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틸콜린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아세틸콜린.png|300픽셀|섬네일|'''아세틸콜린'''의 분자 구조]]
+
꺼져라 씨발놈아.
{{대사|가장 광범위한 작용을 하는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llang|en|Acetylcholine}}, '''Ach''')은 [[인간]]을 비롯한 여러 [[동물]]에서 [[말초신경계]] 및 [[중추신경계]] 모두에서 [[신경전달물질]]로서 작용하는 [[유기]] [[다원자성 이온]] 물질이다. [[아세트산]]과 [[콜린]]의 에스테르 화합물이며, [[화학식]]은 CH<sub>3</sub>COO(CH<sub>2</sub>)<sub>2</sub>N<sup>+</sup>(CH<sub>3</sub>)<sub>3</sub>이다.
 
 
 
아세틸콜린은 [[자율신경계]]에 있는 여러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이며 [[체성신경계]]의 [[운동신경]]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신경전달물질이다. [[심장]]조직에서 아세틸콜린은 심장박동을 느리게 만드는 억제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아세틸콜린은 [[골격근]]의 신경근육 연접부에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한다.
 
 
 
 
== 역사 ==
 
== 역사 ==
 
[[영국]]의 의학자인 헨리 핼릿 데일(Henry Hallett Dale)은 1914년 아세틸콜린의 [[심장]] 조직에 대한 작용을 확인하면서, 최초로 아세틸콜린의 존재를 규명하였다. 이후 [[미국]]의 약리학자인 오토 뢰비(Otto Loewi)는 아세틸콜린이 [[신경전달물질]]임을 확인하였고, [[미주신경]](Vagus nerve)에서 아세틸콜린이 방출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서 이 물질에 '''Vagusstoff'''라는 명칭을 붙여주었다. 헨리 핼릿 데일과 오토 뢰비는 이 공로로 193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영국]]의 의학자인 헨리 핼릿 데일(Henry Hallett Dale)은 1914년 아세틸콜린의 [[심장]] 조직에 대한 작용을 확인하면서, 최초로 아세틸콜린의 존재를 규명하였다. 이후 [[미국]]의 약리학자인 오토 뢰비(Otto Loewi)는 아세틸콜린이 [[신경전달물질]]임을 확인하였고, [[미주신경]](Vagus nerve)에서 아세틸콜린이 방출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서 이 물질에 '''Vagusstoff'''라는 명칭을 붙여주었다. 헨리 핼릿 데일과 오토 뢰비는 이 공로로 193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42번째 줄: 37번째 줄:
 
{{신경전달물질}}
 
{{신경전달물질}}
  
[[분류:신경과학]]
+
[[분류:]]
[[분류:생리학]]
 
[[분류:생화학]]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