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구분 =
 
|구분 =
 
|구성 = 21 행정동
 
|구성 = 21 행정동
|인구 = 48만 7815명 (2023)
+
|인구 = 51만 6103명 (2014. 7)
 
|면적 = 29.57
 
|면적 = 29.57
|인구밀도 = 16496
+
|인구밀도 = 17454
 
|남녀성비 =
 
|남녀성비 =
|단체장 = [[박준희]] ([[더불어민주당]])
+
|단체장 = [[유종필]] ([[새정치연합]])
 
|상징새 = [[까치]]
 
|상징새 = [[까치]]
 
|상징꽃 = [[철쭉]]
 
|상징꽃 = [[철쭉]]
26번째 줄: 26번째 줄:
  
 
== 개요 ==
 
== 개요 ==
관악구의 인구는 50만 명 내외이며 이 지역은 인구밀도가 대단히 높다. 원래 관악산 자락의 농촌 지역이었으나 1960년대 이촌향도 현상에 의해 서울의 인구와 규모가 급성장하면서 주거지역과 산업지역이 혼재한 곳이 되었다. 직업을 구하기 위해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사람들이 이 곳에 모이면서 거대한 달동네를 형성하였다. 1970년대부터 일련의 재개발사업이 이루어지고 [[서울대학교]]가 이 곳으로 옮겨오면서 기존의 달동네와 허름한 직물공장들은 철거되었고 그 대신에 아파트가 들어섰다. 오늘날 관악구는 서울의 대표적인 주거지역 중 하나로서, 지방에서 올라온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지방 출신 서울 이주민의 비율이 높으며 어떤 사람들은 [[전라도]] 출신 이주민이 이 곳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
관악구의 인구는 50만 명이 넘으며 이 지역은 인구밀도가 대단히 높다. 원래 관악산 자락의 농촌 지역이었으나 1960년대 이촌향도 현상에 의해 서울의 인구와 규모가 급성장하면서 주거지역과 산업지역이 혼재한 곳이 되었다. 직업을 구하기 위해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사람들이 이 곳에 모이면서 거대한 달동네를 형성하였다. 1970년대부터 일련의 재개발사업이 이루어지고 [[서울대학교]]가 이 곳으로 옮겨오면서 기존의 달동네와 허름한 직물공장들은 철거되었고 그 대신에 아파트가 들어섰다. 오늘날 관악구는 서울의 대표적인 주거지역 중 하나로서, 지방에서 올라온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지방 출신 서울 이주민의 비율이 높으며 어떤 사람들은 [[전라도]] 출신 이주민이 이 곳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서림동, 대학동, 청룡동 일대에 상업지역이 분포하고 있다. 대학생과 고시생들이 많이 있는 만큼 지역 물가는 저렴한 편이다. 또한, 이들 지역들에는 대학생과 고시생을 위한 저렴한 원룸과 고시원이 많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관악구는 서울에서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서울대학교 앞의 [[녹두거리]]에는 식당, 슈퍼마켓, 술집 등이 집중되어 있다. 봉천중앙시장이 [[서울대입구역]] 북측에 위치하고 있다.
+
서림동, 대학동, 청룡동 일대에 상업지역이 분포하고 있다. 대학생과 고시생들이 많이 있는 만큼 지역 물가는 저렴한 편이다. 또한, 이들 지역들에는 대학생과 고시생을 위한 저렴한 원룸과 고시원이 많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관악구는 서울에서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서울대학교 앞의 [[녹두거리]]에는 식당, 슈퍼마켓, 술집 등이 집중되어 있다. 봉천중앙시장이 [[서울대입구역]] 북측에 위치하고 있다.  
  
 
== 교통 ==
 
== 교통 ==
[[남부순환로]]가 이 지역을 동서로 관통하며 주요 도로로는 신림로와 관악로가 있다. [[서울도시철도 2호선]]이 이 지역을 동서 방향으로,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남북 방향으로 관통하며 두 노선은 [[신림역]]에서 교차한다. 2호선의 철도역으로는 신림역, [[봉천역]], [[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 등이 있으며, 해당 역세권에 거주하는 경우 서울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편리하다. 따라서 같은 관악구더라도 이 지역의 집값은 상당히 비싸다. 한편, 2022년 개통한 신림선은 관악구의 교통 음영 지대를 해소하고 서울대생의 통학 문제를 돕기 위해 건설된 경전철 노선이다.
+
[[남부순환로]]가 이 지역을 동서로 관통하며 주요 도로로는 신림로와 관악로가 있다. [[서울도시철도 2호선]]이 이 지역을 동서로 관통하며 [[신림역]], [[봉천역]], [[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 등의 철도역이 있다. 덕분에 역세권에 거주하는 경우 서울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편리하며, 따라서 같은 관악구더라도 이 지역의 집값은 상당히 비싸다.  
  
 
== 주요 명소 ==
 
== 주요 명소 ==
41번째 줄: 41번째 줄:
  
 
== 정치 성향 ==
 
== 정치 성향 ==
서울에서 가장 민주당 지지율이 높은 곳이다. [[대학생]]과 고시생 등 30대 이하 젊은 유권자가 많이 분포한 지역이기도 하고, [[호남]] 출신 이주민의 비율이 서울에서 가장 높은 곳이기 때문이다. 관악구 호남향우회에 따르면, 관악구 전체 인구 51만명 중 23만명이 호남 출신이라고 한다. 약 44~45% 정도의 비율이다. 그래서 관악구를 가르켜 서울의 호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실제 선거결과에서 관악구는 철옹성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완전한 민주당의 텃밭이었다.  
+
서울에서 가장 진보적인 지역으로, 민주당계열 정당 지지세가 뚜렷하다. 일단은 저소득층 비율이 높기 때문인데, 일각에서는 전라도 출신 이주민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관악구 호남향우회에 따르면, 관악구 전체 인구 51만명 중 23만명이 호남 출신이라고 한다. 약 44~45% 정도의 비율이다. 때문에 서울에서 호남 출신 비율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진보적이긴 하지만 최근 재보궐 선거에 새누리당 오신환 후보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기 때문에 조금씩은 달라지고 있다.
  
=== 역대 대통령 선거결과 ===
+
=== 역대 선거결과 ===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
 
! 선거명
 
! 선거명
! 97 대선
+
! 02 지방
 
! 02 대선
 
! 02 대선
 +
! 04 총선
 +
! 06 지방
 
! 07 대선
 
! 07 대선
 +
! 08 총선
 +
! 10 지방
 +
! 12 총선
 
! 12 대선
 
! 12 대선
! 17 대선
+
! 14 지방
! 22 대선
 
 
|-
 
|-
 
! 관악구 최다득표
 
! 관악구 최다득표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김대중'''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김희철'''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노무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노무현'''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열린우리당'''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김효겸'''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이명박'''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이명박'''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한나라당'''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유종필'''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민주통합당'''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문재인'''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문재인'''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문재인'''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유종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이재명'''
 
 
|-
 
|-
 
! 관악구 득표율
 
! 관악구 득표율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1.4%'''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3.5%'''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8.4%'''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8.4%'''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45.3%'''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40.3%'''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44.4%'''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45.4%'''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 '''34.3%'''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4.6%'''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39.9%'''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9.2%'''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9.2%'''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45.7%'''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60.5%'''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 '''50.3%'''
 
 
|-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1"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1" |
 
|-
 
|-
 
! 서울 판도
 
! 서울 판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김대중<br>44.9%</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22/25</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51.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 노무현<br>51.4%</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열린우리당<br>38.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25/25<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53.2%</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53.2%</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문재인<br>51.4%</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40.2%</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문재인<br>42.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민주당<br>21/25</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윤석열<br>50.6%</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새누리당<br>42.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진보계열}}" |<small>문재인<br>51.4%</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새정치연합<br>20/25</small>
 
|-
 
|-
 
! 전국 판도
 
! 전국 판도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김대중<br>40.3%</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136/227</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48.9%</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노무현<br>48.9%</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열린우리당<br>51.4%</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155/230</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48.7%</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이명박<br>48.7%</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한나라당<br>37.5%</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민주당<br>92/228</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새누리당<br>42.8%</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1.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박근혜<br>51.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민주계열}}" |<small>문재인<br>41.1%</small>
+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새누리당<br>117/226</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or:white; background-color:#{{정당 색상|보수계열}}" |<small>윤석열<br>48.6%</small>
 
 
|-
 
|-
! colspan="11"| <small>*보수정당 후보가 우세한 경우 빨강으로, 민주정당 후보가 우세한 경우 파랑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br>[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
! colspan="11"| <small>*보수계열 정당/후보가 우세한 경우 빨강으로, 민주당/진보 계열 정당/후보가 우세한 경우 파랑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br>* 총선(국회의원 선거)은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기준이다.<br>* 지방(지방선거)은 구·시·군의장선거 기준이다.</small>
 
|}
 
|}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
  
 
[[분류:관악구| ]]
 
[[분류:관악구|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