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휴일 정보
 
|이름 = 광복절<br>光復節
 
|그림 = [[파일:광복절.JPG|300픽셀]] <br><small>1945년 8월 15일, 광복을 기뻐하며 태극기를 흔드는 사람들</small>
 
|다른이름 = 민족해방절
 
|대상층 = [[대한민국]] 국민
 
|의미 = 대한민국이 [[일제강점기|일본의 지배]]로부터 벗어난 것을 기념
 
|하는 일 = [[태극기]] 게양, [[독립기념관]] 광복기념 행사
 
|날짜 = 8월 15일
 
|관련 =
 
}}
 
{{대사|대한민국의 독립 기념일}}
 
'''광복절'''({{llang|ko-Hani|光復節}} {{llang|en|National Liberation Day}})은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일본 제국]]으로 부터의 지배, 즉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는 [[공휴일]]이다. 광복절이 법정 공휴일로 지정된 것은 [[1949년]] [[10월 1일]]이며, 이 날은 대한민국의 정부 수립 기념일이기도 하다.
 
  
== 기념 행사 ==
 
 
광복절에는 [[대한민국]]의 광복을 기념하는 여러 행사들이 전국적으로 열리며, [[대통령]]도 여기에 참석한다. [[충청남도]] [[천안시]]의 [[독립기념관]]에서 특히 관련 행사를 많이 한다. 집집마다 [[태극기]]를 계양하며, 공식 행사에서는 '''"흙 다시 만져보자/바닷물도 춤을 춘다~"'''로 시작하는 광복절 노래를 연주한다. 광복절 노래는 [[정인보]] 작사, [[윤용하]] 작곡의 [[노래]]이다.
 
 
== 관련 문화 ==
 
 
* [[텔레비젼]]에서는 <[[광복절특사]]>, <[[한반도(영화)|한반도]]>를 비롯한 '''광복절 특선 영화'''를 방송한다.
 
* '''"광복절 특별사면"'''(광복절 특사)이라고 해서, 몇몇 범죄자의 형량을 줄여주기도 한다.
 
* 몇몇 개념없는 [[청소년]]들은 [[오토바이]]를 타고 도로를 폭주한다.
 
* [[북한]]에서는 이 날을 '''"조국해방의 날"'''이라고 부르며 기념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과 달리 [[김일성]]이 광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 [[삼일절]]과 함께 [[2004년]]부터 한일 양국간에 [[한일 사이버 전쟁]]이 연례행사 격으로 이뤄지고 있다.
 
 
== 일본 ==
 
 
[[일본]]에서는 이 날을 1952년 각료회의에서 '전몰자를 추도하고 평화를 기념하는 날' 이라는 의미로서 종전기념일로 부르고 있는데, 엄밀하게 말하자면 이는 좋게 포장한 것으로 실제적으로 일본이 전쟁에서 패전-패망한 패전일이라고 할 수 있다.<ref>9월 2일에 패전기념일이 있기는 하다.</ref>그러나 일본의 우익 집단 및 정치인들에 의해 종전기념일이라고 부르면서 해마다 일본 총리와 우파 정치인들이 도조 히데키와 같은 A급 전범들의 위패가 있는 [[야스쿠니 신사]]에서 참배행위가 이뤄지고 있는데, 이 때문에 총리가 참배하니 마니하고 전쟁 피해자인 [[한국]], [[중국]] 등 과 [[일본]] 사이에서 갈등이 연례행사격으로 해마다 이뤄지고 있다. 특히 [[2001년]]때 한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총리였던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사건]]은 그 파장이 매우 컸다.
 
 
한국, 중국측의 주장은 '''전쟁 범죄자를 왜 추모하느냐'''라는 것인데, 일본측에서는 단순한 전몰자에 대한 추모라며 한국과 중국측의 반발을 '''내정간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ref>일본 외상인 마치부라 노부타카라는 사람은 이를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705140 기독교인이 교회에 가는 자유가 있는 것과 같다]는 턱도 없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ref> 그런데 정작 보통 [[일본인]]들은 이 날에 휴가를 즐기는 경우가 많으며 오히려 8월 6일과 9일(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투하일)에 정오에 싸이렌이 울리면 묵념을 하여 추모하는 분위기이다.
 
 
또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50% 이상의 일본국민이 이 참배에 대해 반대하기도 했다고 하니 결국 전적으로 일본 우익측 입김이 강한 기념일이라고 할 수 있다.
 
 
== 주석 ==
 
 
<references/>
 
 
{{빨간날}}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