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G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5번째 줄: 15번째 줄:
 
MSG는 100년 넘게 이용되어온 [[조미료]]이다. 그만큼 MSG는 오랜 시간에 걸쳐 안전성이 검증되었으며, 오늘날 거의 모든 국제 및 국가 단체에서는 MSG를 사람이 섭취하여도 안전한 향미증진제로 분류하고 있다.  
 
MSG는 100년 넘게 이용되어온 [[조미료]]이다. 그만큼 MSG는 오랜 시간에 걸쳐 안전성이 검증되었으며, 오늘날 거의 모든 국제 및 국가 단체에서는 MSG를 사람이 섭취하여도 안전한 향미증진제로 분류하고 있다.  
  
1968년 어느 날, 중국계 미국인 의사인 Robert Ho Man Kwok은 중화요리점에서 식사를 한 뒤 뒷목이 저릿해지고 숨이 가빠지는 느낌 등을 받았다. 그는 이 증상을 [[중화요리증후군]]이라 이름 붙이고 중화요리의 조미료로 사용된 MSG가 그 원인일 것으로 추측하였다. MSG와 이러한 증상의 관계는 입증되지 않았지만, 그의 주장은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중맹검법]]을 이용한 이후의 연구에서, 스스로 MSG에 민감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위약]](플라시보)과 진짜 MSG를 투여하였으나 이들은 위약과 MSG를 구분해내지 못하였다. 즉, 중화요리증후군은 ‘MSG는 몸에 해로운 조미료다’는 '''편견'''이 유발한, 일종의 '''위약 효과'''(몸의 착각)인 셈이다.  
+
1968년 어느 날, 중국계 미국인 의사인 Robert Ho Man Kwok은 중화요리점에서 식사를 한 뒤 뒷목이 저릿해지고 숨이 가빠지는 느낌 등을 받았다. 그는 이 증상을 [[중화요리증후군]]이라 이름 붙이고 중화요리의 조미료로 사용된 MSG가 그 원인일 것으로 추측하였다. MSG와 이러한 증상의 관계는 입증되지 않았지만, 그의 주장은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중맹검법]]을 이용한 이후의 연구에서, 스스로 MSG에 민감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위약]](플라시보)과 진짜 MSG를 투여하였으나 이들은 위약과 MSG를 구분해내지 못하였다. 즉, 중화요리증후군은 ‘MSG는 몸에 해로운 조미료다’는 편견이 유발한, 일종의 위약 효과(몸의 착각)인 셈이다.  
  
 
그러나 수년간의 연구 끝에, MSG의 급성 [[독성]]은 아주 낮은 수준임이 밝혀졌다. [[쥐]]와 [[생쥐]]에서 중간치사량(LD<sub>50</sub>, 전체 실험군의 50%가 사망에 이르게 만드는 독극물의 용량)은 체중 1kg당 15-18g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체중 65kg인 성인이 앉은자리에서 약 1kg의 MSG를 퍼먹으면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50%인 셈이다. 참고로 [[소금]]의 중간치사량은 체중 1kg 당 3g이므로 MSG는 소금에 비해 5~6배나 더 안전한 조미료인 셈이다. 따라서 MSG의 독성은 사람에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수년간의 연구 끝에, MSG의 급성 [[독성]]은 아주 낮은 수준임이 밝혀졌다. [[쥐]]와 [[생쥐]]에서 중간치사량(LD<sub>50</sub>, 전체 실험군의 50%가 사망에 이르게 만드는 독극물의 용량)은 체중 1kg당 15-18g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체중 65kg인 성인이 앉은자리에서 약 1kg의 MSG를 퍼먹으면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50%인 셈이다. 참고로 [[소금]]의 중간치사량은 체중 1kg 당 3g이므로 MSG는 소금에 비해 5~6배나 더 안전한 조미료인 셈이다. 따라서 MSG의 독성은 사람에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1995년 미국 [[FDA]]와 [[세계보건기구]](WHO)는 MSG는 관례적인 수준(customary level)으로 섭취하였을 때 안전하다고 결론 내렸다. 또한, 이와 함께 MSG와 다른 만성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지지하는 자료는 없다고 지적하였다.
 
1995년 미국 [[FDA]]와 [[세계보건기구]](WHO)는 MSG는 관례적인 수준(customary level)으로 섭취하였을 때 안전하다고 결론 내렸다. 또한, 이와 함께 MSG와 다른 만성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지지하는 자료는 없다고 지적하였다.
  
[[글루탐산]]은 인간의 뇌에서 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신경과 전문의]]들은 MSG를 섭취하면 이와 관련한 부작용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사실은 없다.
+
[[글루탐산]]은 인간의 뇌에서 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신경과 전문의]]들은 MSG를 섭취하면 이와 관련한 부작용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사실은 없다.  
  
 
== 생산 ==
 
== 생산 ==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