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Ⅰ/제6차 교육과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이 문서는 교육부 고시 제1992-19호로 고시된 제6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1996학년도 고교 신입생부터 2003학년도 고등학교 3학년생까지 적용되었던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과목인 수학Ⅰ에 대해 다룹니다.
 
  
이 과목은 고등학생중 인문계열 또는 자연계열 학생이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선택필수과목으로 [[공통수학]]을 이수한 후에 더 높은 수준의 수학을 학습하기 위한 첫번째 과목이다. 단위수는 10으로 배정되었다. 1주일에 한번 수업하면 1단위이고 1학기는 17주가 기본이므로 10단위라는 것은 학기당 1주일에 5번씩 총 2학기를 수업한다는 의미이다. 물론 반드시 이렇게 편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1학기에 10단위를 다 해도 상관은 없다. 대학의 학점과 같은 개념이다.
 
 
개설 목표는 다음과 같다.
 
 
*행렬의 기본 개념과 성질을 이해하게 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수열과 함수의 극한 및 미적분의 기본 개념과 법칙을 이해하게 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확률과 통계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게 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행렬, 수열, 수열의 극한, 함수의 극한과 연속, 다항함수의 미분법, 다항함수의 적분법, 순열과 조합, 확률, 통계를 다루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수학 교육]]
 

2017년 5월 21일 (일) 09:12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