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당류 편집하기

누리위키, 온 누리의 백과사전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File:Cornstarch mixed with water.jpg|300픽셀|섬네일|다당류인 [[전분]]은 찬물에 거의 녹지 않는다.]]
 
 
[[File:Cellulose Sessel.svg|섬네일|300px|[[셀룰로오스]]의 분자구조. 셀룰로오스는 베타-포도당으로 이루어진 다당류이다.]]
 
[[File:Cellulose Sessel.svg|섬네일|300px|[[셀룰로오스]]의 분자구조. 셀룰로오스는 베타-포도당으로 이루어진 다당류이다.]]
'''다당류'''({{llang|en|Polysaccharide}})는 여러 개의 [[단당류]]들이 서로 [[글리코시드 결합]]을 하여 긴 사슬을 형성한 [[탄수화물]] [[중합체]]이다. 간단한 선형구조를 이루는 경우도 있고, 분지가 많이 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다당류로는 [[전분]]이나 [[글리코겐]] 같은 저장성 다당류와 [[셀룰로오스]]나 [[키틴]] 같은 구조성 다당류가 있다.  
+
'''다당류'''(한자: 多糖類, 영어: Polysaccharides)는 여러 개의 [[단당류]]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탄수화물]]이다. [[분자]] 크기가 큰 [[고분자]]에 속하며, 가지를 친 경우도 있다. [[]]에 잘 녹지 않으며, [[단맛]]도 나지 않는다.
  
다당류는 종종 한 종류 이상의 단당류로 구성되기도 한다. 다당류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단당류의 종류에 따라 특수한 성질을 갖게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어떤 다당류는 [[비결정성]]이며, 또 다른 다당류는 [[불용성|물에 녹지 않기도 한다]]. 한 종류의 단당류로만 이루어진 다당류는 '''단순다당류''', 또는 '''호모다당류'''라고 하며, 반대로 두 종류 이상의 단당류로 이루어진 다당류는 '''복합다당류''', 또는 '''헤테로다당류'''라고 한다.  
+
한 종류의 단당류로만 이루어진 다당류는 "호모"(homo)라고 하며, 두 종류 이상의 단당류로 이루어진 다당류는 "헤테로"(hetero)라고 한다.
  
천연 당류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CH<sub>2</sub>O)<sub>n </sub>(단, n≥2)의 화학구조식을 갖는 [[단당류]]를 일컫는 말이다. 단당류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이 있다. 반면 다당류는 C<sub>x</sub>(H<sub>2</sub>O)<sub>y</sub>의 화학구조식을 가지며, 이 때 x의 값은 200에서 2500사이로 아주 크다. 다당류는 주로 육탄당 단위체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가정하면 다당류는 (C<sub>6</sub>H<sub>10</sub>O<sub>5</sub>)<sub>n</sub> (단, 40≤n≤3000)의 화학구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다당류 중에서 [[전분]]과 [[글리코겐]]은 체내에서 [[에너지]] 저장 용도로 이용되며, [[셀룰로오스]]와 [[키틴]]은 유기체의 구조를 이루는 구성 물질이다.
  
다당류는 적어도 10개 이상의 단당류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다당류나 [[올리고당]]으로 분류하는 정확한 기준은 없으며 여러 의견이 상충되고 있다. 다당류는 중요한 [[생체고분자]]이다. 생물체에서 다당류의 기능은 생물체의 구조를 이루는 것과 에너지 저장으로 나눠볼 수 있다. 포도당의 중합체인 [[전분]]은 식물에서 에너지 저장 용도로 사용되며, [[아밀로오스]][[아밀로펙틴]]의 형태로 존재한다. 동물에서는 [[글리코겐]]이 에너지 저장 용도로 사용되므로 글리코겐은 종종 '''동물성 전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글리코겐은 대사 속도가 빠르므로 활발하게 움직이는 동물의 에너지원으로 더 적합하다.  
+
== 전분 ==
 +
전분은 [[물]]에 녹지 않는다. [[소화]]과정에서 [[아밀라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여러 개의 [[포도당]]이 된다. [[인간]]을 비롯한 [[동물]]들은 아밀라아제 효소를 가지고 있어 [[전분]]을 소화시킬 수 있다. [[감자]], [[]], [[]], [[보리]]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셀룰로오스]]와 [[키틴]]은 생물체의 구조를 이루는 용도의 다당류이다. 셀룰로오스는 식물과 다른 생물체들에서 [[세포벽]]의 성분으로 이용된다. 이 때문에 셀룰로오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흔한 [[생체분자]]로 알려져 있다. 셀룰로오스는 종이와 직물의 주요한 구성물로서 [[레이온]],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셀룰로이드,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등의 화합물을 만들 때 사용한다. 키틴도 셀룰로오스와 비슷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질소]]를 포함하는 곁가지를 가지므로 강도가 더 높다. [[곤충]]의 외골격에서 흔히 발견되며 일부 종류의 [[곰팡이]]의 세포벽에도 포함되어 있다. [[수술용 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 셀룰로오스 ==
 +
[[식물]]은 주로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져 있다. [[나무]]는 대부분이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종이]]와 [[면화]]는 거의 순수한 형태의 셀룰로오스다. 셀룰로오스는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고분자]]물질이다. [[인간]]을 비롯한 [[동물]]들은 셀룰로오스를 소화시킬 수 없으나, [[반추동물]][[]]에 있는 [[세균]]의 도움을 받아 셀룰로오스를 소화시킬 수 있다.<ref>[[염소]]가 [[종이]]를 먹을 수 있는 이유. <del>그러니까 [[너]]는 종이를 먹으면 안된다고!</del></ref>
  
앞서 언급된 것 외에도  [[칼로오스]], [[크리솔라미나린]],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만난]], [[푸코이단]], [[갈락토만난]] 등 다양한 종류의 다당류가 있다.
+
<references/>
  
== 같이 보기 ==
 
* [[전분]]
 
* [[셀룰로오스]]
 
 
{{번역된 문서|en|Polysaccharide}}
 
 
[[분류:탄수화물]]
 
 
[[분류:유기 화합물]]
 
[[분류:유기 화합물]]
[[분류:고분자]]
 

누리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누리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