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역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역
+
'''구로역'''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역에서 [[구로차량사업소로]] 향하는 [[구로기지선]]이 분기한다.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배경색 = #{{서울도시철도 색상|1}}
 
|배경색2 = #{{서울도시철도 색상|1}}
 
|그림 = [[파일:구로역2017.jpg|320픽셀]]<br>구로역 역사<br>[[파일:구로역승강장2022.jpg|320픽셀]]<br>8·9번 승강장
 
|노선 = {{지하철|서울|1}}
 
|역명 = [[파일:삼태극.png|20픽셀]] 구로 <small><small>(경인선)</small></small>
 
|역명2 = ← [[파일:삼태극.png|20픽셀]] 구로 <small><small>(경부선)</small></small> →
 
|이전역명 = [[신도림역|신도림]]
 
|이전역명2 = [[신도림역|신도림]]
 
|다음역명 = [[구일역|구일]]
 
|다음역명2 = [[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
 
|로마자 역명 = Guro
 
|한자 역명 = 九老
 
|소재지 = {{태극기}} [[서울특별시]] [[구로구]]
 
|운영 = {{철도회사|한국철도공사}}
 
|정차하는 열차 =
 
|개역일 = [[1969년]] [[3월 25일]]
 
|역 번호 = 141
 
|승강장 구조 =
 
|일 평균 승차 =
 
}}
 
{{대사|경인선과 경부선이 분기되는 역}}
 
 
 
'''구로역'''({{llang|ko-Hani|九老驛}})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이다. [[경인선]]과 [[경부선]]이 분기되는 역이다.  
 
 
 
== 역사 ==
 
구로역은 1969년 3월 25일, [[경인선]]과 [[경부선]]이 분기하는 [[신호소]]로 개역하였다. 그러나 본격적인 운영은 1974년 8월 15일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하면서부터로서, 때부터야 비로소 일반 승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의외로 역사가 그렇게 길지는 않은 역이지만 경인선과 경부선이 분기하는 역이라는 점 때문에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고, 이에 따라 유동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며 1호선의 주요 역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 특징 ==
 
구로역은 [[복복선]]인 [[경인선]]과 [[경부선]]이 만나는 역으로서 승강장이 매우 많고 복잡하다. 무려 9개의 승강장을 거느리고 있으며, 승강장별로 행선지가 모두 달라서 익숙하지 않은 승객 입장에서는 어느 승강장으로 내려가야 할 지 헷갈리기 쉽다. 구로역에서 열차를 이용할 승객은 열차 시간표를 보고 어느 승강장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가는 열차가 먼저 도착하는지 잘 확인해야 열차를 놓치지 않는다.
 
 
 
이처럼 환승이 복잡하기 때문에 경인선-경부선간 환승을 하려면 구로역 이전에서 열차를 갈아타는 것이 좋다.
 
 
 
한국 최초의 전철 차량기지인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계되어 있다. [[구로기지선]]이 구로역과 구로차량사업소를 연결한다. 구로역에 시종착하는 열차가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 승강장 ===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 1.5em;"
 
| <small>↑ [[신도림역|신도림]]</small>
 
|-
 
||
 
<span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1}};">1</span> {{!}} {{!}} <span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1}};">23</span> {{!}} {{!}} <span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1}};">45</span> {{!}} {{!}} <span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1}};">67</span> {{!}} {{!}} <span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서울도시철도 색상|1}};">89</span> {{!}} {{!}} {{!}}
 
|-
 
| <small>[[구일역|구일]] ↓/[[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 ↓</small>
 
|}
 
 
 
{|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style="" class="wikitable"
 
|-
 
! 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 방면
 
|-
 
! 1
 
| 경부선 상행
 
| 완행열차
 
| [[서울역]]·[[청량리역|청량리]]·[[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 2
 
| 경인선 상행
 
| 완행열차
 
| [[의정부역|의정부]]·[[동두천역|동두천]]·[[연천역|연천]] 방면
 
|-
 
! 3
 
| 경부선 하행
 
| 완행열차 · 급행열차
 
| [[서동탄역|서동탄]]·[[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 방면
 
|-
 
! 4
 
| 경인선 하행
 
| 완행열차
 
| [[부천역|부천]]·[[부평역|부평]]·[[인천역|인천]] 방면
 
|-
 
! 5
 
| 광명셔틀 상행
 
| 광명셔틀
 
| [[영등포역|영등포]] 방면
 
|-
 
! 6
 
| 경인선 상행
 
| 급행열차
 
| [[용산역|용산]] 방면
 
|-
 
! 7
 
| 구로역 시발
 
| 완행열차 · 급행열차
 
| [[인천역|인천]]·[[용산역|용산]]·[[연천역|연천]] 방면
 
|-
 
! 8
 
| 경인선 하행
 
| 급행열차
 
| [[동인천역|동인천]]·[[부평역|부평]]·[[부천역|부천]] 방면
 
|-
 
! 9
 
| 경부선 · 광명셔틀 하행
 
| 완행열차 · 광명셔틀
 
| [[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광명역|광명]] 방면
 
|}
 
 
 
행선지별 승강장 이용 팁은 다음과 같다.
 
 
 
* '''인천방면 (경인선)''' - 완행열차를 이용하려면 '''4번 승강장''', 급행열차를 이용하려면 '''8번 승강장'''을 이용하면 된다.
 
* '''수원/천안방면 (경부선)''' - '''3번 승강장'''을 이용하면 급행과 완행열차 모두 이용 가능하다. 9번 승강장도 경부선 하행방면 열차가 들어오지만, 매우 뜸하게 운행되므로 주의하자.
 
* '''서울역방면''' - 열차가 가장 자주 다니는 '''1번 승강장''' 또는 '''2번 승강장'''을 이용하는 편이 좋다. 다만, [[광운대역]] 이북 지역으로 환승 없이 이동하려면 2번 승강장으로 가야 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분류:구로구]]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