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신내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4번째 줄: | 4번째 줄: | ||
* [[1983년]] [[9월 13일]]: '''연신내역'''(延新內驛)으로 역명 결정 | * [[1983년]] [[9월 13일]]: '''연신내역'''(延新內驛)으로 역명 결정 | ||
* [[1984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삼송(중부대학교)역|삼송(중부대학교)~]][[독립문역|독립문]]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 [[1984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삼송(중부대학교)역|삼송(중부대학교)~]][[독립문역|독립문]]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
− | * [[2000년]] [[ | + | * [[2000년]] [[10월 24일]]: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 [[2024년]] [[12월 28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과 동시에 3개노선의 [[환승역]]이 될 예정 | * [[2024년]] [[12월 28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과 동시에 3개노선의 [[환승역]]이 될 예정 | ||
* [[2021년 7월]]~[[2024년 12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공사로 6~7번 출구 폐쇄 | * [[2021년 7월]]~[[2024년 12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공사로 6~7번 출구 폐쇄 |
2025년 3월 31일 (월) 20:47 기준 최신판
연신내역(Yeonsinnae Station, 延新內驛)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갈현동, 대조동에 걸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환승역이다. 2024년 12월 28일 GTX-A 개통돼 홍대입구역, 초지(신안산대학교)역, 수서역, 종로3가(탑골공원)역, 고속터미널역, 상봉(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역, 디지털미디어시티(스카이라이프)역에 이어 동일하게 6호선 개통 24년 만에 3개 노선 환승역이 됐다. 역 이름은 불광천을 가리킨 옛 지명 가운데 하나인 연신내에서 유래됐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구파발천 하저터널로 구파발(은평성모병원)역과 연결된다.
역사[편집]
- 1983년 9월 13일: 연신내역(延新內驛)으로 역명 결정
- 1984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삼송(중부대학교)~독립문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00년 10월 24일: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2024년 12월 28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과 동시에 3개노선의 환승역이 될 예정
- 2021년 7월~2024년 12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공사로 6~7번 출구 폐쇄
- 2024년 12월 28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동탄역~운정중앙 구간 개통
서울 지하철 3호선 |
---|
대화 - 주엽 - 정발산(고양아람누리) - 마두 - 백석(건강보험일산병원) - ![]() ![]() ![]() ![]() ![]() ![]() ![]() ![]() ![]() ![]() ![]() ![]() ![]() ![]() ![]()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응암 - 역촌 - ![]() ![]() ![]() ![]() ![]() ![]() ![]() ![]() ![]() ![]() ![]() ![]() ![]() ![]()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