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File:EDDV-ILS 09R Glideslope.jpg|300픽셀|섬네일|[[독일]] [[하노버 공항]]의 글라이드 슬롭.]]
+
[[파일:글라이드슬롭.jpg|300픽셀|섬네일|[[독일]] [[하노버 공항]]의 글라이드 슬롭.]]
  
{{대사|비행기의 안전 착륙을 돕는 일련의 시설}}
+
{{대사|항공기의 안전 착륙을 돕는 일련의 시설}}
  
 
'''ILS'''({{llang|en|Instrument Landing System}})는 저시정 등의 악천후 상황에서 항공기가 안전하게 활주로에 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국제 표준 시설로 '''계기착륙장치'''라 부르기도 한다. 현재와 유사한 형태의 착륙 유도 시스템은 193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으며, [[1947년]] [[국제민간항공기구|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현재의 시스템이 공식 채택되었다.
 
'''ILS'''({{llang|en|Instrument Landing System}})는 저시정 등의 악천후 상황에서 항공기가 안전하게 활주로에 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국제 표준 시설로 '''계기착륙장치'''라 부르기도 한다. 현재와 유사한 형태의 착륙 유도 시스템은 193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으며, [[1947년]] [[국제민간항공기구|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현재의 시스템이 공식 채택되었다.

2013년 8월 13일 (화) 23:01 기준 최신판

독일 하노버 공항의 글라이드 슬롭.

ILS(영어: Instrument Landing System)는 저시정 등의 악천후 상황에서 항공기가 안전하게 활주로에 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국제 표준 시설로 계기착륙장치라 부르기도 한다. 현재와 유사한 형태의 착륙 유도 시스템은 193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으며, 1947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현재의 시스템이 공식 채택되었다.

ILS의 구성[편집]

ILS는 다음과 같은 장치들로 구성된다.

로컬라이저[편집]

로컬라이저(영어: Localizer)는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에 대해 활주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방위각 정보를 제공한다.

글라이드 슬롭[편집]

글라이드 슬롭(영어: Glide Slope)은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에 대해 안전한 활공각을 지시하는 장치인데 일반적으로 안전한 활공각은 2.5~3도 이다. 글라이드 슬롭은 글라이드 패스(영어: Glide Path)라고도 부른다.

마커 비컨[편집]

마커 비컨(영어: Marker Beacon)은 항공기에 대해 활주로까지의 거리 정보를 제공한다. 마커 비콘은 활주로에 가장 가까운 이너 마커를 시작으로 미들 마커, 아웃 마커가 설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