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당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음료진열대.jpg|300픽셀|섬네일|과당은 우리가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감미료이다. 대부분의 음료수에는 액상과당이 포함되어 있다.]]
 
[[파일:음료진열대.jpg|300픽셀|섬네일|과당은 우리가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감미료이다. 대부분의 음료수에는 액상과당이 포함되어 있다.]]
{{대사|비만과 성인병의 원인?}}
+
{{대사|비만과 성인병을 일으키는 감미료?}}
  
'''과당'''({{llang|en|Fructose}}), 또는 '''프럭토오스'''는 여러 종류의 [[과일]]과 [[꿀]]에 존재하는 [[단당류]]이다. 과당 분자 하나에 [[포도당]] 분자 하나가 결합하면 [[설탕]]이 된다. 포도당, [[젖당]]과 더불어 [[소화]] 과정에서 혈류로 직접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3개의 식이성 단당류 중 하나이다. 1847년 프랑스의 화학자인 Augustin-Pierre Dubrunfaut가 최초로 발견하였다. 과당은 강한 [[단맛]]이 나며 물에 잘 녹는다.  
+
'''과당'''({{llang|en|Fructose}}), 또는 '''프럭토오스'''는 여러 종류의 [[과일]]과 [[꿀]]에 존재하는 [[단당류]]이다. 과당 분자 하나에 [[포도당]] 분자 하나가 결합하면 [[설탕]]이 된다. 포도당, [[젖당]]과 더불어 [[소화]] 과정에서 혈류로 직접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3개의 식이성 단당류 중 하나이다. 1847년 프랑스의 화학자인 Augustin-Pierre Dubrunfautdp가 최초로 발견하였다. 과당은 강한 [[단맛]]이 나며 물에 잘 녹는다.  
  
 
상업적으로, 과당은 [[사탕수수]]나 [[사탕무]], [[옥수수]]를 원재료로 하여 만든다. [[결정과당]]은 가루 상태의 순수한 과당을 일컫는다. [[액상과당]]은 과당과 포도당의 [[혼합물]]이다. 설탕은 과당과 포도당이 그냥 섞여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공유결합]]하여 하나의 분자가 된 것이니 액상과당과는 엄연히 다르다. 결정과당과 액상과당 모두 여러 종류의 음료과 음식에 단맛을 첨가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과당은 설탕과 더불어 우리가 일상적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감미료이다.  
 
상업적으로, 과당은 [[사탕수수]]나 [[사탕무]], [[옥수수]]를 원재료로 하여 만든다. [[결정과당]]은 가루 상태의 순수한 과당을 일컫는다. [[액상과당]]은 과당과 포도당의 [[혼합물]]이다. 설탕은 과당과 포도당이 그냥 섞여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공유결합]]하여 하나의 분자가 된 것이니 액상과당과는 엄연히 다르다. 결정과당과 액상과당 모두 여러 종류의 음료과 음식에 단맛을 첨가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과당은 설탕과 더불어 우리가 일상적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감미료이다.  
8번째 줄: 8번째 줄:
 
== 단맛 ==
 
== 단맛 ==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음료와 음식에 과당을 흔히 첨가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설탕]]에 비해 값이 싸면서도 단맛은 오히려 강하기 때문이다. 과당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탄수화물 중 가장 단맛이 강하다. 과당은 설탕보다 1.73배 강한 단맛을 낸다. 과당이 단맛이 강한 이유는 분자구조상으로 다섯 개의 탄소로 된 오각형 모양의 고리를 가지기 때문인데, 열을 가하면 이 고리가 육각형 모양의 고리로 바뀌기 때문에 단맛이 감소한다.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음료와 음식에 과당을 흔히 첨가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설탕]]에 비해 값이 싸면서도 단맛은 오히려 강하기 때문이다. 과당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탄수화물 중 가장 단맛이 강하다. 과당은 설탕보다 1.73배 강한 단맛을 낸다. 과당이 단맛이 강한 이유는 분자구조상으로 다섯 개의 탄소로 된 오각형 모양의 고리를 가지기 때문인데, 열을 가하면 이 고리가 육각형 모양의 고리로 바뀌기 때문에 단맛이 감소한다.  
 
[[파일:상대적단맛.png|500픽셀|섬네일|center|설탕과 다른 감미료들의 상대적 단맛 세기 비교]]
 
  
 
과당은 설탕에 비해 먹었을 때 단맛을 느끼는 속도가 빠르며, 또 삼키고 난 뒤 입안에 단맛이 오래 남지 않는다. 그래서 설탕에 비해 많이 먹어도 질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설탕에 비해 무의식중에 과다섭취하기 쉽다. 그러니 [[다이어트]] 중이라면 과당만은 절대로 피하도록 하자.  
 
과당은 설탕에 비해 먹었을 때 단맛을 느끼는 속도가 빠르며, 또 삼키고 난 뒤 입안에 단맛이 오래 남지 않는다. 그래서 설탕에 비해 많이 먹어도 질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설탕에 비해 무의식중에 과다섭취하기 쉽다. 그러니 [[다이어트]] 중이라면 과당만은 절대로 피하도록 하자.  
28번째 줄: 26번째 줄:
 
과다한 양의 과당 섭취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할 수도 있다.
 
과다한 양의 과당 섭취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할 수도 있다.
  
{{번역된 문서|en|Fructose}}
 
 
{{감미료}}
 
{{감미료}}
  
 
[[분류:탄수화물]]
 
[[분류:탄수화물]]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