우려 있음.<br>흉터는 남지 않음
 
|-
 
| 전층<br>(3도화상) || [[진피]] 전체 || 흰색/노란색/갈색<br>수포는 없을 수도 있음 || 가죽처럼 건조 || 누르는 느낌<br>또는 감각 없음 || 수주-수개월 || 흉터가 남음
 
|-
 
| 4도화상 || 진피, 피하지방,<br>근육, 뼈 || 검은색 || 건조 || 감각 없음 || 절제가 필요함 || 심각한 기능손상.<br>사망에 이를 수 있음
 
|}
 
 
{{번역된 문서|en|Burn}}
 
  
 
[[분류:피부과]]
 
[[분류:피부과]]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