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Z세대에게 스마트폰은 단순한 디지털 기기가 아닌, 언제 어디서나 함께 해온 삶의 일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Z세대에게 유튜브란 모르는 것을 가르쳐 주는 선생님이자 재미있는 친구이자 동경하는 스타이다. Z세대에게 가장 인기 있는 장래희망이 유튜브 크리에이터인 것도 무리가 아니다.
 
Z세대에게 스마트폰은 단순한 디지털 기기가 아닌, 언제 어디서나 함께 해온 삶의 일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Z세대에게 유튜브란 모르는 것을 가르쳐 주는 선생님이자 재미있는 친구이자 동경하는 스타이다. Z세대에게 가장 인기 있는 장래희망이 유튜브 크리에이터인 것도 무리가 아니다.
  
=== X세대의 자녀세대 ===
+
=== 개인주의적인 개인주의자 ===
Z세대의 가치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그들의 부모인 [[X세대]]이다. 역사상 가장 자유분방한 세대라 불리던 X세대는 양육도 이전 세대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했다. X세대는 기성세대와 달리 자녀와 친구같은 수평적 관계를 맺었다.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훈육하고 가르치려는 대신, 자녀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자녀의 주장을 존중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Z세대는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하며 자신의 주장과 개성을 드러내는데 거리낌 없는 세대가 되었다. 또한, 부모에 대해 높은 친밀감을 느끼고 반항심이 적어 [[담배]]를 피거나 음주를 하는 등의 청소년 일탈 문화가 크게 줄어들었다는 특징이 있다.  
+
Z세대의 가치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그들의 부모인 [[X세대]]이다. 역사상 가장 자유분방한 세대라 불리던 X세대는 양육도 이전 세대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했다. X세대는 기성세대와 달리 자녀와 친구같은 수평적 관계를 맺었다.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훈육하고 가르치려는 대신, 자녀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자녀의 주장을 존중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Z세대는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하며 자신의 주장과 개성을 드러내는데 거리낌 없는 세대가 되었다.
  
X세대의 개인주의적 성향은 자녀세대인 Z세대에 그대로 전해졌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정도는 Z세대에 이르러 더욱 강화되었다. X세대가 "회사 보다는 내 가정이 우선"을 외치는 형태의 개인주의를 취했다면, X세대는 "가정 보다도 나 자신이 우선"을 외치는 형태의 개인주의라 할 수 있다. X세대가 가정을 최우선시한 것과는 달리, Z세대는 내가 왜 가정을 위해 나의 행복을 희생해야 하는지 강한 의문을 품고 있다. 이러한 Z세대의 태도는 전통적 형태의 결혼과 출산을 당연시하고 가족의 행복이 곧 자신의 행복이라 믿는 [[X세대]], [[밀레니엄 세대]]와의 큰 차이점으로 손꼽힌다. 이에 따라 자발적인 미혼이 늘어나고, 법적 구속력이 강한 [[결혼]] 보다는 동거를 하면서 가정을 꾸리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결혼은 하더라도 출산을 하지 않는 [[딩크족]]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결혼과 출산에 무관심한 풍조는 앞서 2010년대 들어 나타난 [[일본]] [[사토리 세대]]의 [[초식남]] 현상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
결론적으로 X세대의 개인주의적 성향은 Z세대에 그대로 전해졌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정도는 Z세대에 이르러 특히 강화되었다. X세대가 "회사 보다는 내 가정이 우선"을 외치는 형태의 개인주의를 취했다면, X세대는 "가정 보다도 나 자신이 우선"을 외치는 형태의 개인주의라 할 수 있다. X세대가 가정을 최우선시한 것과는 달리, Z세대는 내가 왜 가정을 위해 나의 행복을 희생해야 하는지 강한 의문을 품고 있다. 이러한 Z세대의 태도는 전통적 형태의 결혼과 출산을 당연시하고 가족의 행복이 곧 자신의 행복이라 믿는 [[X세대]], [[밀레니엄 세대]]와의 큰 차이점으로 손꼽힌다. 이에 따라 자발적인 미혼이 늘어나고, 법적 구속력이 강한 [[결혼]] 보다는 동거를 하면서 가정을 꾸리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결혼은 하더라도 출산을 하지 않는 [[딩크족]]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결혼과 출산에 무관심한 풍조는 앞서 2010년대 들어 나타난 [[일본]] [[사토리 세대]]의 [[초식남]] 현상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 미래 ==
 
== 미래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