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손씻기.jpg|300픽셀|섬네일|강박적인 [[손 씻기]]는 흔하게 나타나는 강박행동이다.]]
 
[[파일:손씻기.jpg|300픽셀|섬네일|강박적인 [[손 씻기]]는 흔하게 나타나는 강박행동이다.]]
[[파일:가스밸브.jpg|300픽셀|섬네일|어떤 강박장애 환자는 하루에도 수십 번 이상 반복적으로 가스 밸브가 잠겨있는지 확인하기도 한다.]]
 
  
 
'''강박장애'''({{llang|ko-Hani|强迫障碍}}, {{llang|en|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는 일상적인 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특정한 생각을 반복적으로 떠올리거나(강박관념) 특정한 행동을 반복하는(강박행동) [[정신질환]]이다. 강박장애가 있는 사람은 지속해서 특정한 생각이나 행동을 억제할 수 없다. 흔하게 볼 수 있는 강박행동의 예로는 [[손 씻기]], 숫자 세기, 가스 밸브가 잠겼는지 확인하기 등이다. 이러한 행동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로 나타나며, 하루에 한 시간 이상 이러한 행동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대부분의 환자는 자신의 행동이 합리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런데도 자신의 행동을 멈출 수 없으므로 [[우울증]]으로 번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 때문에 강박장애 환자의 [[자살률]]은 일반인보다 높게 나타난다.  
 
'''강박장애'''({{llang|ko-Hani|强迫障碍}}, {{llang|en|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는 일상적인 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특정한 생각을 반복적으로 떠올리거나(강박관념) 특정한 행동을 반복하는(강박행동) [[정신질환]]이다. 강박장애가 있는 사람은 지속해서 특정한 생각이나 행동을 억제할 수 없다. 흔하게 볼 수 있는 강박행동의 예로는 [[손 씻기]], 숫자 세기, 가스 밸브가 잠겼는지 확인하기 등이다. 이러한 행동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로 나타나며, 하루에 한 시간 이상 이러한 행동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대부분의 환자는 자신의 행동이 합리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런데도 자신의 행동을 멈출 수 없으므로 [[우울증]]으로 번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 때문에 강박장애 환자의 [[자살률]]은 일반인보다 높게 나타난다.  
  
 
== 원인과 진단 ==
 
== 원인과 진단 ==
강박장애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한쪽이 강박장애를 앓고 있으면 다른 쌍둥이 형제도 강박장애를 앓는 비율이 높으므로 어떤 [[유전|유전적]] 요인이 있는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위험 인자로는 [[아동학대]]를 당한 경험이나 [[스트레스]] 요인이 있다. [[감염병]]을 앓고 난 뒤에 강박장애가 나타난 사례도 일부 보고되어 있다. 진단은 증상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다른 약물 관련 또는 의학적 원인을 제외진단할 필요가 있다.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는 다른 불안장애, [[우울증]], [[식이장애]], [[틱장애]], [[강박성 인격장애]] 등이 있다.
+
강박장애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한쪽이 강박장애를 앓고 있으면 다른 쌍둥이 형제도 강박장애를 앓는 비율이 높으므로 어떤 [[유전|유전적]] 요인이 있는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위험 인자로는 [[아동학대]]를 당한 경험이나 [[스트레스]] 요인이 있다. [[감염병]]을 앓고 난 뒤에 강박장애가 나타난 사례도 일부 보고되어 있다. 진단은 증상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다른 약물 관련 또는 의학적 원인을 제외진단할 필요가 있다.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다른 질환으로는 불안장애, [[우울증]], [[식이장애]], [[틱장애]], [[강박성 인격장애]] 등이 있다.  
  
 
== 치료와 예후 ==
 
== 치료와 예후 ==
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 등의 [[심리치료]]가 이루어지며, 때에 따라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또는 [[클로미프라민]] 같은 [[항우울제]] 처방을 하기도 한다. 강박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인지행동치료는 문제를 유발하는 환경에 노출한 뒤 강박행동을 하지 못하게 막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을 떠날 때 수십 번 이상 반복적으로 문이 잠겨있는지 확인하는 강박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딱 한번만 문이 잠겨있는지 확인하고 집을 곧바로 떠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항우울제 투여는 효과가 좋지만, 부작용의 우려가 커서 보통은 차선책으로 남겨둔다. [[비정형 항정신병제]]는 일반적인 항우울제 처방이 효과가 떨어질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나, 역시 부작용의 우려가 크다.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강박장애는 수십 년 이상 지속될 수 있다.
+
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 등의 [[심리치료]]가 이루어지며, 때에 따라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또는 [[클로미프라민]] 같은 [[항우울제]] 처방을 하기도 한다. 강박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인지행동치료는 문제를 유발하는 환경에 노출한 뒤 강박행동을 하지 못하게 막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을 떠날 때 수십 번 이상 반복적으로 문이 잠겨있는지 확인하는 강박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딱 한번만 문이 잠겨있는지 확인하고 집을 떠나도록 만드는 것이다. 항우울제 투여는 효과가 좋지만, 부작용의 우려가 커서 보통은 차선책으로 남겨둔다. [[비정형 항정신병제]]는 일반적인 항우울제 처방이 효과가 떨어질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나, 역시 부작용의 우려가 크다.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강박장애는 수십 년 이상 지속될 수 있다.
  
 
== 역학, 사회, 문화 ==
 
== 역학, 사회, 문화 ==
16번째 줄: 15번째 줄:
  
 
{{번역된 문서|en|Obsessive–compulsive_disorder}}
 
{{번역된 문서|en|Obsessive–compulsive_disorder}}
 
{{불안장애}}
 
  
 
[[분류:불안 장애]]
 
[[분류:불안 장애]]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